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아들

지음 | 펴냄

왕의 아들 (조선왕조 엽기 실록)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6,000원 10% 2,4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2.10.1

페이지

0쪽

상세 정보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LGO님의 프로필 이미지

LGO

@gaon__lee0819

  • LGO님의 오뒷세이아 게시물 이미지
  • LGO님의 오뒷세이아 게시물 이미지
● 책을 읽으며 일리아스와 소포클레스 비극에서 접한 스토리들을 짧게나마 재회할 수 있어 반가웠다.

● 그리고 죽임과 죽음, 돌격과 후퇴가 반복되던 일리아스와 달리 오딧세이아의 스토리는 다양한 에피소드를 담고 있어 읽는 데 더 흥미로웠다.

●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부하들을 죽인 키클롭스에게 빠져나가며 그에게 티배깅을 하다 외눈박이 아들의 호소를 들은 포세이돈의 저주를 받아 고향으로의 복귀가 몇 년 더 미뤄지고 험난해진다.

● 분명 부하들이 말린 행동을 해버려 고생을 자처한 오디세우스의 어리석은 면모를 드러낸다. 하지만 외눈박이 괴물에게 억울하게 동포들이 잡아먹힌 걸 봐온 오디세우스가 이성이 나가는 데 정당함이 더 있지 않은가. 그에게 너무나도 가혹한 처사다. 가혹함을 신이란 이유로 어떻게든 정당화하는 것이 올림포스의 신들이지만.

● 아이올리아 섬을 떠날 때 아이올로스 왕이 당부한 금기를 어기며 자루를 열어 고향으로부터 다시 멀어진 오디세우스 일행의 모습은 또 다른 금기를 어긴 설화인 판도라 에피소드를 떠오르게 한다. 자루를 여는 금기를 말렸을 오디세우스는 당시 자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책임은 없는 차이가 있지만,

● ‘최악과 차악 중 양자택일’을 표현하는 바다의 괴물들 스퀼라와 카륍디스 관용구를 새롭게 발견했다.

● 오디세우스의 부하 선원들은 헬리오스의 소를 먹는 금기를 저질러 고향으로 귀향을 더욱 힘들게 만든다. 오디세우스는 신에게 계시를 들었기에 부하들을 나무라지만 에우륄로코스가 대표로 한 이들은 자신들의 처지를 항변하며 왜 먹을 수밖에 없었는지, 차라리 죽음이 나을 것이라고 까지 말한다.

● 금기를 어겼지만 에우튈로코스의 호소에 더 마음이 실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인들의 잘못도 있었지만 십여 년간 고향 땅을 밟지 못했기에 진작에 정신이 나가도 이상하지 않았을까. 오디세우스의 신과 같은 의지력도 칭송할 가치가 있지만, 어쨌거나 오랜 시간을 허비했던 주인공 보정을 받지 못한 그들에게도 위로를 보내야 하지 않을까.

● 오디세우스에게 선의를 베푼 파이에카스 시민들은 오디세우스를 도왔다는 이유로 포세이돈의 저주를 받는다. 결국에 그들은 본래의 쇄국 정책을 강화하고 미래에 올 수 있는 표류자들에 대한 도움도 주지 않기로 한다. 포세이돈에 대한 섬김을 소홀히 하지 않은 파이에카스인들인데 그들과 미래의 피해자들에게 연대 책임을 지우는 크로노스의 아들들의 옹졸함.

● 책 후반부 구혼자들의 누적된 악행은 오디세우스가 그들의 목숨을 앗아가는 장면을 애태워 기다리게 한다. 마침내 이를 독자로서 맞닥뜨렸을 땐 카타르시스를 느꼈다. 학살극에 이런 감정을 느껴서 죄책감이 있지만.

● 오디세우스에게 죽은 구혼자들은 미케네의 왕, 아가멤논을 보고 자신들의 죽음이 억울하다 호소한다. 하지만 아가멤논에겐 씨도 먹히지 않는다. 외려 오디세우스를 향한 칭송만 있을 뿐이다. 간통한 아내와 그녀의 정부에게 살해당했던 아가멤논은 오디세우스의 행위에 대리만족했거늘.

● 오디세우스가 구혼자 백여 명을 살해한 것이 독자에게 너무 잔인해 보일 수도 있지만 옮긴이는 그 배경에 윤리적 이유를 제시한다. 그는 책 속 구혼자들이 그리스의 윤리인 테미스와 사회적 예절인 크세니아의 파괴를 수도 없이 저질렀고, 저자의 가치관들의 신성함을 보여주고 한 메시지 덕분에 무시무시한 살육을 동원했을 것으로 바라본다.

● 구혼자들은 신들처럼 대가 없는 향락을 추구했지만, 그들은 인간이었고 타인을 업신여기며 테미스와 크세니아를 짓밟아버렸다. 인간의 금기를 저버렸기에 그들은 결국 하데스의 곁으로 가게 된 것이다.

● 옮긴이는 그의 마지막 말에서 본인의 번역을 일리오스와, 그리스 해역, 그리고 이타카에 영혼을 바친 것으로 묘사한다. 그의 번역이 얼마나 고되고 외로웠는지 느끼게 하는 표현이다. 원문의 의미를 독자들에게 생생하고 읽기 편하게 노력하는 번역가들의 노력에 감사하게 하는 문장이었다. 정확함과 가독성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민하는 건 아직 인류의 비중이 더 크지 않을까.

오뒷세이아

호메로스 지음
아카넷 펴냄

8분 전
0
yks님의 프로필 이미지

yks

@yks0590

은둔형 외톨이가 자살을 했다...
그런데 그 옷장에서 20개 가량의 유리병에 시신을 토막내서 보관하고 있던것이 발견된다.
20년간 은둔형 외톨이로 자살한 셰바이천이 유력한 용이자지만....
그의 친구 머리좋고 모범생이였던 칸즈위안은 범인이 셰바이천이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진실은 반전이였으니...
"원래 사람은 남에게 듣는 것보다 자기 스스로 추론해낸 가설을 더 믿는 심리가 있으니까요."...

고독한 용의자

찬호께이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12분 전
0
이미연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미연

@yimiyeonohbu

생각보다 다채롭지 않다

엄마도 꿈이 있나요?

강수현 외 7명 지음
미다스북스 펴냄

1시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