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옷을 입은 자들

최석규 지음 | 문학수첩 펴냄

검은 옷을 입은 자들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5,000원 10% 13,5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4.10.2

페이지

400쪽

상세 정보

선과 악을 다룬 이야기는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전승됐다. 선악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신화부터 권선징악이 보편적 주제인 고전까지. 하지만 현대에 들어와서는 선악이 이질적인 형과 색으로 바뀌어 갔다. 어느 것이 선인지, 악인지 명확히 구분하기가 점점 모호해져만 가는 것이다. 저자는 ‘밤낮처럼 선명했던 어릴 적의 선악이 왜 지금은 구분하기도 어려울 만큼 흐리멍덩해졌을까’ 하는 의구심에서 집필을 시작했노라 말한다.

철학적 논의의 발전, 윤리적 상대주의, 개인의 주관성, 사회 정의의 복잡함 등 무수한 사유에서 나름의 이유를 찾아낼 수는 있겠지만, ‘변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러리라 생각되는 분명한 것이 하나 있음을 깨달았다. 지금의 우리는 오롯이 어느 한쪽에서만 살기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다는 점 말이다’라는 저자의 말이 집필 의도를 더욱 분명케 한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3

임영신님의 프로필 이미지

임영신

@imyoungsin

처음 살인사건이 일어났을때는 귀신에 씌여서 살인을 한다는게 이해가 되지않았고 너무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이해했었다. 이런 이야기를 읽어야하나 하면서도 어떻게 하다보니 끝까지 읽게 되었는데. 결론은 귀신을 사칭한 전파를 이용한 인간의 두뇌를 교란하여 잠시동안 환각상태로 만들어서 마치 귀신이 몸속에 들어와서 조종을 하는것처럼하여 살인을 하게끔 유도하는것이 포인트이다. 결국 정의의 사자가 나타나 악당을 물리치는 권선징악을 바탕에둔 내용이다. 이해안되는 부분이 많이 있지만 우리를 대신하여 나쁜사람을 물리친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기분 좋아지는 소설이다. 하지만 현실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는 느낌을 버릴수 없는것은 이책을 읽고난후 무엇을 느낄수 있을까를 되묻게 된다.

검은 옷을 입은 자들

최석규 지음
문학수첩 펴냄

2일 전
0
임영신님의 프로필 이미지

임영신

@imyoungsin

  • 임영신님의 검은 옷을 입은 자들 게시물 이미지

검은 옷을 입은 자들

최석규 지음
문학수첩 펴냄

읽었어요
2일 전
0
지페리페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지페리페리

@olive_choi

  • 지페리페리님의 검은 옷을 입은 자들 게시물 이미지

검은 옷을 입은 자들

최석규 지음
문학수첩 펴냄

읽었어요
6개월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선과 악을 다룬 이야기는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전승됐다. 선악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신화부터 권선징악이 보편적 주제인 고전까지. 하지만 현대에 들어와서는 선악이 이질적인 형과 색으로 바뀌어 갔다. 어느 것이 선인지, 악인지 명확히 구분하기가 점점 모호해져만 가는 것이다. 저자는 ‘밤낮처럼 선명했던 어릴 적의 선악이 왜 지금은 구분하기도 어려울 만큼 흐리멍덩해졌을까’ 하는 의구심에서 집필을 시작했노라 말한다.

철학적 논의의 발전, 윤리적 상대주의, 개인의 주관성, 사회 정의의 복잡함 등 무수한 사유에서 나름의 이유를 찾아낼 수는 있겠지만, ‘변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러리라 생각되는 분명한 것이 하나 있음을 깨달았다. 지금의 우리는 오롯이 어느 한쪽에서만 살기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다는 점 말이다’라는 저자의 말이 집필 의도를 더욱 분명케 한다.

출판사 책 소개

독자를 끌어들이는 흡입력과 빠른 전개
선과 악의 정의를 향한 집요한 탐구
<반연간 문학수첩 신인작가상> 수상작가의 장편소설, 《검은 옷을 입은 자들》

선과 악을 다룬 이야기는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전승됐다. 선악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신화부터 권선징악이 보편적 주제인 고전까지. 하지만 현대에 들어와서는 선악이 이질적인 형과 색으로 바뀌어 갔다. 어느 것이 선인지, 악인지 명확히 구분하기가 점점 모호해져만 가는 것이다. 저자는 ‘밤낮처럼 선명했던 어릴 적의 선악이 왜 지금은 구분하기도 어려울 만큼 흐리멍덩해졌을까’ 하는 의구심에서 집필을 시작했노라 말한다.
철학적 논의의 발전, 윤리적 상대주의, 개인의 주관성, 사회 정의의 복잡함 등 무수한 사유에서 나름의 이유를 찾아낼 수는 있겠지만, ‘변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러리라 생각되는 분명한 것이 하나 있음을 깨달았다. 지금의 우리는 오롯이 어느 한쪽에서만 살기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다는 점 말이다’라는 저자의 말이 집필 의도를 더욱 분명케 한다.

언뜻 보기엔 너무나 명확해 보이는 선과 악의 대결
하지만 사건이 전개되며 숨겨진 진실이 드러나고…

여기, 살인이나 강간, 강간치사, 특수폭행 등의 강력 범죄를 저지르고도 낮은 형량을 받고 풀려나 ‘난 죗값을 다 치렀다’며 뻔뻔하게 살아가는 파렴치한들로 가득한 범죄조직들이 있다. 그런 그들을 찾아가 ‘피해자에게 진심으로 용서를 구하고, 참회하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최후의 권고를 무시한 범죄자들은 한 명 한 명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고, 경찰과 언론 그리고 피해를 본 범죄조직들도 이 기이한 죽음에 주목하기 시작한다.
죽음에서 벗어나려는 범죄자들, 그들을 단죄하고자 하는 의문의 집단. 그리고 그 전말을 파헤치려는 기자와 사법조직의 숨 막히는 두뇌 대결이 펼쳐진다.

“이런 이야기를 왜 들려주는 건가요? 제가 경찰에 신고할 수도 있을 텐데.”
“아니요. 절대로 그럴 리가 없지요. 우리는 한배를 탔습니다.”

범죄조직원들의 연쇄살인 사건이 발생하기 전, ‘기요틴 사건’이 있었다. 극악범죄를 저지르고 출소한 자들의 온몸이 갈기갈기 찢겨 공터에 전시된 일. 당시 기요틴 사건을 집요하게 파고들었던 이기우 기자는 이번 사건과 지난 기요틴 사건 간의 묘한 기시감을 느낀다. 범죄조직원 연쇄살인 사건을 점점 파헤치던 중, 의문의 집단이 그에게 손을 내밀며 속삭인다. ‘너의 숨겨진 과거를 기억하라고, 기억해 내라고. 우린 같은 부류’라고.
마침내 이기우는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는 세상’을 꿈꾸다 사명에 이끌려 <정의는 강물처럼> 신문사에 입사해 일하던 때의 기억을 떠올린다. 평생 숨기고자 했던 한 사건과 함께.
과연 절대 악과 절대 선은 존재하는가? 사실 선과 악은 모호하게 섞여 공존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악인도 때론 선인이, 선인도 때론 악인의 모습을 한 채 살아갈 수밖에 없는 세상이 어쩌면 당연한 게 아닐까?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