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 팔로우
가짜 노동의 표지 이미지

가짜 노동

데니스 뇌르마르크 외 1명 지음
자음과모음 펴냄

그런 회사를 다닌 적이 있다.
6개월 동안 뚜렷하게 한 일이 없음에도 월급을 준 회사.
일을 하긴 했으나 내 할 일이 아니였고, 내 역량을 발휘하는 일이 아니였다.
6개월 중 대부분의 나날은 그저 할 일 없이 책상에 앉아있는 게 전부였다.
매주 하던 회의에서 나를 제외한 직원들의 바쁨을 들으며 자괴감에 빠지곤 했었다.
이러한 고민을 털어놓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월루하는 게 부럽다면서 나를 이상하게 보곤 했다.
하지만 점점 떨어지는 자존감과 매일 느끼는 무쓸모함을 인정하고 싶지 않아서
결국 나는 이사님에게 내가 해야하는 일이 없는지 물었고, 몇 개월 동안은 딱히 없다는 말에
퇴사를 결심했고, 한 달 뒤 바로 퇴사를 했다.

퇴사 이후 내가 정말 별난 사람인 건가, 인생을 괜히 꼬아서 사는 건가 했는데
이 책을 보며 그저 나는 지극히 평범하게 '가짜 노동'을 싫어했던 거구나 싶었다.

세상은 생각보다 빠르게, 그리고 많이 변했고
그만큼 더 편해질 거란 우리의 기대는 어느새 땅 깊숙히 묻힌 채
세상보다 더 빠르게 변화하려고 숨 차도록 달리고 있다.
무엇을 향해 뛰는지 조차 모르면서 그저 그 누구보다 바쁘다는 듯이 살아가고 있다.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굳이' 라는 모든 일에 우리는 하나하나 의미를 부여하며
자기 합리화를 시작으로 그것이 마치 '정의'인 것처럼 살아가고 있다.
숨막힐 정도의 압박 속에서도 그것을 오히려 자랑삼아 버티고 있다.
이것이 과연 맞는가. 올바른가.

결정적으로 윗선부터 '가짜노동'을 내쳐야 하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그러한 움직임이 과연 생길까.. 기대가 되지 않는다.
물론 몇몇 극소수의 회사에서 이러한 움직임이 보이고 있긴 하지만,
말 그대로 극소수이기에 '노동'에 대한 가짜와 진짜의 빈부격차가 심해지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오히려 그들은 알고 있음에도 회피할 것이다.
본인들이 편해야 하고, 본인들이 우위에 서 있어야 하니까.
과연 불편함을 감소하면서 낮아지려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이 책을 읽는 우리부터 차근차근 변화에 앞장서자고 하지만,
물론 나도 거기에 동참하겠다만,
솔직히 희망적이지는 않다.
그럼에도
우리의 움직임이 다음 사람의 발걸음을 조금이나마 가볍게 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값어치 있었다 라고 스스로 다독이고 싶다.

진짜 '노동'을 한 후 개운하게 '쉼'을 누릴 수 있는 삶.
그러한 인생을 꿈꿔본다.
0

강혜리님의 다른 게시물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마치 살아있는 듯한 인물들.
그리고 있었을 법한(어쩌면 있었을 수도 있는) 이야기들.
그러다보니 소설이 아닌 일기처럼 읽혀졌다.
각자의 일기를 통해 '심시선'​이라는 인물을 그려 나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여성'이라는 자리 혹은 권리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험하고 모진 세월을 견뎠던 심시선.
그랬기에 누구보다 독창적이고 진취적이였던 그녀.
하지만 그 이면에는 감히 다 공감할 수 없을만큼 아픈 시간들.
지난 시간들이기에 아름다웠다 추억할 수도 있고
그 시간들을 통해 매력적인 사람이었다고 할 수 있지만,
어쩌면 심시선이 세상에서 돋보였던 건 세상이 그녀를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 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런 세상은 더 따가워지고 있다.

소설 속 화수의 말처럼, 세상의 공기는 따갑다.
숨쉬는 것조차 때로는 버겁기까지 하다.
많은 세월이 흘러 수없이 변화했다고 하지만,
어떤 부분은 여전히 퀴퀴한 공기들로 가득차 숨막히게 만든다.

그런 세상에 대한, 어쩌면 여성으로서 그런 세상을 마주한,
특히 여성 예술가들이 겪어야 하는 수많은 현실들을
이렇게나마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각자의 방식으로 심시선을 추억하는 모습을 통해,
그리고 그녀를 통해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인물들을 통해,
따가운 공기에 아랑곳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는 그녀들을 통해,
기분 좋게 책을 덮으며 살짝 생각에 잠겨보기도 했다.
그만큼 여운이 길게 남는 이야기였다.

시선으로부터,

정세랑 지음
문학동네 펴냄

38분 전
0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우리는 살면서 '우리'가 먼저라고 배우고, 늘 다른 사람들을 먼저 생각하는 데 익숙하다.
그런데 이 책은 그런 생각에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진짜 '우리'가 되려면, 무엇보다 '나'라는 사람이 먼저 튼튼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나를 잘 알고 아낄 줄 알아야, 그 단단한 '나'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과도 건강한 관계를 만들고 진정한 '우리'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예전엔 '우리' 안에 내가 사라지기도 했지만, 지금은 '나'의 존재가 더 중요해진 시대이다.
특히 인공지능까지 함께하는 세상에서는, 오히려 AI를 통해 '나' 자신을, 또 '사람'이라는 존재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

세상은 정말 빠르게 변한다.
하루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것들이 쏟아져 나온다.
이런 빠른 세상 속에서 흔들리지 않으려면, 내면을 잘 들여다보고 '나'라는 사람을 확실히 아는 게 중요하다.
과거의 경험도 소중하지만, 지금은 그보다 지혜롭게 상황을 보고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힘이 더 필요하다.
그래야 급변하는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내 마음의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지혜롭게 살아가면, 나이가 들어갈수록 생기는 조급함이나 소외감 같은 감정들도 훨씬 덜해질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는 흔히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하면 돈을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이 책은 이제 그런 물질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돈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나의 생각'과 '내가 얼마나 소중한지', 그리고 '내가 어떤 존재인지' 아는 것이다.
진짜 '가치'는 내 안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진정한 공존은 서로가 같은 존재임을 인지하고 감싸 안을 때 가능하다.
내가 '나'답게 잘 살아갈 때, 비로소 우리 사회는 더욱 안전하고, 평화롭고, 다채로워질 수 있다.

시대예보

송길영 지음
교보문고(단행본) 펴냄

1주 전
0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날마다 느낄 수 있는 행복.
그것으로도 충분히 하루가 가득 찬다.

많은 돈, 많은 시간이 생긴다고
그 행복감이 달라진다고 한다면
그것이 주어지지 않은 삶 속에서는
행복을 찾기 쉽지 않을 것이다.

굳이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 걸 채우기 보다는
이미 주어진 행복을 누리는 것이
더없이 행복한, 그리고 더 오래가는 행복인 듯 싶다.

셀마

유타 바우어 지음
키위북스(어린이) 펴냄

2주 전
0

강혜리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