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과 마흔사이 인생병법

노병천 지음 | 청림출판 펴냄

서른과 마흔사이 인생병법 (현명함이 필요한 인생의 순간 손자벙볍에서 길을 찾다)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5,000원 10% 13,5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2.7.30

페이지

312쪽

상세 정보

인생의 항로를 찾고자 고군분투하는 이들을 위한 지혜의 메시지다. 미국지휘참모대학 교환교수로《손자병법》을 강의하고, 전략을 최일선에서 다루는 리더들에게 손자병법의 전략을 가르친 스승으로 통하는 저자가, 《손자병법》을 만 번 이상 통독하는 동안 얻은 깨달음과 치열한 격전의 현장을 답사하며 얻은 지혜를 한 데 버무려 인생이라는 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소개한다.

이 책은 단순하게《손자병법》의 원리에 머물지 않고, 칭기스칸, 시저, 이순신 장군에 이르기까지 동서고금의 전쟁사를 접목시켜 전쟁 속에서 손자의 병법이 어떻게 규명되고, 또 우리의 삶에서는 어떻게 빛을 발할 수 있는지를 차근차근 짚어냈다는 점에서 기존의 책들과 차별화된다. 즉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한 가지 사건을 바라보는 여러 가지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이고, 역사와 철학을 넘나드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스스로 생각할 힘을 준다.

한편 저자는 《손자병법》의 13편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구절을 가려 뽑아 선택, 나를 지키기 위한 전략, 사람을 얻는 기술, 세파에 흔들리지 않고 단단하게 중심을 잡고 살아가는 법, 멈춰 서서 돌아봐야 할 때 마음에 새겨야 할 것 등으로 나눠 소개하면서 ‘온전한 나를 지키는 것’에 가장 중요한 방점을 찍는다. 싸우지 않고 승리하는 것이 진짜 승리라고 말하는 손자병법의 핵심 원리처럼 인생의 격랑에서도 ‘온전히 나를 지키고’, ‘더불어 함께 살기’ 위해서 필요한 지혜를 전하는 책이라는 의미이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단유님의 프로필 이미지

단유

@danyuvsyv

누군가의 이야기를 이렇게 재미나게 정성껏 귀 기울이는 작가가
매우 궁금해졌다. 내가 아는 세계 말고 너무 다양한 세계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나에게 다정하게 말을 건네는 고마운 책이다. 감사하다.

궁금한 건 당신

정성은 지음
안온북스 펴냄

24분 전
0
바이올렛님의 프로필 이미지

바이올렛

@yujung0602

  • 바이올렛님의 사랑에는 사랑이 없다 게시물 이미지

사랑에는 사랑이 없다

김소연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읽고있어요
58분 전
0
태수님의 프로필 이미지

태수

@xotnpjs

  • 태수님의 이재명 평전 게시물 이미지

이재명 평전

방현석 지음
도서출판 아시아 펴냄

읽었어요
1시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인생의 항로를 찾고자 고군분투하는 이들을 위한 지혜의 메시지다. 미국지휘참모대학 교환교수로《손자병법》을 강의하고, 전략을 최일선에서 다루는 리더들에게 손자병법의 전략을 가르친 스승으로 통하는 저자가, 《손자병법》을 만 번 이상 통독하는 동안 얻은 깨달음과 치열한 격전의 현장을 답사하며 얻은 지혜를 한 데 버무려 인생이라는 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소개한다.

이 책은 단순하게《손자병법》의 원리에 머물지 않고, 칭기스칸, 시저, 이순신 장군에 이르기까지 동서고금의 전쟁사를 접목시켜 전쟁 속에서 손자의 병법이 어떻게 규명되고, 또 우리의 삶에서는 어떻게 빛을 발할 수 있는지를 차근차근 짚어냈다는 점에서 기존의 책들과 차별화된다. 즉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한 가지 사건을 바라보는 여러 가지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이고, 역사와 철학을 넘나드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스스로 생각할 힘을 준다.

한편 저자는 《손자병법》의 13편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구절을 가려 뽑아 선택, 나를 지키기 위한 전략, 사람을 얻는 기술, 세파에 흔들리지 않고 단단하게 중심을 잡고 살아가는 법, 멈춰 서서 돌아봐야 할 때 마음에 새겨야 할 것 등으로 나눠 소개하면서 ‘온전한 나를 지키는 것’에 가장 중요한 방점을 찍는다. 싸우지 않고 승리하는 것이 진짜 승리라고 말하는 손자병법의 핵심 원리처럼 인생의 격랑에서도 ‘온전히 나를 지키고’, ‘더불어 함께 살기’ 위해서 필요한 지혜를 전하는 책이라는 의미이다.

