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2.3.15
페이지
320쪽
상세 정보
완벽에 대한 폭로, 혹은 진실. 이 책은 완벽에 대한 열망이 왜 새로운 사회적 신앙이 되었는지, 그것이 어떻게 우리 삶의 모든 영역을 관통하는 주제가 되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누가 이득을 챙기는지, 완벽주의의 모순을 파헤치고 이에 대해 폭로한다. 가장 큰 문제는 완벽주의자가 결국 자신이 원하는 것을 평생 얻지 못한다는 데 있다.
‘남들과는 달리 완벽한’ 사람이 되고자 부단히 노력한 사람은 모두 ‘남들처럼 완벽한’ 사람이 되고 만다. 유기농 식품을 먹는 사람도, 중국어 학원에 다니는 사람도 비단 자신뿐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들은 단점이 없으나 장점도 없다. 누구라도, 언제라도, 어디서라도 대체할 수 있는 ‘보통 사람’이 되고 만다. 결국 수많은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고, 아무도 아무것도 얻지 못하게 되는 셈이다.
이제, 진실을 깨닫고 완벽주의의 함정에서 벗어나는 일은 이제 완벽주의자들의 몫이다. 지금 우리가 노력하는 것들이 우리에게 정말로 가치가 있는 일인지, 그 일이 노력한 만큼의 결과를 가져다주는지, 우리는 얻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잃고 있지는 않은지, 배우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잊고 있지는 않은지, 지금 당장 멈춰 우리 스스로 되돌아보아야 한다.
추천 게시물
솔
@solevgl
단 한 번의 삶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최은주
@eunjoy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coltrane
@coltrane
침묵을 삼킨 소년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103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3 /180명
정모/행사 아침독서 챌린지(독서연합 학생동아리)
7월 21일 (월) 오전 12:00 · 무료 · 39 /6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1)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6 /70명
이세계문학회
무료 · 1 /제한 없음
상세정보
완벽에 대한 폭로, 혹은 진실. 이 책은 완벽에 대한 열망이 왜 새로운 사회적 신앙이 되었는지, 그것이 어떻게 우리 삶의 모든 영역을 관통하는 주제가 되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누가 이득을 챙기는지, 완벽주의의 모순을 파헤치고 이에 대해 폭로한다. 가장 큰 문제는 완벽주의자가 결국 자신이 원하는 것을 평생 얻지 못한다는 데 있다.
‘남들과는 달리 완벽한’ 사람이 되고자 부단히 노력한 사람은 모두 ‘남들처럼 완벽한’ 사람이 되고 만다. 유기농 식품을 먹는 사람도, 중국어 학원에 다니는 사람도 비단 자신뿐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들은 단점이 없으나 장점도 없다. 누구라도, 언제라도, 어디서라도 대체할 수 있는 ‘보통 사람’이 되고 만다. 결국 수많은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고, 아무도 아무것도 얻지 못하게 되는 셈이다.
이제, 진실을 깨닫고 완벽주의의 함정에서 벗어나는 일은 이제 완벽주의자들의 몫이다. 지금 우리가 노력하는 것들이 우리에게 정말로 가치가 있는 일인지, 그 일이 노력한 만큼의 결과를 가져다주는지, 우리는 얻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잃고 있지는 않은지, 배우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잊고 있지는 않은지, 지금 당장 멈춰 우리 스스로 되돌아보아야 한다.
출판사 책 소개
완벽을 꿈꾸는 사람들, 완벽주의자
대한민국의 서울에서 철수가 태어난다. 엄마 배 속에서부터 두뇌 계발을 위해 모차르트를 들은 철수는 세 살이 되자 몸에 좋은 유기농 급식을 제공하며 영어만 사용하는 유치원에 다닌다. 유명한 사립 초등학교와 사립 중·고등학교를 다니는 동안 거쳐가는 학원의 수와 학원비는 상상을 초월한다. 남들보다 조금이라도 뒤처져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우수한 성적으로 중·고등학교를 졸업한 철수는 당연히 서울에 있는 유명 사립대학에 입학한다. 각종 자격증, 외국어 성적, 인턴십, 교환학생과 해외 봉사 등을 통해 완벽한 스펙을 쌓은 그는 대한민국에서 제일 잘나가는 대기업에 입사한다. 사회적 지위도 높고 연봉도 높은 완벽한 회사다. 근무시간은 9시부터 6시까지지만 빠른 승진을 위해 더 일찍 출근해 더 늦게 퇴근하고 주말까지 반납한다. 학교와 직장에서 만난 여자들과 틈틈이 연애를 하긴 했지만, 결혼을 하기 위해 철수는 결혼 정보 회사에 등록한다. 가장 빠르게 가장 완벽한 결혼 상대를 찾기 위해서다. 3년 동안 30번의 만남을 가진 철수는 그중 조건이 가장 잘 맞았던 여성과 결혼한다. 철수는 앞으로 태어날 제2의 철수와 퇴직 후의 자신을 위해 각종 보험이나 펀드 상품에 가입하고, 조금 이르긴 하지만 자신의 장례를 구상해 묘원에 자리를 예약해둔다.
