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yaillon님의 프로필 이미지

Shyaillon

@shyaillon

+ 팔로우
여섯 번째 대멸종의 표지 이미지

여섯 번째 대멸종

엘리자베스 콜버트 지음
처음북스(구 빅슨북스) 펴냄

인류의 역사가 시작하기도 훨씬 전부터 지구의 역사는 수많은 종들로 가득 차 있다. 화석이 발견되기 시작하고 그것을 이해하기 시작하면서 우리는 긴 지구의 시간 안에 5번의 대멸종 시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화석 기록에서 생물 구성원의 다양성이 급격히 떨어진 시기가 지구의 역사로 볼 때 5번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 책이 말하는 여섯 번째 대멸종은 자연스레 우리 인간이 저지르는 만행들이겠구나 떠올릴 수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생물의 종이 어떻게 사라져 가는지를 추적한 내용을 보여준다.

인간이 옮긴 진균 때문에 남미의 양서류는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종이 되었다. 이미 많은 수의 종이 자취를 감추었다. 바이러스와 동식물의 대륙간 이동도 큰 문제이다.

기후변화도 한 몫 하는데,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아지면 단순히 온도가 높아지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바다의 산성도가 높아진다. 바다 산성화는 적어도 이전 5대 멸종 중 2번의 주요 원인이었다.

중요한 것은 인간으로 인해 세상이 변하고 있는데, 종의 진화나 서식지 이동은 그 속도에 훨씬 못 미친다는 것이다. 책을 읽으며 알 수 없는 두려움이 들었다. 생물 종은 다양성을 향해 나아가게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진행되고 있는 여섯 번째 대멸종으로 인해 오히려 획일화로 가는 것이 아닐까 두려웠다. 그렇게 인간은 다른 종들을 멸종시키면서 스스로의 목을 죄고 있는 것이 아닐까.
2021년 1월 15일
0

Shyaillon님의 다른 게시물

Shyaillon님의 프로필 이미지

Shyaillon

@shyaillon

언제나 극한의 환경, 자연에서 살아가는 삶을 동경해왔다. 아무것도 없이 그저 고독한 자신과 거친 자연 밖에 없는 그런 삶을. 알래스카의 겨울을 나는 하루라도 버텨낼 수 있을까는 의문이지만 자연에 둘러싸여 고립된 이런 환경을 나는 언제나 돌아갈 어떤 곳처럼 생각해왔다.

이토록 흡입력 강하고 몰입감을 주는 책은 정말정말 오랜만이라 읽으면서 내내 설레었다. 자기 전에 조금만 읽을 생각으로 집어들었는데,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고 나서야 새벽 6시가 다 되었을을 알아챘다.

밤새 글의 인물들과 같이 울고, 같이 화내고, 같이 속상해하다가 그래도 다행이다 하면서 안도감으로 마무리하며 편히 잠들 수 있었다. 작가가 아무렇지도 않게 덤덤히 서술해버린 레니의 그 시간들과 고통들이 얼마나 거칠고 힘겨울까 생각하면서도 어쩌면 그렇게 하루하루 살아내게 되는 시간들이 참으로 숭고한 순례자 같은 삶이라고 느껴졌다.

그리고 결국 그 소녀는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이것이 좋은 결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알래스카의 고독한 시간들이 차라리 마음이 편할수도 있겠다. 어쨌거나 마음이 편해지는 끝마무리다.

나의 아름다운 고독

크리스틴 해나 지음
나무의철학 펴냄

2021년 8월 20일
0
Shyaillon님의 프로필 이미지

Shyaillon

@shyaillon

다소 과장된 면이 없지 않아 있다. 아니면 내가 10대 20대 초반의 문화를 이해하기에는 조금 나이가 있는지도 모른다. 어쨌든 새로운 세대의 눈으로 본 소설이다. 특히 과장된 느낌을 빋은 이유는 꼭 '정부에서 밀린 월급을 먼저 내주고 사업자에게 청구합니다' 라는 캠페인을 홍보하려고 쓴 것 같았기 때문이다. 장면이나 서사의 전환도 일관성이 없고 꼭 소셜 미디어 스크롤링 하는 것처럼 휙휙.
주제가 너무 선전적이고 진부한 가치에 사건의 전개나 각각의 이벤트도 딱히 신선한 방식은 아니나 새로운 시대의 모습을 소설 속으로 끌어들여온 것을 처음으로 봤기 때문에 그 부분은 조금 신선하다. 새롭지만 새롭지 않은 소설이라고 하면 딱 맞겠다.

편순이 알바 보고서

박윤우 지음
글라이더 펴냄

2021년 8월 11일
0
Shyaillon님의 프로필 이미지

Shyaillon

@shyaillon

올해 원서 읽기 목표 10권 중 두번째.

한국어판 신경끄기의 기술도 정말 재미있게 읽었는데 원서도 막힘 없이 술술 읽히는 느낌이다. 일단 문체가 가벼운 것이 좋고 책 자체도 두껍지 않아서 좋다.

한국어판 읽을 때랑 감상이 비슷했다. 초반에는 꽤 지루하고 그냥 그러려니 하는 기분이라면 후반에 마크 맨슨이 중요시한다는 가치들 설명할 때면 그래, 이거였지 하는 기분이다.

진짜로 신경을 써야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개인적 경험을 곁들여 얘기한다. 정말 사소한 것들, 누구나 다 알 것 같지만 사실 아무도 깨닫지 못한 가치들에 대해서 왜 그것들이 중요한지 풀어나간다. 초반의 지루함을 조금 견디면 좋은 생각을 얻게 되는 책.

The Subtle Art of Not Giving a F*ck

마크 맨슨 지음
HarperOne 펴냄

읽었어요
2021년 7월 12일
0

Shyaillon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