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이를테면 에필로그의 방식으로
송지현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2022년 5월 19일 일기를 살펴보자.
"송지현의 책을 챙겼다. 『이를테면 에필로그의 방식으로』. 다 읽고 싶어서. 물론 퇴근하고 집에 가서 차분히 읽어도 되지만 난 그저 이 책에 일상을 묻히고 싶었다. 송지현은 "현대의 소설"을 쓰는 작가니까. 마찬가지로 현대를 사는 '나'라는 사람의 일상에 이 책을 묻혀보고 싶었다. 서로가 뒤섞이도록.
송지현에 관해 좀 이야기해볼까. 흥미로운 작가다. 정말이지 "현대의 작가"다. 그가 천착하는 인물들은 뭐랄까··· 너 뭐 돼? 이 말은 요즘 유행이다. 나대는 사람에게, 너 뭐 돼? 대부분의 사람은 실제로 뭐가 안 되기도 하지만, 우리는 스스로에게 너무 엄격해서 뭐 되는 사람도 뭐 안 된다고 생각할 것이다. 만수르 장남 정도가 아니라면. 키득키득. 아, 우리는 남이 나보다는 뭐 안 된다고도 다들 생각하지. 그러니까 이 말은 거의 모든 사람에게 적용된다. 유행할 수밖에 없는 말인 것이다. 다시, 송지현의 인물들에게는 아무도 이렇게 물어보지 않을 것이다. 너 뭐 되냐고. 왜냐하면 그들이 뭐가 아무것도 안 되었고 안 되고 있고 안 될 거라는 사실이 모두에게 자명하기 때문이다···"
*
"생겨나는 것들은 무언가를 멸종시켰다. 하지만 무엇이 멸종되었는지는 아무도 기억하지 못했다. 그것들은 다시는 들여다볼 수 없는 기억의 퇴적층에 묻혀 사라졌다." (「펑크록 스타일 빨대 디자인에 관한 연구」, 227쪽)
맨 마지막에 수록된 작가의 등단작은 위와 같은 문장들로 마무리된다. 스포라고? 아니다··· 내 생각에 이 책에 실린 아홉 편의 작품은 바로 저 문장들로부터 시작한다. 하나도 뭐가 안 되어서 아무도 그게 무엇이었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송지현의 소설에 있으니까.
작품마다 배경도 다르고, 느낌도 다르고, 오소리도 사람으로 등장하고, 좀비가 된 아버지도 등장하고, 어느 것은 현실적이면서도 어느 것은 환상적이고··· 이렇게 아홉 편 모두가 개성 넘치는데도, 읽다 보면 내 마음은 비슷한 방식으로 자꾸 아려··· "인생 자체가 시체 없는 사건 같"아서 "그냥 계속 졸"리고 "잠만"(198쪽) 온다는 오소리의 말을 들으면서. "아버지, 우리는 서로에게 모두 다른 괴물이야. 어떻게 완벽할 수 있겠어." (108쪽) 좀비 아빠에게 딸이 건네는 말을 들으면서.
하나로 꽉 묶여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소설집을 좋아하는데, 간만에 그런 책을 읽었다. 아홉 편을 따로 읽었을 때보다, 한 번에 한 권의 책으로 읽을 때 분명 뭔가 더 좋은 그런 책. 뿐만 아니다. 나는 송지현에 완전히··· 빠져버렸지. '송지현 월드'에 단단히 발이 묶인 것이다.
*
에필로그의 방식으로 말하자면, 며칠 내내 송지현에 빠져 살았다. 전작주의 ON. 두 번째 소설집을 읽었고 너무··· 좋았고, 산문집을 읽었고 너무··· 너무··· 좋았다. 해서 33-35 감상은 특별히 송지현 특집으로 준비했다. 세 권 다 책에서 파란색 느낌이 나는 게 재밌다. 표지에도 파란색이 들어 있기도 하고. 아무튼··· 송지현 월드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5
샤대프린스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