배 속에서 무덤까지, 그야말로 완벽한 인생 이야기다. 그리고 이것은 비단 철수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대전에서 태어난 지연, 부산에서 태어난 현정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들은 모두 완벽주의자다.
완벽에 대한 폭로, 혹은 진실
그러나 완벽주의자들이 평생에 걸쳐 추구하는 완벽은 정해진 끝이 없으므로 계속해서 출발만 있는 달리기경주와 같다. 학업, 일뿐만 아니라 음식, 건강, 취미, 휴가, 사생활까지 모든 분야에 이상형이 존재하게 된 까닭이다. 더 이상 완벽으로부터 자유로운 분야는 없다.
이렇게 완벽주의자들이 완벽을 향해 부단히 노력하는 사이, 이들의 완벽주의를 이용해 이득을 보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모든 분야에 이상형을 부여한 기업들이다. 인생을 다른 출발선에서 시작하고자 하는 욕망을 이용한 조기교육 기관, 공부를 더 잘하고자 하는 욕망을 이용한 사립학교와 값비싼 학원, 더 건강하고자 하는 욕망을 이용한 유기농 상점, 더 날씬하고자 하는 욕망을 이용한 피트니스센터, 완벽한 파트너를 찾고자 하는 욕망을 이용한 결혼 정보 센터 등등. 기업은 완벽을 향해가는 모든 길이 열려 있음을 강조하며 우리를 유혹한다. 이론적으로 가능해지면 욕망이 생겨난다.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제자리걸음만 할지언정 완벽을 향한 노력을 포기할 수 없게 된다. 이제 기업은 완벽주의자들의 완벽주의를 이용해 돈을 버는 것에서 더 나아가서, 완벽주의자들의 노동력을 이용하기도 한다. DIY(Do it yourself)와 크라우드소싱(crowd+outsourcing)으로 인한 ‘일하는 고객working customer’의 탄생이 대표적인 예다.
완벽한 사람을 이기는 사람, ‘다른’ 사람
사실 완벽주의자가 원하는 대로 완벽해진다면 기업이 취하는 이득쯤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중요한 건 당사자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는 완벽주의자가 결국 자신이 원하는 것을 평생 얻지 못한다는 데 있다. ‘남들과는 달리 완벽한’ 사람이 되고자 부단히 노력한 사람은 모두 ‘남들처럼 완벽한’ 사람이 되고 만다. 유기농 식품을 먹는 사람도, 중국어 학원에 다니는 사람도 비단 자신뿐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들은 단점이 없으나 장점도 없다. 누구라도, 언제라도, 어디서라도 대체할 수 있는 ‘보통 사람’이 되고 만다. 한 명만 의자 위에 올라서면 그 사람이 돋보이지만 모두가 의자 위에 올라서면 모두 평범해지는 것처럼, 누구나 다 똑같이 완벽해지면 이제 누구도 특별하지 않게 된다. 결국 수많은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고, 아무도 아무것도 얻지 못하게 되는 셈이다.
클라우스 베를레는 『완벽주의의 함정』을 통해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하지 마라’ 하며 방향을 제시해주지 않는다. 완벽주의 때문에 힘든 독자들을 위로하지도 않고, 조금 더 힘내라고 용기를 북돋워주지도 않는다. 이 책은 그저 그렇고 그런 조언서, 실용서, 자기 계발서가 아니다. 저자는 완벽에 대한 열망이 왜 새로운 사회적 신앙이 되었는지, 그것이 어떻게 우리 삶의 모든 영역을 관통하는 주제가 되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누가 이득을 챙기는지, 완벽주의의 모순을 파헤치고 이에 대해 폭로할 따름이다. 진실을 깨닫고 완벽주의의 함정에서 벗어나는 일은 이제 완벽주의자들의 몫이다. 지금 우리가 노력하는 것들이 우리에게 정말로 가치가 있는 일인지, 그 일이 노력한 만큼의 결과를 가져다주는지, 우리는 얻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잃고 있지는 않은지, 배우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잊고 있지는 않은지, 지금 당장 멈춰 우리 스스로 되돌아보아야 한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