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송 전형필

이충렬 지음 | 김영사 펴냄

간송 전형필 (한국의 미를 지킨 대수장가 간송의 삶과 우리 문화재 수집 이야기)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8,000원 10% 16,2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10.5.3

페이지

408쪽

#문화재 #미술 #수장가

상세 정보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를 복원하고, 위창 오세창에서 월탄 박종화, 청전 이상범 등 당대 서화가와 문사들을 후원하며, 암흑의 식민지 조선에 탐미와 매혹의 근대예술을 꽃피운 간송 전형필. 그는 억만금 재산과 젊음을 바쳐 수장한 서화 전적, 골동들을 보존하기 위해 한국 최초의 개인 박물관 간송미술관을 세웠다.

왜 간송은 문화재 수집에 억만금을 쏟아부었는가? 그가 평생을 바쳐 이루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그가 이 땅에 남긴 서화, 도자기, 불상, 석조물, 서적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세기의 보물 <훈민정음>, 고려청자의 백미로 꼽히는 '천학매병', 겸재, 현재, 단원, 혜원, 오원, 추사 등 거장의 걸작 100점씩을 수집하기까지, 간송 전형필의 일대기를 담았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4

Geentle님의 프로필 이미지

Geentle

@geentle

한국의 미술사는 전형필 선생님 없이 서술 할 수 없기에, 한국사에 관심 있다면 꼭 읽어봐야 하는 책.
한국사에 관심이 없더라도.. 영앤리치 조선인이 보여주는 노블레스오블리제에 관한 내용이니 누구나 재밌게 읽을 수 있다.

간송 전형필

이충렬 지음
김영사 펴냄

2023년 7월 8일
0
주미애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주미애비

@xifb8pqu3kqa

#딸기철수🍓

감사합니다! 간송 전형필 선생님!🙇
.
일제시대 흩어질 뻔한 한국의 문화재를
사비로 소장하시고 최초의 사립 미술관을 설립하셔서 문화재 보존을 해주신 대단한 분!
.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라는 프로그램을 유심히 보면 유럽에서 오는 친구들이 한국에 오면 제일 처음 찾는 곳이 박물관이거나 전쟁기념관인 걸 보면서 나 스스로 우리 문화재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 되돌아볼 기회가 되었다. 그런 의미로 올해 보고 있는 책들이 역사관련된 것이 많다.
.
책을 읽는 내내 흥미진진한 추리소설을 보는 것처럼 손에 땀을 쥐며 보았고 소중한 문화재를 여러 경로를 통해 수장하게 될 때는 나도 모르게 ‘나이쓰’를 외쳤으며, 혹 몽유도원도와 같이 인연을 맺지 못한 문화재를 보면서 간송 전형필 선생님처럼 짧은 탄식이 흘러 나왔다.
.
누군가에게 인정받고 싶어 시작한 일이 아니기에,
돈만 많다고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에,
민족의 혼이자 얼을 지키는 일이기에,
대단하다는 말 밖에,
그리고 감사하다는 말씀 밖에 드릴 내용이 없다!
📖
‘내가 모으다 해방을 못 본다고 해도
너희들 대에서는 해방이 되겠지.
그래, 길게보자.
나는 열심히 모아 지키고,
훗날 좋은 시절 너희들이 세상에 알려라.
.
고려 청자의 아름다움을,
조선 백자의 단아함을,
신라와 고려 석탑의 당당함을,
학문이 깊어 아름다운 활자로 책을 만들어 냈음을,
진경 산수로 조국의 산천을 그려낸 겸재 정선이 있었음을,
꽃과 나비를 사랑한 현재 심사정이 있었음을,
시대의 풍속을 그려낸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이 있었음을,
추사 김정희와 같은 명필이 있었음을,
우리의 문화와 역사가 결코 초라하지 않았음을....
.
내가 알리지 못하면 너희들이 알려라.
앞으로도 계속 모으고 지킬테니,
내가 왜 조선의 역사와 문화의 흔적들을 미친 듯이 모았는지 너희들의 세상에서라도 알려다오.
.
#간송전형필#이충렬#김영사#책스타그램#북스타그램#독서스타그램#역사스타그램#문화재스타그램#간송미술관#꼭_가봐야지#2018년_꼭_가야될_장소

