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도서관에서 기적을 만났다

김병완 지음 | 아템포 펴냄

나는 도서관에서 기적을 만났다 (11년차 평범한 직장인에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기까지 그 1000일간의 이야기)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4,000원 10% 12,6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3.7.26

페이지

272쪽

상세 정보

분야를 넘나들며 ‘일주일에 한 권씩 책을 찍어내는 남자’ ‘신들린 작가’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열정적인 집필 활동을 하고 있는 출판계의 신성(新星), 김병완 작가. 이 책은 저자가 직접 3년 동안 도서관에서 겪은 ‘자기변신’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가 말하는 도서관의 힘, 책의 힘은 지식의 축적도 능력의 향상도 아니다. 도서관의 진짜 힘은 ‘의식의 도약’에 있다. 저자는 도서관에서 3년 동안 책을 읽음으로써 얻게 된 것은 인생에 대한 큰 의식이라고 말한다.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을 생각하게 되고, 이전에는 행동에 옮기지 못했던 것들을 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큰 의식으로의 도약은 인생을 조급하게 보고 세상(남)만 좇아 살게 되는 옛 습관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길을 뚜벅뚜벅 ‘바보처럼’ 걸어갈 수 있게 만들었다고 말한다.

그에게 도서관은 가진 자들만의 특권이 아닌, “오히려 힘없고, 가진 것 없고, 아무것도 모르는 나와 같은 이들의 진정한 친구”였다. 또한 “아무것도 가진 것 없는 중년의 평범한 남자가, 아무 경험도 없는 초년의 젊은이가, 아무 배경도 없는 노년의 어르신이 인생을 뒤바꿀 수 있는 유일한 도구는 오직 독서뿐”이기에, 독서를 하지 않는 것은 인생 최고의 낭비라고 이야기한다. 이러한 저자의 도서관 예찬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그 빛을 잃어가고 있는 도서관과 책의 진정한 힘과 가치를 다시 한 번 우리에게 되새겨 준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소행가님의 프로필 이미지

소행가

@menx0cygm8nm

이 책을 만난 것이 우연일까? 책을 다 읽고 난 지금, 내가 품고 있는 의문이다.

얼마전 네이버에서 책을 검색하다가 우연히 다른 블로거가 이 책에 대해 올린 글을 읽고 호기심이 생겨 선택했다.

"자발적 퇴직 - 도서관 출퇴근 - 3년간 만권 다독 - 글쓰기 시작 - 작가가 됨"으로 이어지는 저자의 이야기는 내가 "어쩌면?"이라고 생각한 나의 미래 그 자체였다. 물론 아직은 글쓰는 것이 정말 좋아하는 일인지 확신이 없다. 다만 앞으로 만나게 될 여러 선택지 중 하나일 뿐이다.

저자는 퇴직과 동시에 연고도 없는 곳으로 이사를 했고 은둔하여 3년동안 책만 읽었다고 한다. 난 은둔은 싫다. 직장에서 소통에 서툴러 병까지 얻은 내게 은둔은 독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서관으로 출퇴근해서 주구장창 책만 읽고 싶다는 생각은 저자와 같다. 난 시한도 정하지 않았다. 어쩌면 남은 생 전부를 이렇게 살지도 모르겠다. 내가 장난스럽게 지은 말 "도서관깨기"를 할지도...

한가지 더 저자와 비슷한 점은 퇴직 후 도서관으로 출퇴근하게된 배경이다. 내가 도서관으로 가는 이유는 다음 3가지다.

처음에는, 내 자신이 무엇을 진정으로 좋아하는 지 잘 몰라 "혹여 책을 많이 읽으면 알 수 있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에서 출발했다. 바로 이 점은 저자와 완벽하게 일치한다. 그래서 슬프게 느껴진다. 나뿐만이 아니라 이시대 대부분 중장년들이 자신이 뭘 좋아하는 지도 모르고 기존 틀에 맞추어 살고 있는 것 아닌가?!해서...

두번째로는, 얼마전 읽은 "트렌드 코리아 2015" 란 책에서 소개된 트렌드들 중 대부분을 모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면서 "섣부른 창업 대신 도서관가서 책을 통해 세상을 먼저 배워야 겠다" 라고 생각해서다.

그리고 마지막은, 여러 책을 읽으면서 내 병의 원인에 대해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어찌되었건 저자는 나의 롤모델 중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비슷한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건 내겐 큰 힘이자 위로다. 나 혼자가 아니라는 생각에 행복하다.
(저자: 김병완)

나는 도서관에서 기적을 만났다

김병완 지음
아템포 펴냄

2017년 8월 9일
0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분야를 넘나들며 ‘일주일에 한 권씩 책을 찍어내는 남자’ ‘신들린 작가’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열정적인 집필 활동을 하고 있는 출판계의 신성(新星), 김병완 작가. 이 책은 저자가 직접 3년 동안 도서관에서 겪은 ‘자기변신’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가 말하는 도서관의 힘, 책의 힘은 지식의 축적도 능력의 향상도 아니다. 도서관의 진짜 힘은 ‘의식의 도약’에 있다. 저자는 도서관에서 3년 동안 책을 읽음으로써 얻게 된 것은 인생에 대한 큰 의식이라고 말한다.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을 생각하게 되고, 이전에는 행동에 옮기지 못했던 것들을 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큰 의식으로의 도약은 인생을 조급하게 보고 세상(남)만 좇아 살게 되는 옛 습관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길을 뚜벅뚜벅 ‘바보처럼’ 걸어갈 수 있게 만들었다고 말한다.

