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님님의 프로필 이미지

차님

@chanim

+ 팔로우
아무튼, 뜨개 (첫 코부터 마지막 코까지 통째로 이야기가 되는 일)의 표지 이미지

아무튼, 뜨개

서라미 (지은이) 지음
제철소 펴냄

아무튼 시리즈는 취향만 맞으면 빠져들기 쉽다.
(+취향이 맞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 이야기를 힐끔 들여다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추천)

고등학교 가정 시간에 좋아하는 사람에게 목도리 떠주는 시간이 있었다. 기말고사도 다 끝난 시점이라 수행평가도 아니어서 뜰 사람만 떴다. 나는 좋아하는 오빠에게 목도리를 주기 위해 실을 사고 가정 시간이 아닌 때에도 틈틈히 떴다. 내 마음은 그냥 짝사랑으로 끝났고 목도리도 내 옆에 그대로였다. 아깝다는 생각을 할 새도 없이 다 풀었다. 타원형으로 통통하게 말아서 쇼핑백에 넣고 잊어버렸다. 지금 생각해보면 누구라도 줄 걸 그랬나 싶지만 그땐 그래야만 마음이 괜찮아질 것 같았나보다.

아무튼,
잠시나마 추억에 잠겼다.

책에서 인상적이었던 건 '뜨개질'이 아닌 '뜨개'라고 불러달라고 한 점. 나도 뜨개질이라고 했는데 글을 읽으면서 앞으로는 '뜨개'라고 불러야겠다 생각했다.

.
.
.
이탈리아의 번역가 안나 루스코니는 이렇게 말했다. “말은 세상을 여행하고 번역가는 그걸 운전하는 사람이다.” 이 문장을 이렇게도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실은 세상을 여행하고 뜨개인은 그걸 운전하는 사람이다.”
(뜨개는 실로 하는 번역이다 중)

"또 새로 시작해?"
새 실의 라벨을 풀어 코를 잡으려는 나를 보고 남편이 묻는다. 이어지는 질문.
"저번에 뜨던 목도리는 다 떴어?"
앞선 질문보다 한층 호기심 어린 목소리다.
'당연히 다 안 떴지. 그걸 꼭 물어봐야겠어?'
속으로는 이렇게 생각하지만 소리 내어 말한 대답은 이거다.
"목도리는 겨울 거고 이제 여름이니까 여름 거 먼저 하나 뜨려고."
알 수 없는 죄책감을 느끼며 코를 잡기 시작한다. 먼저 뜨던 걸 다 떠야 새걸 시작할 수 있다고 법에 정해져 있기라도 한가. 뜨고 싶으면 뜨는 거지.
(기꺼이 잡스럽게 거침없이 산만하게 중)

뜨개인에게 그토록 많은 문어발이 필요한 이유는 작가 구달에게 88켤레의 양말이 필요한 이유와 같다. 논리로는 설명할 수 없다.

무엇이든 뜨는 것과 한 가지만 뜨는 것 사이에는 엄청난 공간이 존재한다. 바로 그 공간에 문어발이 있다. 그러니까 문제는 문어발이 아니라, 문어발에 죄책감을 느끼는 마음이다.
(기꺼이 잡스럽게 거침없이 산만하게 중)

존재나 자취만으로도 본보기가 되는 사람이 있다. 내게는 짐머만이 그렇다. 짐머만의 뜨개 철학이 뭐냐고 묻는다면 나는 이렇게 요약하고 싶다. 뜨개란 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한 행위가 아니라 실과 바늘과 마음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행위라는 만인 뜨개 가능설, 뜨개에는 옳은 방법도 틀린 방법도 없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만 있을 뿐이라는 열린 뜨개설, 마지막으로 뜨개에 완전히 새로운 것은 존재할 수 없고 그러므로 누구나 앞선 뜨개인에게 영감을 받아 자신의 개성과 필요를 담은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영감 뜨개설.
(짐머만을 읽다 중)
2021년 5월 17일
0

차님님의 다른 게시물

차님님의 프로필 이미지

차님

@chanim

대만여행 갔다온 친구가 과자를 줬다. 포장지는 초콜릿 색깔이었고, 사이즈는 손가락 두 마디 정도로 작았다. 한 입에 쏙 넣었다. 겉은 바삭한 비스킷, 속은 마시멜로우 같았다. 쫀득하고 달콤했다. 과자 하나에 대만 여행을 다짐했다. 대만에 가게 되면 이 책에 나온 과자를 다 먹어보고 싶다!

대만 현지 쇼핑 대백과

오가와 지에코 지음
클 펴냄

1일 전
0
차님님의 프로필 이미지

차님

@chanim

  • 차님님의 Q씨에게 게시물 이미지
나는 자유를 좇는 사람은 아니다. 다만 자유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어 좋았다. 자유란 무엇인가. 71쪽에서 작가는 “자유를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면 이야기는 달라질 것이며, 여드름투성이의 방탕한 아들이 부모에게 대드는 것밖에 더 되겠습니까.”라고 한다. 솔직히 이 말에 찔렸다. 자유를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것‘으로 여겼다. 뒤에 이어지는 글에서 작가는 ‘아무것도 나를 구속하지 않는 자유, 내 마음에 평화가 오기는커녕 미쳐버리지나 않을까 하는 두려움을 느’낀다고 말한다.

아아.
그런 것이 자유라면 자유는 너무나 괴로운 것.
완전한 자유란 고독으로부터 떨어질 수 없는 것.

Q씨에게

박경리 지음
다산책방 펴냄

읽고있어요
2일 전
0
차님님의 프로필 이미지

차님

@chanim

‘초두효과(primacy effect)‘는 처음 받은 정보가 나중에 들어온 정보보다 훨씬 강하게 기억되고, 판단에 영향을 끼치는 현상을 말한다.

다아시를 처음 만난 날, 엘리자베스는 춤을 권하지 않는 그를 오만한 사람으로 생각한다. 한 번 자리잡은 편견은 씻길 줄 모른다. 계속해서 부정적인 인상이 쌓일 뿐.

그는 오해를 풀기 위해 마음을 담은 편지를 써서 보냈다. 단박에 오해가 풀린 건 아니었다. 하지만 그녀가 점점 편견을 거두면서 사랑이 시작되었다. 언제 그랬냐는 듯 두 사람은 서로에게 스며들었다.

다아시는 오만을, 엘리자베스는 편견을 내려놓고 서로를 바라봤다. 성숙하게 인정하는 둘의 태도를 보며, 그 사랑, 본받고 싶다고 생각했다.

#세계문학전집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지음
민음사 펴냄

2일 전
0

차님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