간송 전형필

이충렬 지음
김영사 펴냄

2018년 2월 13일
0
JJ님의 프로필 이미지

JJ

@jj3ayf

전 재산을 털어 우리 문화재를 지킨 간송 전형필 선생 이야기. 이런 분이 계셨다는 사실에 너무 감사하다.

간송 전형필

이충렬 지음
김영사 펴냄

읽었어요
2016년 9월 12일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를 복원하고, 위창 오세창에서 월탄 박종화, 청전 이상범 등 당대 서화가와 문사들을 후원하며, 암흑의 식민지 조선에 탐미와 매혹의 근대예술을 꽃피운 간송 전형필. 그는 억만금 재산과 젊음을 바쳐 수장한 서화 전적, 골동들을 보존하기 위해 한국 최초의 개인 박물관 간송미술관을 세웠다.

왜 간송은 문화재 수집에 억만금을 쏟아부었는가? 그가 평생을 바쳐 이루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그가 이 땅에 남긴 서화, 도자기, 불상, 석조물, 서적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세기의 보물 <훈민정음>, 고려청자의 백미로 꼽히는 '천학매병', 겸재, 현재, 단원, 혜원, 오원, 추사 등 거장의 걸작 100점씩을 수집하기까지, 간송 전형필의 일대기를 담았다.

출판사 책 소개

조선의 문화예술사 연구가 전무하던 시대, 탁월한 심미안으로 한국美의 품격과 기준을 만든 선각자! 일제강점기 절망의 시대, 조선의 국보와 혼을 지킨 수문장! 간송 전형필, 그는 무엇을 꿈꾸었는가? 오늘 비로소 간송의 시대, 간송의 전설을 만난다!

지금까지 한번도 공개되지 않았던 간송의 삶, 비밀의 수장고가 열린다!
왜 간송은 문화재 수집에 억만금을 쏟아부었는가? 그가 평생을 바쳐 이루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그가 이 땅에 남긴 서화, 도자기, 불상, 석조물, 서적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10년의 연구조사, 100여 장의 원색사진, 간송가의 도판 협조와 감수로 마침내 세상에 나오는 간송 전형필 일대기!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를 복원하고, 위창 오세창에서 월탄 박종화, 청전 이상범 등 당대 서화가와 문사들을 후원하며, 암흑의 식민지 조선에 탐미와 매혹의 근대예술을 꽃피운 간송. 억만금 재산과 젊음을 바쳐 수장한 서화 전적, 골동들을 보존하기 위해 세운 한국 최초의 개인 박물관 간송미술관. 그는 한국의 미를 발굴하고 지킨 문화 국부(國父)였다! 세기의 보물 《훈민정음》, 고려청자의 백미로 꼽히는 ‘천학매병’, 겸재, 현재, 단원, 혜원, 오원, 추사 등 거장의 걸작 100점씩을 수집하기까지! 천하 명품들에 숨겨진 드라마보다 더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지금까지 한번도 공개되지 않은 간송의 삶, 비밀의 수장고가 열린다!
성북동의 ‘간송미술관’ 전시가 열리는 봄, 가을이면 전국이 들썩인다. 관람자들은 적어도 한두 시간은 미술관 밖에서 기다려야 한다. 정선, 김홍도, 신윤복, 김정희 등 우리 예술의 명품과 진품을 보기 위해서, 매년 1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운집한다.
간송미술관의 소장품은, 질적인 면에서 국내 국.공.사립을 불문하고 명실 공히 최고이다. 삼국시대부터 조선말 근대에 이르기까지 전 시대에 걸쳐 있으며, 서화는 물론 조각과 공예 등 조형미술 모든 분야를 아우른다. 국보 12건, 보물 10건 등 22건의 국가 지정문화재와 뜰에 전시된 석탑, 부도, 불상 등 서울시 지정문화재 4건 외에 전체 규모를 알 수 없는 이곳은 ‘민족 문화유산의 보고’라 지칭된다. 그래서 간송미술관 소장품만으로 한국미술사를 서술할 수 있으며, 이를 제외한 한국회화사는 상상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국내 최초 사립 미술관인 간송미술관의 설립자이자 조선 제일의 수장가 간송 전형필(1906-1962)의 삶과 문화재 수집 이야기 《간송 전형필》이 김영사에서 출간되었다. 조선의 문화예술사 연구가 전무하던 시대 탁월한 심미안으로 한국美의 품격과 기준을 만든 선각자, 일제강점기 절망의 시대 조선의 국보와 혼을 지킨 수문장 간송 전평필. 그는 왜 문화재 수집에 억만금을 쏟아부었는가? 그가 평생을 바쳐 이루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그가 이 땅에 남긴 서화, 도자기, 불상, 석조물, 서적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10년의 연구조사, 100여 장의 원색사진, 간송가의 자료협조와 감수로 마침내 간송 전형필 일대기를 만난다!

