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 팔로우
구운몽의 표지 이미지

구운몽

김만중 지음
민음사 펴냄

효성이 지극한 김만중이 모친을 위로하기 위해 지은 소설. 주인공이 특화된 "미녀 모으기" 능력을 가진 조선판 난봉꾼 히어로라 말할 만큼 탁월하다. ^^

양소유과 8명의 여자들이 등장하는 판타지의 최고봉. 모두 소유에게 한눈에 반하고, 소유은 못하는 게 없다.

구운몽 제목은 성진과 8명 선녀, 총 9명이 인간세계로 {환생}하여 구름처럼 꾸는 꿈이란 뜻. 상진은 8선녀를 우연히 만나 애정을 느끼고 욕망을 꿈꾼 죄로, 상진은 양소유로, 8선녀는 각각 다른 지방에 여인들로 환생한다. 사실 처음 읽었을 땐 어찌나 재미난지, 무협지보다 재미났다. 8명의 다른 매력을 지닌 여성들과 차례로 만나 결혼하는 장면 자체만으로 짜릿하지 않은가? 모두 자주적이고 솔직 당당한 여성상을 보여주니, 지금 읽어도 지루하지 않다.

<현실에선 불가능한 꿈의 문학, 환상문학>
9명 모두 행복하게 살다가 인생무상을 느끼고, 현실에서 한낮의 꿈인 걸 알고, 깨어 불교에 귀의한다. 성경 <전도서>의 저자인 솔로몬도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라고 말하는 것과 일맥 상통한다.

결국 마지막엔 인생무상(인생이 덧없음)이면 지금의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까? 종교에 귀의해서? 욕망대로 살도록 태어났으나, 정도를 지키며 남에게 베풀면서? 자신의 꿈을 찾아서? 결국 이 책에서 마음껏 상상해 보고, 현실에서 잠시 멈춰, 어떻게 살지 고민해 보라는 커다란 쉼표 같은 책이 아닐런지.

자식 낳고 온갖 부귀를 누린 소유 앞에 스승 육관대사가 나타난다.
"성진아 인간 세상 부귀를 겪으니 과연 어떠하더뇨?"
우리도 이미 살고 있는 인생이지만, 꿈과 환상 같고, 거품과 그림자 같은 하룻밤 꿈일지도 모른다.
0

진교왕님의 다른 게시물

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냉철한 예리함?

자전적인 이야기가 누구나 놀랄만한 이야기가 아니면, 평범하고 훙미를 잃는다.
작가에게 아버지는 가족이니깐 당연히 특별해도, 식료품 판매업자의 삶은 평범했다.
의도적으로, 작가는 아버지를 👨 미화하지 않고 사실 그대로를 기록했다. 이것이 소설이 될 수 있을까?

작가는 100페이지의 시작을 아버지의 죽음으로 시작해서~
아버지의 기억을 그저 보여준다. 1899~1967.

- <아니 에르노> 남자의 자리, 102쪽

남자의 자리

아니 에르노 지음
1984Books 펴냄

2022년 11월 5일
0
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잘 읽힌다 싶을 때, 왕창 읽어야 하는 날이 간혹 있다. ^^

어머니는 오래전 돌아가시고, 아버지를 가끔 만나는 라디오 작가 딸, 아버지를 관찰하며 생일을 챙기고 같이 여러일을 같이하면서, 그 소재로 책을 쓴다. 유쾌하고 재밌다.

같이 어머니 성묘도 가고, 밥도 먹고, 친척도 만난다.

재산을 다 말아 잡수신 아버지, 나이 먹을 만큼 먹고도 결혼하지 않는 딸의 이야기. 우리는 가까운대도 서로에 대해 더 모른다.

전쟁은 지들이 저질러 넣고, 피해자인척, 1945년 소이탄이 떨어져 피난 가던 일을 말하기도 한다. 역시 일본인의 역사의식 결여다. 83쪽

"복과 화는 새끼줄처럼 번갈아 온다고 하지만, 부녀는 사랑과 증오를 꼬아서 만든 밧줄과 같다 . 사랑도 증오도 양이 많을수록 밧줄은 굵어지고 튼튼해진다." 256쪽

산다든가 죽는다든가 아버지든가

제인 수 지음
미래타임즈 펴냄

2022년 10월 8일
0
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이영초롱은 1999년 고고리섬(제주 마라도 위 가상의 섬 🏝)으로 서울에서 전학 간다. 아빠의 사업실패. 제주공항에서 대정읍으로 버스타고 🚌 , 다시 섬까지 배를 🛳 탄다.

소녀는 커서 법을 공부하고, 판사가 되어, 법조계의 이효리처럼 다시 서귀포 성산법원으로 발령받아서 온다. 하지만, 법정에서 "엿 까세요" 욕설 2번을 해서 좌천된거다.

복자, 고복자는 제주에서 사귄 친구다. 사투리를 쓰면서 먼저 다가온 복자도 제주에 다시 내려와 살고 있단다.

"제주의 여름이 바람으로 이루어진다면 제주의 가을은 빛이었다. 단풍나무 위로, 잘 익은 감귤 위로 떨어지며 섬의 톤을 농익게 만드는 빛" - 본문 중

복자에게

김금희 지음
문학동네 펴냄

2022년 10월 5일
0

진교왕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