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대프린스님의 프로필 이미지

샤대프린스

@apoetofmyheart

+ 팔로우
미생 완간 세트 (아직 살아 있지 못한 자, 전9권)의 표지 이미지

미생 완간 세트

윤태호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그래, 지금 읽으려고 이때까지 묵혀두었던 것만 같다. 회사 생활을 경험해본 사람만이 공감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지만 회사 생활을 경험해본 사람이라면 100%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미생은 만화로도 드라마로도 워낙 유명했고, 그래서 유튜브에 떠도는 몇몇 클립들로 이미 미생을 접한 지 오래였다. 예를 들면 실내화를 들고 그 냄새를 맡는 장그래라든가... 호되게 쳐맞는 성 대리라든가... 유창하게 러시아어를 구사하는 안영이라든가... 드라마에서 추가된 내용이 있는 것 같긴 하다. 아무튼 이제 만화를 다 읽었으니 드라마를 볼 차례고, 원작의 대사들이 고스란히 영상화된 부분이 많아 가끔 전율이 느껴지기도 한다. 이제 꼬박 한 달 사회생활을 경험한 내가 미처 공감할 수 없었던 부분도 있을 것이다. 미래로 눈을 돌리자. 10년 뒤 다시 <미생>을 읽는 나는 어떤 생각을 하며 읽고 있을까? 까마득하긴 하다. 그러다 문득 고개를 들었을 때, 어쩌다 여기까지 왔나 싶을 때,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나를 좋은 마음으로 추억할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겠다.
2021년 7월 24일
0

샤대프린스님의 다른 게시물

샤대프린스님의 프로필 이미지

샤대프린스

@apoetofmyheart

일몰 보러 다대포 가는 1호선 안에서 박솔뫼의 「여름의 끝으로」를 읽다가 이런 부분이,

“차미를 안고 등에 코를 묻으면 땅콩 냄새 같은 고소한 냄새가 났다. 일정한 소리로 코를 골며 자는 차미의 등에 코를 대고 고소한 냄새를 맡았다. 잠이 올 것 같은 냄새였다.” (33쪽)

어젠 요가원에 좀 빨리 갔고, 한참 동안 나와 선생님 그리고 고양이 샨티밖에 없었는데, 샨티는 내 요가 매트 위에 올라와, 내게 등을 돌린 채로 앉아 있고, 바즈라아사나로 요가를 준비하려던 나는, 금세 샨티의 집사가 되어, 샨티의 등을 주물주물, 코를 대고 고소한 냄새를 맡으며, 창문 사이로 불어오는 어느덧 서늘해진 바람과 따듯한 샨티의 등을 동시에 만졌다. 여름의 끝이구나.

믿음의 개는 시간을 저버리지 않으며

박솔뫼 지음
스위밍꿀 펴냄

2023년 10월 10일
0
샤대프린스님의 프로필 이미지

샤대프린스

@apoetofmyheart

내일 부산 가는데 『미래 산책 연습』 진짜 안 챙기려 했거든? 방금 후루룩 훑었는데 도무지 안 들고 갈 수가 없네··· 이를테면 이런 장면,

"된장찌개를 시켰는데 비빔밥을 시킬걸 하는 생각을 하다가 이제 하루가 지났고 남은 휴일은 무얼 하지 머릿속으로 일정을 정리하려 했지만 때마침 테이블에 커다란 보리차 주전자가 탕 소리를 내며 놓였고 커다랗고 따뜻한 주전자를 보자 아무 생각도 하고 싶지 않아졌고 보리차를 마시자 반찬이 나오고 상추가 나오고 앞으로의 일을 생각할 틈도 없이 테이블 위에 빠짐없이 차려진 밥을 먹기 시작했다." (47쪽)

나도 정말 제발 진실로 진정 이렇게 여행하고 싶다···
2023년 10월 5일
0
샤대프린스님의 프로필 이미지

샤대프린스

@apoetofmyheart

시인과 문학평론가가 주고받은 열두 편의 서신을 모아 놓은 책. ‘지금-여기’의 책들에 관해 나누는 이야기라 무척 재미있다. 두 분이 함께 읽은 책 중에는 내가 살펴보았거나 읽었던 책이 왕왕 있었고. 김대성, 김봉곤, 김지연, 김혜진, 서이제, 알렉세이 유르착, 유성원, 임솔아, 임현, 장류진, 조지 오웰, 한병철의 작품. 3분의 1 이상은 알고 있어서 어찌나 다행이었는지. 그러나 내가 모르는 작품에 관해 나누는 서간을 읽을 때도 역시 즐거웠다. 온종일 한국문학 이야기 정말로 자신 있는 나로서는, 책 좋아하는 사람들이 책 가지고 양껏 수다 떠는 걸 지켜보는 게 못내 좋았다. 문학이 수다를 떨게 만드는 순간은 정말로 좋다!

*

“차이에 대한 기만적인 인정으로 무언가를 봉합해버리려는 편의적인 행태에 대해, 저 역시 선생님과 똑같이 못마땅해하고 있습니다. 그보다는 차라리 서로의 생각 안으로 들어가 그 다름 속에서 한껏 부대껴야 하지 않을까요. 그런 계기를 촉발하지 않는 타자는, 아무리 ' 차이'라는 명분으로 세련되게 포장하더라도 결국 동일성의 반복에 불과할 따름입니다. 전에도 말씀드렸듯 선생님과의 대화 혹은 열띤 논쟁이 즐거웠던 이유도 거기에 있습니다. 우리의 대화에서는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부드럽게 넘어가는 '합의와 존중의 정신'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67쪽)

이 부분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작년에 친구들과 (독서모임)을 시작했는데,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역시나 서로의 생각이 이렇게나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을 때. “서로의 생각 안으로 들어가 그 다름 속에서 한껏 부대”꼈을 때. 올해도 앞으로도 마음껏 그럴 수 있으면 좋겠다.

이 편지는 제주도로 가는데, 저는 못 가는군요

장정일 외 1명 지음
안온북스 펴냄

2023년 1월 12일
0

샤대프린스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