간송家에서 감수하고 공인한 최초 평전
이 책은 간송 전형필의 선각자적이고 감동적인 삶에 대한 평전이다. 일제강점기 엄청난 유산을 물려받았으나 편안히 유유자적 사는 대신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선택한 간송의 삶에 매료된 저자는, 놀라우리만치 집요한 자료 수집과 취재, 철저하고 세심한 고증을 바탕으로 간송의 삶과 시대를 완벽하게 되살려내었다. 왜 간송이 문화재 수집에 모든 재산과 젊음을 바쳤는지, 그에게 어떤 번민과 고통이 있었는지, 그를 사로잡았던 한국의 미가 무엇이었는지를, 실제 간송의 마음을 들여다보듯 생생히 재현해내었다.
이 책의 내용에 대해서는 간송 전형필의 장자인 전성우 화백이 공인하고 감수를 했다. 초고를 읽은 간송家로부터 자료와 도판 협조를 받고 자문을 얻었다. 따라서 이 책은 간송 전형필의 실존적 삶 구석구석을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는 평전이자 정전이다. 그의 탄생 100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비로소 간송을 만나게 되었다!

한국의 미를 지킨 문화 국부國父 간송, 예술의 시대 심미의 시대를 꽃피우다!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를 복원하고, 위창 오세창에서 월탄 박종화, 청전 이상범 등 당대 서화가와 문사들을 후원하며, 암흑의 식민지 조선에 탐미와 매혹의 근대예술을 꽃피운 간송. 억만금 재산과 젊음을 바쳐 수장한 서화 전적, 골동들을 보존하기 위해 세운 한국 최초의 개인 박물관 간송미술관. 그는 한국의 미를 발굴하고 지킨 문화 국부였다!
서울 종로 4가의 99칸 대가의 집 자손이었던 전형필은 ‘식민지 시대 조선 청년으로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였다. 도서 수집에 열정적이던 전형필은 독립투사이자 시대의 감식안이었던 오세창을 만나면서 삶에 큰 전기를 마련하게 된다. 《근역서화징》이라는 우리나라 역대 서화가들의 총서를 집필하고 있던 스승의 모습에 전형필은 큰 감동을 받았다. 그는 온 재산을 털어서라도 일제가 빼앗으려는 문화유산을 조선 땅에서 지켜내고자 결심하게 된다.
그 후 그는 억만금 재산과 젊음을 바쳐 일본으로 유출되는 서화, 도자기, 불상, 석조물, 서적들을 수집해서 이 땅에 남겼다. 일본으로 건너간 문화재 중에서도 꼭 찾아와야 할 가치가 있다는 판단이 서면, 값을 따지지 않고 조선 땅으로 돌아오게 했다.
또한 간송은 미술관을 세운 북단장에서 위창을 비롯한 고희동, 월탄 박종화, 청전 이상범, 심산 노수현 등 당대 서화가와 문사들과 교유하며, 이들의 후원자 역할을 한다. 암흑의 식민지 조선에 문화예술의 꽃을 피우며 근대를 열었다.
식민지 시대 조선 청년으로서 무엇을 할 것인지 정체성에 대해 고민했던 소년 전형필이 어떻게 해서 조선 제일의 수장가로 한국미의 품격과 기준을 만든 선각자가 되었는지, 하늘이 내린 부를 시대와 민족을 위해 어떻게 가치 있게 활용하며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게 되었는지, 차분하고도 설득력 있게 좇고 있는 이 책은 큰 감동을 안겨준다.
간송은 개인적 치부가 아닌, 가치 있는 일에 재산을 사용하는 것이 부자의 진정한 소임이라고 깨달은 사람으로서 가히 존경받을 만한 부자였다. 부자의 도덕적 의무를 이야기 할 만큼 사회가 안정적이지 않았지만 선각자로서 한 시대를 앞서 간 사람이었다.