출판사 책 소개

“치열한 인생의 전장에서 극적인 승리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나를 온전히 지키는 것이다!”
《손자병법》13편과 동서고금의 전쟁사에서 길어 올린 삶의 철학


사는 게 팍팍한 세월, 어디 하나 마음 붙일 곳도 없고, 변화의 속도는 얼마나 빠른지 눈 깜짝하면 주변의 많은 일들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시대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몇 천 년 전의 지혜가 담긴 고전 읽기에 열을 올린다. 이는 시대가 바뀌고, 환경이 바뀌어도 사람의 인생이라는 바퀴가 돌아가는 방식과 형태는 그리 많이 다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게 사람들은 고전을 통해 만고萬古의 진리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삶을 사는 데 필요한 지혜는 세월을 지나오며 여러 사람의 이야기들이 더해지게 마련이고, 장이 숙성되듯 깊어지고, 향긋해지면서 더 맛있어지는 법이니 말이다. 모든 인문학이 인문人文, 즉 사람에 관한 탐구이듯 우리가 고전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인류가 쌓아올린 단단한 삶의 철학, 즉 단편적 지식이 아닌 살아 숨 쉬는 지혜일 것이다.
《손자병법》역시 이렇게 우리 시대에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고전 중 하나이다. 이 책은 지난 2500년간 동양 최고의 병서로 인정받으며 많은 이들에게 중요한 통찰력을 제시해왔다. 마이크로 소프트의 빌 게이츠는 ‘오늘날 나를 만든 것은 손자의 병법이다’라고 밝힌 바 있으며 소프트뱅크의 손정의는 《손자병법》을 경영 전략으로 삼으며 자신만의 철학으로 승화시킨 《제곱병법》을 인생과 경영의 지침서로 삼았다. 고전 등을 낡은 구습으로 여겨 끊어내고자 했던 모택동조차 죽는 날까지《손자병법》을 침상에 두었다고 한다. 이들은 모두 《손자병법》을 결정적 순간, 인생과 경영의 좌표를 찾고, 수신제가修身齊家 하는 지침서로 삶았다.
신간 《서른과 마흔 사이 인생병법》은 이처럼 인류 최고의 고전 중 하나로 꼽히는《손자병법》과 인류 전쟁사를 평생에 걸쳐 연구해온 저자가 《손자병법》과 동서고금의 전쟁사에서 길어 올린 인생 지혜를 현대를 사는 우리의 삶에 현명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책이다.

현명함이 필요한 인생의 순간,
《손자병법》에서 인생의 빛을 찾다!


《서른과 마흔 사이 인생병법》은 인생의 항로를 찾고자 고군분투하는 이들에게 세월을 먼저 살아낸 이들이 전하는 인생 멘토링이다. 미국지휘참모대학 교환교수로《손자병법》을 강의하고, 전략을 최일선에서 다루는 리더들에게 손자병법의 전략을 가르친 스승으로 통하는 저자가 평생 동안 연구해온 《손자병법》과 전쟁, 치열한 격전의 현장을 답사하며 얻은 인류의 지혜, 스스로 쌓아올린 삶의 연륜과 경험을 한 데 버무려 인생이라는 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인생병법으로 풀어냈다.
특별히 저자는 서른과 마흔 사이의 인생에 주목한다. 이는 서른과 마흔 사이의 시절이 인생의 어느 순간 보다 더 치열하고, 소용돌이 한 가운데 서 있으며, 다시 물음표에 서야 하는 시절인 동시에 쉬워 보이던 일조차 어려워지는 시기면서도 여전히 가슴 끓는 꿈과 도전이 살아 있는 인생의 절정絶頂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무언가 완벽해지기 위해 끊임없이 갈구하며 욕망하는 시기이고, 그렇기에 또 좌절하게 되는 시기인 이 서른과 마흔 사이를 현명하게 잘 넘어서면 기나 긴 인생의 항로에서 길을 잃지 않을 등대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스스로 그런 인생의 빛을 찾게 해준 《손자병법》을 통해 누구나 인생 굽이길을 더 지혜롭게 넘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 완전보다 온전함을 선택하는 현명함
이 책을 통해 저자가 가장 핵심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바로 ‘온전한 나를 지키는 것’이다. 저자는 손자병법의 6,109자에서 단 한 글자만 남기라면 그것은 다름 아닌 ‘온전할 전全’이라고 강조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은 ‘완전’이 아닌 ‘온전’이라는 의미가 더 강하다고 하면서, 완전은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갖춰져 있는 상태를 말하지만, ‘온전’은 ‘처음 형태 그대로 보존된 상태’라고 설명한다. 즉 피 흘리며 이기는 전쟁은 상대는 물론 자기 자신에게도 이롭지 않고, 가장 지혜로운 승리는 ‘상대도 나도 다치지 않는’ 소리 없는 승리라는 것이다. 이런 원리를 설명하면서 저자가 적용하는 예화들은 그 폭이 참으로 넓다. 예컨대 ‘온전한 나를 지키는 것’의 핵심을 전하는 군형軍形 제4편 ‘자보이전승自保而全勝’의 원리를 밝히면서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영화 ‘록키’로 이야기의 서막을 연다. 열정을 폄하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똑똑하게, 좀 더 피해를 줄이며 싸워야 진정한 승리이지 록키처럼 눈두덩이가 파랗게 오르는 승리는 이겨도 손해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야기의 서막은 이렇게 열었으나 구체적인 예화를 짚어내면서는 승리가 오히려 파국을 불러온 피로스의 로마 침공을 꼽았다. 피로스의 승리라고 불리는 이 전투에서 피로스는 군대의 3분의 1이상을 잃었고, 결국 스파르타와의 전투에서 피로스가 사망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그렇다고 해서 전쟁을 피해 다니라는 것은 아니다. 심산유곡에 묻혀 살 것이 아닌 한 경쟁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니, 그저 관심을 ‘이긴다’에 집중하지 말고 ‘어떻게 하면 현명하게 싸울 것인가’에 집중하라는 것이다.

