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장 연결 연구

마쯔자키 마히루 지음 | 소통 펴냄

한국어 문장 연결 연구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5,000원 10% 13,5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3.8.15

페이지

320쪽

상세 정보

'한국어 교육 학술총서'. 마쯔자키 마히루의 <한국어 문장 연결 연구>. 지시, 접속, 생략의 문장 연결 양상을 텍스트의 넓은 전후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서론', '문장 연결에 대한 선행 논의', '지시의 문장 연결', '접속의 문장 연결', '생략의 문장 연결', '결론' 총 6장으로 구성되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초코숑님의 프로필 이미지

초코숑

@chocoshong

  • 초코숑님의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5 게시물 이미지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5

J.K. 롤링 지음
문학수첩 펴냄

읽었어요
11분 전
0
초코숑님의 프로필 이미지

초코숑

@chocoshong

  • 초코숑님의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4 게시물 이미지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4

J.K. 롤링 지음
문학수첩 펴냄

읽었어요
11분 전
0
그램님의 프로필 이미지

그램

@geuraem

얄팍한데 중세에 관심생김

중세의 잔혹사 마녀사냥

양태자 지음
이랑 펴냄

2시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한국어 교육 학술총서'. 마쯔자키 마히루의 <한국어 문장 연결 연구>. 지시, 접속, 생략의 문장 연결 양상을 텍스트의 넓은 전후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서론', '문장 연결에 대한 선행 논의', '지시의 문장 연결', '접속의 문장 연결', '생략의 문장 연결', '결론' 총 6장으로 구성되었다.

출판사 책 소개

사회의 정보화가 가속화되면서 텍스트가 대량으로 생산됨에 따라 문자 언어의 중요성은 더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한국어 텍스트를 구성하는 문장과 문장의 연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그리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한국어의 문장 연결은 여러 수단으로 인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수단의 쓰임 또한 다양하다. 한국어 텍스트의 문장 연결 양상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어의 문법 연구임과 동시에 한국어 텍스트의 이해를 돕는 것이기도 하다. 한국어의 정확한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모색이라 하겠다. 이 연구는 텍스트 내에서 사용된 지시, 접속, 생략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문장 연결2) 양상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지시, 접속, 생략은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수단이므로 문장을 단위로 하는 연구에서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문법적 사항이므로 텍스트의 의미 구성을 논하는 연구에서 다루기도 쉽지 않은 부분이다.
그러나 한국어 텍스트에서 문장이 연결되는 데에는 지시, 접속, 생략이 중요한 기능을 하며, 한국어의 문장의 연쇄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에도 반드시 필요하다. 즉 한국어의 문장 연결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꼭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라 하겠다.
원활한 문장 연결을 위해서는 인접된 두 문장 사이에 의미적 정합성(整合性) 및 문법적 정합성이 모두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의미적 정합성에 결함이 있다는 것은 응집성의 결함을 뜻하기 때문에, 문장 연결이 아닌 문장 나열의 상태가 되어 텍스트가 되지 못한다.
문법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독자는 문법적 결함 때문에 의미파악에 실패할 수도 있다. 간혹 문법적 오류에도 불구하고 추론에 성공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발견하는 경우에는 그 문장들은 텍스트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도 한국어의 문장 규칙을 어기고 있기 때문에 원활한 문장 연결이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인접된 두 문장만은 아닐 것이다.
직전의 선행문장보다 더 앞에 있는 선행문장과의 관계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텍스트에서 선행되는 여러 문장이 같은 주제에 대해 기술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러한 여러 문장을 가리켜 뒤의 기술이 이어지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텍스트에서의 문장 연결은 단순히 인접된 두 문장의 관계만 보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정확한 문장 연결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접된 두 문장에서 범위를 더 넓혀 선행문장과 후행문장의 관계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시, 접속, 생략의 문장 연결 양상을 텍스트의 넓은 전후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서문에서 발췌)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