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님의 프로필 이미지

Jin

@jin4azk

+ 팔로우
맥스 테그마크의 라이프 3.0 (인공지능이 열어갈 인류와 생명의 미래)의 표지 이미지

맥스 테그마크의 라이프 3.0

맥스 테그마크 지음
동아시아 펴냄

비록 완독하지는 못하였으나.. 독후감을 썼기에 기록.

뼛속까지 문과인 나는 이 책을 읽기 시작했을때 생각보다 어려워 좀 당황스러웠다. 그래서 각종 생소한 AI 관련 용어들과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 나올때마다 정신을 부여잡고 스킵도 하면서 읽었다.

AI에 대해서는 인간을 대체한다는 것에 편한 존재임을 알면서도 SF영화들의 다양한 상상력때문에 괜히 겁이 나기도 했다. 하지만 2년째 답답한 생활이 지속되니 오히려 이 책의 첫 장에 나오는 프로메테우스와 오메가팀 스토리를 읽으며 현재의 AI가 지금보다 더 발전했더라면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이 코로나 상황이 좀더 빨리 해결 될 수 있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얼마전 약 20여년 전 개봉한 영화 아마겟돈에서 나왔던 프로젝트를 실제로 테스트 진행하려 한다는 뉴스를 보고 영화 속에서 상상하던 미래들이 실제로 가능해지고 있음을 실감하며 더 많은 기술들이 나오는 것이 이젠 놀랍지도 않을듯 하다. 인공지능 기술도 그러하겠지?

산업혁명 이후 전 세계가 더불어 살기위해 각종 국제법이 정해지고 질서가 완전하지는 않지만 조금은 정리된 것처럼 앞으로 지금보다 더 인공지능이 생활에 없어서 안될만큼 강한 AI혁명이 온다면 거기에 맞춘 각종 법은 자동으로 생길 것 같다. 하지만 덜 혼란스럽게 하기 위해서는 저자의 말처럼 미리 준비를 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인공지능 발전에 기여하는 기업들의 행동과 신념도 중요하겠지만 정부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를 고용해야 할 필요성은 정말 중요한 대비 중 하나인 것 같아 큰 공감을 했다.

앞으로 미래에 가능성이 있든 말든 나에게 초지능이 존재하길 바라냐 물으면 바라지 않는다고 대답할 것이다. 다른 무엇보다도 초지능을 컨트롤하는 자들이 나쁜마음을 먹고 AI군비를 조정한다면 지난 달에 본 영화 '듄'이 생각나며 너무 무시무시한 미래가 그려져 무서웠고 초지능으로 무엇이든 해결이 된다면 삶의 재미가 없어질 것 같다.

어젯밤 주차된 차를 빼며 옆에 있던 차와 내가 운전하던 차를 쫘악 긁고나니 자율주행차가 절로 떠올렸다. 인공지능 필요하네. 하아..
2021년 12월 5일
0

Jin님의 다른 게시물

Jin님의 프로필 이미지

Jin

@jin4azk

요즘 뉴스를 보면 정치판이 어느 영화나 드라마보다 다이내믹하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MAGA를 내세우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관세 전쟁을 치르며 난리인 와중에 국내 정치의 예상치 못한 사건들은 국가의 미래를 더 불안하게 만들었다. 이런 와중에 야스차 뭉크의 책을 읽으며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 민주주의의 현 상황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느낄 수 있었다.

1 작년 12월 3일 당연하게 생각해왔던 자유민주주의에 대해 처음으로 두려움을 느꼈다. 사실 두려움을 느꼈다기엔 어설픈 계엄으로 끝났지만 만약에 성공했다면이라는 가정이 무서웠다. 그래서 그동안 정치는 딱히 나와 밀접하지 않다고 생각해왔던 것을 반성하며 신경쓰지 않았던 정치에 요즘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2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주변 사람들과 정치에 관한 얘기를 하다 보니 놀랍게도 가까이에 극우인 내 또래들이 있었다. 스스로 극우라 밝히는 것이 흥미로워 그의 얘기를 더 들어보니 민주당에서 중국인 정치인들을 개입 시킨다거나 중국에 돈을 퍼준다거나 군대에 간첩이 포진되어 있다는 등의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대체 이런 얘기들을 어디서 들은 것인지 궁금하여 물어보니 즐겨보던 선호하는 작가의 유튜브에서 들었단다. 예전부터 검증되지 않은 유튜브의 정보들이 위험하다 생각했는데 국내 정치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것이 극우, 극좌 유튜버들의 자극적인 내용으로 선동질이 큰 이유가 되는 것 같다. 트럼프의 트윗질이나 SNS의 카더라 소식들, 각 유튜브 채널의 출처를 알 수 없는 정보들이 전 세계에 민족주의를 강하게 만들고 포퓰리즘이 강세하게 만든다고 했는데 유튜버의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믿고 당당히 극우라고 밝히는 사람이 내 주변에 있다는 사실에 놀라웠다.

3 경기 침체를 이미 경험해 보았고 세계화의 힘이 국가의 경제 정책을 수립하는데 장애가 된다고 느끼고 국가가 더 이상 단독으로 어떤 것을 결정할 수도 없는 요즘 우리는 경제 변화가 우리 통제 밖이라고 느끼고 생각한다. 작가의 이 언급은 우리 시대에 모든 국가가 느끼는 큰 두려움이 아닐 수 없다. 이 때문에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하고 그 탓인지 윤석열의 계엄 사건 탓인지 복합적인 이유겠지만 작년 말부터 경기가 좋지 않음을 느끼기에 크게 공감했다.

본인이 극우라고 밝힌 지인의 말이 생각난다. 자신이 극우인 것은 나라를 걱정해서라고. 상투적인 말이지만 과연 나라를 위해 어떻게 행동하고 생각해야할 지 모두가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할 때인 것 같다. 이 책을 읽다 보니 예전에 보았던 미드 뉴스룸이 생각났다. 오랜만에 정주행 해볼까 싶다.

위험한 민주주의

야스차 뭉크 지음
와이즈베리 펴냄

3일 전
0
Jin님의 프로필 이미지

Jin

@jin4azk

  • Jin님의 위험한 민주주의 게시물 이미지

위험한 민주주의

야스차 뭉크 지음
와이즈베리 펴냄

읽었어요
3일 전
0
Jin님의 프로필 이미지

Jin

@jin4azk

요즘의 생활 습관을 예전과 비교하면 다른것에는 오래 집중하지 못하면서 핸드폰 속 인터넷 SNS나 유튜브를 특별한 목적없이 보는 시간이 확실히 많이 늘었다. 한참동안 중독되어 보다가 흘러간 시간을 보며 놀랄때가 많다. 저자가 얘기하는 뇌가 퇴화되고 있을 시간이었다 생각하면 끔찍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인터넷으로 인해 사고의 능력이 떨어짐을 다양한 실험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또한 인터넷으로 인해 공감능력이 떨어지고 도덕성이 훼손될 수 있음을 예고한 점도 무서웠다. 이미 AI 시대에 도래한만큼 인터넷 사용 시간은 지속되고 더더욱 늘어날텐데 뇌 능력이 퇴화되지 않도록깊이 사고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식인 독서를 놓지 않도록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할 것이다. 일단 편하려고 구독하던 인터넷 신문을 종이 신문으로 바꿔야하나 싶다.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니콜라스 카 (지은이), 최지향 (옮긴이) 지음
청림출판 펴냄

3일 전
0

Jin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