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의 핵, 유태인

김종빈 (지은이) 지음 | 효형출판 펴냄

갈등의 핵, 유태인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2,000원 10% 10,8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7.9.20

페이지

336쪽

상세 정보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정세가 긴박하게 돌아가는 즈음, 유태인에 대한 관심이 크다. 박해의 운명을 타고난 똑똑한 민족으로만 알려진 유태인에 대한 오해와 진실. 언론인 출신의 지은이는 세계사의 가장 극적인 장면 속에 핵으로 존재해 온 그들의 생존 방식, 현재의 모습 등을 기술하고 얻을 것은 무엇인지 짚어 준다.

총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사에 두드러졌던 유대인 인물과, 이스라엘 건립의 역사, 유대인의 기원과 디아스포라 역사 등을 살피고 있다. 마지막 6장에서는 유대인과 한국인을 비교 하고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지은이 나름의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부록으로 '노벨상을 수상한 유대인들'과 '미국 내 주요 유대인 기구'가 실려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박만철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만철

@q6nncj62qaxg

  • 박만철님의 갈등의 핵, 유태인 게시물 이미지
처음에는 교과서적인 인상을 받아서 책 선택을 잘못한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 하지만 조금 읽다보니 군더더기 없는 내용과 유태인들이 왜 이렇게 되었는지 그 배경과 과정을 설명해 주기에 전체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지금까지 유태인에 대해서는 홀로코스트에서 피해자들이라는 피상적인 것만 알고 있었는데, 이 책을 읽고나니 그들에 대해 좀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도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인상에 남는 것은 그들만의 단합된 모습, 어려운 이들을 배려하는 정신과 행동 그리고 유태인의 교육법이다. 특히 그들의 교육법은 한국의 주입식 교육에 커다란 경종을 울릴 것으로 기대한다.

갈등의 핵, 유태인

김종빈 (지은이) 지음
효형출판 펴냄

👍 행복할 때 추천!
2021년 6월 28일
0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정세가 긴박하게 돌아가는 즈음, 유태인에 대한 관심이 크다. 박해의 운명을 타고난 똑똑한 민족으로만 알려진 유태인에 대한 오해와 진실. 언론인 출신의 지은이는 세계사의 가장 극적인 장면 속에 핵으로 존재해 온 그들의 생존 방식, 현재의 모습 등을 기술하고 얻을 것은 무엇인지 짚어 준다.

총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사에 두드러졌던 유대인 인물과, 이스라엘 건립의 역사, 유대인의 기원과 디아스포라 역사 등을 살피고 있다. 마지막 6장에서는 유대인과 한국인을 비교 하고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지은이 나름의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부록으로 '노벨상을 수상한 유대인들'과 '미국 내 주요 유대인 기구'가 실려있다.

출판사 책 소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뉴욕 맨하탄의 월드트레이드센터(World Trade Center) 테러 사건. 그런데 왜 하필 월드트레이드센터였을까? 이에 대해서는 아랍의 테러리스트들이 세계 경제를 주무르는 유태인들을 겨냥하였을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이 책은 아랍-이스라엘 갈등의 핵심에 위치한 유태인들의 4,000년 역사를 더듬고 있다. 저자는 언론인 특유의 유려한 문체로 유태 민족의 이스라엘 건국을 비롯하여 굴곡 많은 유태 민족의 역사, 종교, 문화를 하나하나 파헤쳐 나간다.

1장 '작은 거인들'에서는 세계사에 족적을 남긴 칼 마르크스·아인슈타인·프로이트 등의 유태인물사를 훑는다. 유태인들은 노벨상 수상자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경제를 주름잡는 걸출한 경제인 들 중에도 역시 유태인이 많다.

2장 '작은 강대국'에서는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 즉 팔레스타인에 유태민족의 독립국가를 세우는 데 불을 당긴 시오니즘의 창시자 헤르즐의 열정과 이스라엘 건국의 드라마틱한 과정이 펼쳐진다. 세계 시오니스트 대회를 비롯하여 건국과 함께 시작된 아랍과이 다섯 차례에 걸친 전쟁을 다루고 있다.

3장 '유태인은 누구인가'에서는 아브라함에서 서기 70년 로마제국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유태민족의 흥망사를 다루고 있으며, 4장 '유태인은 어떻게 살아왔는가'에서는 국가 멸망 이후 세계 각지로 흩어져 핍박을 받아온 유태 민족의 유랑사를 조망하고 있다. 5장 '유태교, 어떤 종교인가'에서는 유대교와 기독교의 차이, 토라와 탈무드 등 유대교의 이모저모를 살피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유태 민족과 우리 민족의 차이와 그들로부터 배울 점을 논하면서 마무리한다. 저자는 유태 민족의 특성을 저항형, 극복형, 개척형, 진취형, 능동형으로, 우리 민족을 순응형, 수용형, 수동형이라고 규정하며, 유태인의 강점과 개성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