그에게 도서관은 가진 자들만의 특권이 아닌, “오히려 힘없고, 가진 것 없고, 아무것도 모르는 나와 같은 이들의 진정한 친구”였다. 또한 “아무것도 가진 것 없는 중년의 평범한 남자가, 아무 경험도 없는 초년의 젊은이가, 아무 배경도 없는 노년의 어르신이 인생을 뒤바꿀 수 있는 유일한 도구는 오직 독서뿐”이기에, 독서를 하지 않는 것은 인생 최고의 낭비라고 이야기한다. 이러한 저자의 도서관 예찬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그 빛을 잃어가고 있는 도서관과 책의 진정한 힘과 가치를 다시 한 번 우리에게 되새겨 준다.

출판사 책 소개

나는 무엇인가? 나는 ‘도서관이 만든 인간’이다
그래서 나는 ‘메이드 인 라이브러리(made in library)’이다

1년 6개월 동안 33권의 책을 출간한 ‘신들린 작가’ 김병완
그가 온몸으로 체험한 1000일간의 도서관 이야기
“책에 미쳐라! 도서관에 미쳐라! 우리가 찾는 답이 그곳에 있다!”


분야를 넘나들며 ‘일주일에 한 권씩 책을 찍어내는 남자’ ‘신들린 작가’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열정적인 집필 활동을 하고 있는 출판계의 신성(新星), 김병완 작가. 2011년 말부터 1년 6개월(2013년 6월) 만에 33권의 책을 출판한 저자는 이번 책에서 자신의 ‘신들린 글쓰기’의 비밀을 밝혔다.
“낙엽 지던 어느 가을날 길가에 뒹구는 나뭇잎들을 보고 불현듯 ‘바람에 뒹구는 쓸쓸한 저 나뭇잎’이 내 신세와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 나와 같은 직장인의 미래가 연상되면서 온몸에 심한 충격이 왔다. 몇 달을 고민하다 2008년 12월 31일, 나는 여느 때와 다를 바 없이 팀원들을 퇴근시킨 후 혼자 남아서 짐을 꾸렸다. 그리고 퇴사 수속을 밟고 조용히 회사를 나왔다.”
이렇게 11년간 몸담았던 회사(삼성전자)와 작별을 고한 그는 아무 연고도 없는 부산으로 온 가족을 데리고 내려가 1000일 동안 도서관에 거의 칩거하다시피 하며 매일같이 10~15시간씩 책만 읽었다. 그동안 읽은 책이 거의 만 권에 달한다. 그러던 어느날 갑자기 터진 글쓰기의 욕망을 주체할 수 없어 ‘미친 사람처럼’ 1년 동안 글쓰기에 몰두한다. 결국 그는 자신의 의도와는 전혀 달리 평범한 직장인에서 작가로 변신하게 된다. 그의 변신은 인생2막이 점점 중요해지는 이 시대의 직장인들에게 특별한 의미로 다가온다.
이번 책 《나는 도서관에서 기적을 만났다》는 저자가 직접 3년 동안 도서관에서 겪은 ‘자기변신’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가 말하는 도서관의 힘, 책의 힘은 지식의 축적도 능력의 향상도 아니다. 도서관의 진짜 힘은 ‘의식의 도약’에 있다. 저자는 도서관에서 3년 동안 책을 읽음으로써 얻게 된 것은 인생에 대한 큰 의식이라고 말한다.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을 생각하게 되고, 이전에는 행동에 옮기지 못했던 것들을 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큰 의식으로의 도약은 인생을 조급하게 보고 세상(남)만 좇아 살게 되는 옛 습관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길을 뚜벅뚜벅 ‘바보처럼’ 걸어갈 수 있게 만들었다고 말한다.

오직 책과 도서관뿐이었다!
도서관은 나에게 기적, 그 자체였다!


“가진 것도, 이룬 것도, 내세울 것도 전혀 없었던 나에게 책은 가진 자들이나 무엇인가를 이루고 내세울 것이 많은 이들과 경쟁에서 이길 수 있게 해주는 유일한 무기였다. 도서관은 마법 학교였다.”
저자의 도서관 예찬이다. 그에게 도서관은 가진 자들만의 특권이 아닌, “오히려 힘없고, 가진 것 없고, 아무것도 모르는 나와 같은 이들의 진정한 친구”였다. 또한 “아무것도 가진 것 없는 중년의 평범한 남자가, 아무 경험도 없는 초년의 젊은이가, 아무 배경도 없는 노년의 어르신이 인생을 뒤바꿀 수 있는 유일한 도구는 오직 독서뿐”이기에, 독서를 하지 않는 것은 인생 최고의 낭비라고 이야기한다. 이러한 저자의 도서관 예찬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그 빛을 잃어가고 있는 도서관과 책의 진정한 힘과 가치를 다시 한 번 우리에게 되새겨 준다.
“나는 지금도 나 자신을 작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나는 무엇인가? 나는 ‘도서관이 만든 인간’이다. 그래서 나는 ‘메이드 인 라이브러리(made in library)’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