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작머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꼬작머리

@kkojakmeoriqwwj

+ 팔로우
감동의 습관 (늘 행복해 보이는 사람들의 비밀)의 표지 이미지

감동의 습관

송정림 지음
책읽는수요일 펴냄

읽었어요
그리움,이라고 일컫기엔 너무나 크고,
기다림,이라고 부르기엔 너무나 넓은 이 보고 싶음.
삶이란 게 견딜 수 없는 것이면서
또한 견뎌내야 하는 거라지만,
이 끝없는 보고 싶음 앞에서는
삶도 무엇도 속수무책일 뿐이다. p.34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정호승의 시 <수선화에게>의 도입부입니다. ... p.47

​<튈르리 공원의 수잔> 프랑스의 사진작가 사라 문(Sarah Moon)의 흑백 사진

'화양연화'는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한때를 뜻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꽃처럼 짧고, 꽃처럼 순식간에 사라지는
청춘의 어느 날,
어쩌면 못 견딜 것처럼 힘든 그 순간이
인생의 가장 아름다운 한때일지도 모릅니다.
행복하지 않아도 아름답게 치열할 수 있다면
지금이 바로 그때입니다. p.65

​비극은 여기서 끝나는 게 아닙니다.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은 '사람'을 대상으로 할 때 더 강해집니다. 중독은 커피나 담배, 술에만 있는 게 아니라 소유에도 있습니다. 특히 사람에 대한 중독은 더 강합니다. 사람에 한번 중독되면 그 사람이 자기 인생의 전부라도 되는 듯 집착하게 되고 그 집착은 더 큰 괴로움을 안겨줍니다. 물건도 사람도, 소유에 대한 집착은 사람을 괴롭히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법정 스님은 '소유'보다 기쁜 건 '나눔'이고, '집착' 대신 '비움'을 택하라고 한 것입니다. p.81

​기다림으로 까맣게 타들어간 가슴을 내보이는 해바라기. 야윈 기다란 목으로 위태롭게 서서 한곳만을 바라보는 해바라기. 남들이 다 어리석다 해도 스스로 그 끝에 이르기 전까지는 고개를 돌릴 줄 모르는 해바라기. 고흐의 그림 속 해바라기는 이렇게 말하며 죽어갑니다. 목숨이 하나뿐이기에 당신을 향한 마음도 하나뿐이라고, 속으로 타서 익는 까만 꽃씨조차도 당신을 향한 사랑이라고. p.107

​"당신은 힘들지요...... ."p.116

​즐겁게 구성지고 집요하게 처절했던 소설가 박상륭 씨는 우리말 '아름다움'의 어원을 추적하며, 그 뿌리를 '앓음 다움', 즉 '앓은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거짓말할 줄 모르는 사람의 뒷모습에 담긴 쓸쓸함과 고단함이 선생이 말하려 했던 '앓음 다움'이 아니었을까요.
'앓음 다움'의 흔적을 미처 지우지 못한 우리 몸의 자리, 그래서 뒷모습은 더 아름답습니다. p.133

파리에서 런던으로 가는 비행기 안. 소설의 화자인 '나'는 그래픽 디자이너 클로이와 세상의 사람들 중에서 단둘이 만날 수 있는 확률, 그러니까 5840.82분의 1의 확률로 옆 좌석에 앉게 됩니다. 그리고 두 사람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희박한 확률로 만났다는 '낭만적 운명론'에 빠져 사랑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진심으로, 때로는 거짓으로 서로에 대한 사랑을 확인하고 다투고 미워하고 화해하고 오해하고 질투하고 원망하면서 두 사람은 사랑에 점점 지쳐갑니다. p.140

한 번 간 사랑은
그것으로 완성된 것이다.
애틋함이나 그리움은 저세상에 가는 날까지
가슴에 묻어두어야 한다.
헤어진 사람을 다시 만나고 싶거들랑
자기 혼자만의 풍경 속으로 가라.
그 풍경 속에 설정되어 있는
그 사람의 그림자와 홀로 만나라.
진실로 그 과거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은 그 풍경 속의 가장 쓸쓸한 곳에
가 있을 필요가 있다.
진실한 사랑을 위해서는
인간은 고독해질 필요가 있는 것과 같다.
그리하여 나는 그 포구의
가장 쓸쓸한 내 장소로 간다. -윤후명, 《협궤열차》 중에서p.159

'매혹'이란, 어떤 것에 시선이 이끌려 마비된 상태를 말합니다. ... p.200

​"봉사(奉仕)는 '받들다' '돕다'를 뜻하는 '봉(奉)'과, '일하다' '섬기다'를 뜻하는 '사(仕)'로 이루어져 있어요. 그런데 사(仕) 자를 살펴보세요. 사람 '인(人)'에 선비 '사(士)'가 나란히 있는 모양입니다. 그래서 이 '사(仕)'를 회의 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답니다. 선비가 학문에 힘써 벼슬에 나아간다는 뜻풀이지요. '사(仕)'에는 '벼슬하다'의 뜻도 있답니다. 그래서 봉사를 받는 사람보다 봉사를 하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을 얻게 되는 것 같습니다." p.207

​우리는 자기 자신을 간지를 수 없습니다.
내 손가락이 발에 닿기 전에 이미 나의 뇌가
간지러움에 대비하기 때문입니다.
뇌가 방심하는 사이, 뜻밖에 당하는 효과가 없는 거죠.
행복도 마찬가지입니다.
행복은 심지어 자신에게 없을 때도 남에게 전해줄 수 있습니다.
행복은 전염됩니다. 다른 누군가를 행복하게 해주고
그의 행복한 모습을 보는 것은 자신의 배부른 배를
쓰다듬는 것보다 더 많은 걸 우리에게 줍니다.
- 에카르트 폰 히르슈하우젠, 《행복은 혼자 오지 않는다》 중에서 p.214
2020년 12월 25일
0

꼬작머리님의 다른 게시물

꼬작머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꼬작머리

@kkojakmeoriqwwj

  • 꼬작머리님의 명작에게 길을 묻다 게시물 이미지

명작에게 길을 묻다

송정림 지음
책읽는수요일 펴냄

읽었어요
3주 전
0
꼬작머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꼬작머리

@kkojakmeoriqwwj

  • 꼬작머리님의 초역 부처의 말 게시물 이미지

초역 부처의 말

코이케 류노스케 지음
포레스트북스 펴냄

읽었어요
4주 전
0
꼬작머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꼬작머리

@kkojakmeoriqwwj

  • 꼬작머리님의 위로의 책 게시물 이미지

위로의 책

매트 헤이그 지음
비즈니스북스 펴냄

읽었어요
4주 전
0

꼬작머리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