- 인사가 만사다. 사람에 대한 근원적인 태도
한편 저자는 ‘사람’에 대한 관심을 중요하게 꼽는다. 인생의 모든 굴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사람이고, 이들과 신뢰를 쌓는다면 두려울 것이 없다고 말한다. 신뢰로 묶인 강한 연대는 그 어떤 시련에서도 뒤로 물러서지 않고 서로를 의지하며 앞으로 나갈 수 있는 힘을 준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누군가 먼저 내게 무엇을 해주길 바라는 것’이 아니라 ‘내가 먼저 나서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밝힌다. 이 원리를 설명하며 저자는 구지九地 제11편 ‘방마매륜 미족시야方馬埋輪 未足恃也’의 고사를 제시하고, 5만 명이서 34만 명의 갈리아군과 맞서 로마의 승리를 이뤄낸 카이사르의 전투를 소개한다. 카이사르는 전투 시 말에서 내릴 때면 반드시 말을 한 곳에 매어두었다고 한다. 카이사르가 먼저 그렇게 하면 휘하의 모든 장교들도 자기 말을 그곳에 매어두었음은 물론이다. 이는 어떤 위기 상황이 오더라도 그 자리를 떠나지 않고 병사들과 함께 그 상황을 이겨내겠다는 결의를 다지는 일종의 예식이었고, 카이사르를 역사상 가장 위대한 리더 중 한 명으로 만든 원천이 되었다는 것이다.

- 스스로 낮아지고, 겁쟁이가 되는 용기
저자는 또한 병세兵勢 제5편의 난생어치 겁생어용 약생어강亂生於治 怯生於勇 弱生於强을 들어 혼란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나 겁쟁이처럼 보이는 것도 사실 스스로 잘 절제되어 있고, 용감함이 없으면 불가능한 것이며 오히려 약한 자가 강하게 보이기 위해 핏대를 세우고 목소리를 높인다고 강조한다. 자기 중심만 명확하면 주변에서 어떤 자극을 주어도 일희일비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순간 자기 힘을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이를 흉노족의 침입이 많던 중국 변방을 지키던 대장군 이목의 승리를 예화로 설명한다. 잦은 흉노의 도발에도 맞서지 않아 ‘겁쟁이’라고 손가락질을 당하면서도 굴하지 않고 스스로 힘을 키워 방심한 흉노를 단번에 몰아낸 대장군 이목의 예화는 사소한 일에 분노하고, 시쳇말로 ‘욱’하는 성질을 이기지 못해 정작 실리는 챙기지 못하는 오늘의 우리에게 처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황이 아니라 바로 ‘나 자신’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이처럼 저자는 《손자병법》의 문리를 꿰뚫으며 그 원리를 가장 극대화시켜 보여주는 전쟁사의 이야기들을 짚어내 우리에게 인생에서 취해야 할 태도를 전한다. 더불어 이런 모든 논의를 통해 그는 인류사에서 최고의 경쟁과 전쟁의 전략으로 꼽히는 《손자병법》을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치열한 전투를 벌이라고 재촉하는 책이 아니라 어떻게 하든 전쟁을 막고, 승산을 따지고, 물러설 때 물러설 줄 아는 일종의 화해의 전략으로 읽어낸다. 군사의 전략을 다루는 병법이 실은 싸우지 않고 서로가 함께 이기기 위한 상생을 말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아이러니 하다. 하지만 상대를 자극하지 않고 도망갈 구멍을 남겨주어 일촉즉발의 핵전쟁 위기를 넘어선 러시아와 미국의 쿠바를 둘러싼 대치 상황이나 낮은 자세로 임해 안하무인이던 명나라 장수 진린을 제 편으로 끌어들여 조선의 승리라는 대의를 이끌어낸 이순신 장군의 예화 등을 통해 진짜 이기는 것이 무엇인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한편 이 책은 다른 《손자병법》 관련 책과 달리 《손자병법》 13편을 순차적으로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그중 가장 핵심이 되는 구절만을 가려 뽑고 이를, 분별과 선택, 나를 지키기 위한 전략, 모든 일의 가장 근원이 되는 사람을 얻는 지혜, 세파에 흔들리지 않고 단단하게 중심을 잡는 처세술, 멈춰 서서 돌아봐야 할 때 마음에 새겨야 할 것 등으로 나눠 소개한다. 이는 우리로 하여금 순간순간 우리 앞에 닥치는 인생의 격랑을 우리가 어떤 태도로 넘어서야 하는지를 스스로 궁리해 볼 수 있게 해준다.