천학매병에서 훈민정음까지, 사랑하였으므로 행복하였다!
세기의 보물 《훈민정음》, 고려청자의 백미로 꼽히는 천학매병, 겸재, 현재, 단원, 혜원, 오원, 추사 등 거장의 최고 걸작 100점씩을 수집하기까지! 간송이 국보급 명품과 보물을 찾고 소장하기 위해 벌인 승부의 명장면들. 간송의 마음을 뒤흔든 최고의 보물은 무엇이었을까? 천하 명품들에 숨겨진, 드라마보다 더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간송은 값의 고하를 따지지 않고 명품 위주로 수집했기 때문에 많은 국보급 문화재를 모을 수 있었다. 일본에 유출된 《혜원전신첩》(국보 제135호)을 파격적인 가격으로 되사왔고, 심사정이 타계 전해인 1768년 62세 때 그린 818센티미터에 이르는 발군의 대작 <촉잔도>는 보존 상태가 나빴음에도 불구하고 거금을 주고 샀을뿐더러 일본으로 보내 그림 가격만큼 많은 돈을 들여 보수했다.
청자 가운데 최고의 매병으로 꼽히는 국보 제68호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을 수장한 것은 1935년으로 간송의 나이 30세 때였고, 고려청자 최고 컬렉터로 일본 주재 영국인 변호사 존 개스비의 소장품 전체를 인수한 것이 1938년이다. (398쪽)

1943년 《훈민정음》을 입수한 것은 특히나 극적이었다. 《훈민정음》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전형필은 당시 집 열 채 값에 해당하는 1만원을 지불하고 입수했다. 한글 탄압을 일삼던 일제가 알면 문제가 될 것을 염려하여 비밀리에 보관하다가 1945년 광복 후에 이를 공개했다. 우리 역사상 최고의 발명품이자 그 창제 동기가 분명히 밝혀진 ‘훈민정음’이 세상에 빛을 본 것에는 전형필의 숨은 노력이 컸다.

전형필은 일본에까지 가서 우리의 문화유산을 찾아오기도 하였다. 지금도 조선시대 풍속화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신윤복의 그림이 담겨 있는 《혜원전신첩》(국보 135호)은 전형필이 일본에서 찾아온 작품이다. 이외에도 고려청자, 조선백자, 김홍도와 정선의 그림, 김정희의 서화 등 최고의 문화재들이 전형필의 손을 거쳐 현재는 간송미술관에 보관되어 있다.
이제 그의 유업은 장자인 전성우에 이어졌고, 1966년에는 전형필의 소장품을 정리,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민족미술연구소와 간송미술관이 발족되었다. 현재 간송미술관에서는 1년에 두 차례 봄과 가을에 정기적으로 특별전시회를 개최하여 우리 문화재의 최고 걸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