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 팔로우
대머리 여가수 (La cantatrice chauve · La lecon · Les chaises)의 표지 이미지

대머리 여가수

외젠 이오네스코 지음
민음사 펴냄

종영된 "갯마을 차차차" 드라마에서 두식이가 잠 안오는 밤에 누워서 책을 읽는 장면이 슬쩍 지나간다. 빨간 표지를 알고 있던 터라, 박수치며 나는 안다며 흥분했고, 두식이의 알수 없는 마음의 상처를 전하려는 제작진의 의도가 느껴져 홀로 감동한 장면이였다.

1950년 초연된 <대머리 여가수>에는 대머리 여가수는 등장하지 않는다. 스미스 부부, 마틴 부부, 하녀 메리, 소방대장 6명이 나온다.

이해 안 되는 대화를 주고 받는 스미스 부부. (이년 전에 죽은 바비 남편 이야기를 하고, 바비 부부가 언제 결혼할꺼냐는 얘기를 늘어놓는다). 마틴 부부도 서로 같이 살면서, "어디 사시죠? 저는 딸이 있어요?" 하고 만담을 늘어 놓는다.

갈수록 4명이 늘어놓는 혼돈의 말들이 심각한 수준이다.
한트케의 <관객모독>이 생각나는 의미없는 말들의 초강력 합창곡.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이 이다지도 어렵단 말인가? 서로 대화를 한다지만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는 말, 희곡에선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지만 가만보면 우리 일상과 비슷하지 않은가? 가정에서 , 직장에서도 서로 하는 말이 전혀 이해 할 수 없는 말의 무저갱이 돠는 경우가 많지 않은가.

이 책에는 3편의 희곡이 실려있다. 대머리 외에 <수업>, <의자>이 실려 있다. 수업에선 교수와 여학생이 등장하고 교수는 언어학에 대해 주입하듯 말하고, 학생은 "이가 아프다"고 34번을 계속 말하고, 교수는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음에 격분하여 식칼로 살해한다. 반복되는 40명의 살인. 언어가 폭력성을 지배한다는 믿을 수 없는 상황을 보여준다.

개연성 없는 불합리한 상황, 무언가 이해되지 않은 사람과 설정 속에, 우리를 몰아 놓고는 답은 스스로 찾으라는 방탈출 게임 같기도 하다.
2021년 10월 31일
0

진교왕님의 다른 게시물

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냉철한 예리함?

자전적인 이야기가 누구나 놀랄만한 이야기가 아니면, 평범하고 훙미를 잃는다.
작가에게 아버지는 가족이니깐 당연히 특별해도, 식료품 판매업자의 삶은 평범했다.
의도적으로, 작가는 아버지를 👨 미화하지 않고 사실 그대로를 기록했다. 이것이 소설이 될 수 있을까?

작가는 100페이지의 시작을 아버지의 죽음으로 시작해서~
아버지의 기억을 그저 보여준다. 1899~1967.

- <아니 에르노> 남자의 자리, 102쪽

남자의 자리

아니 에르노 지음
1984Books 펴냄

2022년 11월 5일
0
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잘 읽힌다 싶을 때, 왕창 읽어야 하는 날이 간혹 있다. ^^

어머니는 오래전 돌아가시고, 아버지를 가끔 만나는 라디오 작가 딸, 아버지를 관찰하며 생일을 챙기고 같이 여러일을 같이하면서, 그 소재로 책을 쓴다. 유쾌하고 재밌다.

같이 어머니 성묘도 가고, 밥도 먹고, 친척도 만난다.

재산을 다 말아 잡수신 아버지, 나이 먹을 만큼 먹고도 결혼하지 않는 딸의 이야기. 우리는 가까운대도 서로에 대해 더 모른다.

전쟁은 지들이 저질러 넣고, 피해자인척, 1945년 소이탄이 떨어져 피난 가던 일을 말하기도 한다. 역시 일본인의 역사의식 결여다. 83쪽

"복과 화는 새끼줄처럼 번갈아 온다고 하지만, 부녀는 사랑과 증오를 꼬아서 만든 밧줄과 같다 . 사랑도 증오도 양이 많을수록 밧줄은 굵어지고 튼튼해진다." 256쪽

산다든가 죽는다든가 아버지든가

제인 수 지음
미래타임즈 펴냄

2022년 10월 8일
0
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이영초롱은 1999년 고고리섬(제주 마라도 위 가상의 섬 🏝)으로 서울에서 전학 간다. 아빠의 사업실패. 제주공항에서 대정읍으로 버스타고 🚌 , 다시 섬까지 배를 🛳 탄다.

소녀는 커서 법을 공부하고, 판사가 되어, 법조계의 이효리처럼 다시 서귀포 성산법원으로 발령받아서 온다. 하지만, 법정에서 "엿 까세요" 욕설 2번을 해서 좌천된거다.

복자, 고복자는 제주에서 사귄 친구다. 사투리를 쓰면서 먼저 다가온 복자도 제주에 다시 내려와 살고 있단다.

"제주의 여름이 바람으로 이루어진다면 제주의 가을은 빛이었다. 단풍나무 위로, 잘 익은 감귤 위로 떨어지며 섬의 톤을 농익게 만드는 빛" - 본문 중

복자에게

김금희 지음
문학동네 펴냄

2022년 10월 5일
0

진교왕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