37년간 《손자병법》과 전쟁을 연구해온 전문가가 제안하는 인생병법

이 책의 저자인 한국전략리더십센터 노병천 원장은 《손자병법》으로는 십 수 년 전부터 이름을 알려온 사람이다. 《손자병법》을 조금이라도 공부해본 이라면, 원문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손자병법》입문서의 저자로 그를 꼽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그의 책은 육군사관학교에서는 교재로 삼아 군사 전략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었을 정도이고, 필독서로 읽히고 있다. 이는 저자가 손자병법에 관한 한 누구도 따라오기 힘들 정도로 깊이 있는 연구와 저술활동을 해왔음을 증거한다.
더 중요한 것은 그가 단순히 《손자병법》에만 천착한 것이 아니라 인류의 역사 속에서 전쟁의 의미와 그 안에 살아 숨 쉬는 불세출의 인물들의 이야기 안에서 《손자병법》의 원리를 짚어낸다는 데 있다. 그의 인생은 《손자병법》을 연구하고, 이 원리를 인생이라는 치열한 전장에서 어떻게 접목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고, 또 이렇게 얻은 깨달음을 만인에게 알리는 데 바쳐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젊은 날부터 읽기 시작한 손자병법을 37년에 걸쳐 1만 번 통독하였고, 1000번 이상 정독하면서 그는 손자병법의 원리를 꿰뚫었음은 물론 전쟁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이고, 그것이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전하는지 깨달았다고 한다.
저자의 이런 노력은 우리가 지금껏 알아온 《손자병법》에 대한 지식에서 잘못된 부분을 짚어내고, 남다른 시각과 깊이 있는 해석을 가능하게 했다. 이 점은 이 책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데 우리가 흔히 ‘지피지기 백전백승知彼知己 百戰百勝’이라고 알고 있는 구문에 대해서 저자는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百戰不殆’라고 꼬집는다. 다시 말해 ‘나를 알고 상대를 알면 백번 싸워 백번 이기는 것’이 아니라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저자의 깊은 내공은 어려운 병법을 우리의 실생활 요소요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가장 이해하기 쉬운 형식으로 전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일간지 연재 기사는 높은 조회수와 독자 반응을 일으켰으며, SERI CEO 인기강사, 아침마당 인기강사라는 수식어를 가져다주었다. 그만큼 그의 《손자병법》독해는 재미와 지혜라는 두 마리 토끼 모두를 놓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손자병법》을 천 번 읽으면 신과 통하는 경지에 이른다는 ‘손자천독달통신孫子千讀達通神’이라는 말이 있다고 한다. 이는 《손자병법》이 세상의 모든 지혜를 압축해놓은 책이며 동시에 그만큼 중요한 인생의 이정표를 제시해주는 책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저자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손자병법》은 어수선하고 복잡한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길을 잃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희망과 용기를 주는 책이라고 강조한다.
《서른과 마흔 사이 인생병법》은 이처럼 인생의 어떤 순간, 어떤 상황에서건 흔들리지 않고, 희망에 집중하고 용기를 가지게 해주게 해줄 것이다.

·인생의 이정표가 되어주는 《손자병법》 지혜의 정수·
자보이전승自保而全勝 _ 스스로 보존하면서 온전한 승리를 얻어라.
부전이굴인지병 선지선자야不戰而屈人之兵 善址善者也_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가장 좋다.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白戰不殆_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