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3.6.1
페이지
252쪽
이럴 때 추천!
동기부여가 필요할 때 , 고민이 있을 때 , 힐링이 필요할 때 읽으면 좋아요.
상세 정보
교육과정 ‘정책참여’와 ‘실천’을 바탕으로 ‘성과’를 거두고 ‘나눔’을 하고 있는 유영식 선생님의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교사 교육과정과 수업 디자인』. 유영식의 교육과정 베스트셀러 『수업 잘하는 교사는 루틴이 있다』, 『교육과정 문해력』 『과정중심평가』에 이은 또 하나의 역작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을 잘 짚어 누구나 알기 쉽게 제시한 따끈따끈 최신간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인 “미래사회의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과 학생 주도성을 키우기 위해 강조하고 있는 ‘학교 자율시간’과 ‘깊이 있는 학습’의 본질과 이를 실제 교육으로 구현하기 위한 교사 교육과정과 수업 디자인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현장 교사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담고 있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2
인천시부평역
@inchunsiboopyungyeok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교사 교육과정과 수업 디자인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인천시부평역
@inchunsiboopyungyeok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교사 교육과정과 수업 디자인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상세정보
교육과정 ‘정책참여’와 ‘실천’을 바탕으로 ‘성과’를 거두고 ‘나눔’을 하고 있는 유영식 선생님의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교사 교육과정과 수업 디자인』. 유영식의 교육과정 베스트셀러 『수업 잘하는 교사는 루틴이 있다』, 『교육과정 문해력』 『과정중심평가』에 이은 또 하나의 역작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을 잘 짚어 누구나 알기 쉽게 제시한 따끈따끈 최신간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인 “미래사회의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과 학생 주도성을 키우기 위해 강조하고 있는 ‘학교 자율시간’과 ‘깊이 있는 학습’의 본질과 이를 실제 교육으로 구현하기 위한 교사 교육과정과 수업 디자인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현장 교사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담고 있다.
출판사 책 소개
교육과정 베스트셀러 <수업 잘하는 교사는 루틴이 있다>,
<교육과정 문해력>, <과정중심평가>에 이은 또 하나의 역작!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차별점,
학교 자율시간 & 깊이 있는 학습
교육 대전환의 시대,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에 맞추어 교육도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디지털·AI와 같은 기술이 교육 현장으로 빠르게 들어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술은 미래교육의 수단은 될 수 있어도 목적이 될 수는 없다. 미래교육의 목적은 변화하는 사회 체제에 맞추어 학생들을 각자의 특성과 능력이 최대한 발현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이는 국가가 모든 교육내용을 짜주고, 하나의 교실에서 하나의 교과서를 가지고 모든 학생이 같은 수준으로 수업하는 방식으로는 불가능하다. 이에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맞춤형 교육을 위해 ‘학교 자율시간’과 ‘깊이 있는 학습’이라는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학교 자율시간을 활용하여 학교와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살린 개별화,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리고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해 학습자는 스스로 학습 자료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배운 것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소수의 핵심 내용을 깊이 있게 익힐 수 있다. 이는 결국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으로 연결되고 ‘교사 주도성(Teacher agency)’을 필요로 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교사 교육과정과 수업 디자인
유영식 선생님의 오랜 교육과정 정책참여와 실천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교사 교육과정과 수업 디자인』. 이 책에서 유영식 선생님은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미래교육을 위한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인 ‘학교 자율시간’과 ‘깊이 있는 학습’을 현장 교사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수업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책은 총 5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서는 ‘미래교육과 이를 위한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2부에서는 ‘학교 자율시간의 의미와 교사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부에서는 ‘학교 자율시간과 깊이 있는 학습을 디자인’하기 위하여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을 키울 수 있는 내용을 수록하였다. 4부에서는 ‘학교 자율시간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수록하였다. 5부에서는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수업 디자인과 평가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이 책의 내용이 미래교육에 필요한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 방향에 작은 등대가 되기를 바란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