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원님의 프로필 이미지

한종원

@hanjongwon

+ 팔로우
아마존 세상의 모든 것을 팝니다 (아마존과 제프 베조스의 모든 것)의 표지 이미지

아마존 세상의 모든 것을 팝니다

브래드 스톤 지음
21세기북스 펴냄

읽었어요
2006년 게임회사 서버, DB 관리자로 IT 경력을 시작한 나에게 2012년에 AWS를 처음 접했을 때 충격은 어마어마했다. 그리고 그 충격은 곧 사랑으로 바뀌었는데, 게임회사에서 약 250대의 물리 서버를 관리하면서 겪은 가장 큰 어려움 대부분을 AWS의 가상 서버 기술로 해결할 수 있기에 나는 AWS 사랑에 빠지지 않을 수 없었다. 이후 2019년 개발 실무에서 손을 떼기 전까지, AWS가 일 년에 적어도 2번 이상 깜짝 놀랄만한 기능 추가나 개선을 계속해오는 걸 보고, 사랑을 넘어 '어떻게 이 큰 시스템과 서비스의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지?'라는 호기심이 들었다. 이 책 '아마존, 세상의 모든 것을 팝니다'에서 그 해답이 있었는데, 그건 바로 '고객에 대한 집착'이다. 지속해서 고객을 놀라게 하고, 고객의 사랑을 불러일으키는 제품,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원동력이 바로 아마존 특유의 고객에 대한 집착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아마존의 수많은 실패, 실수도 나오는데, 정말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은 조직 문화가 얼마나 무서운 성과를 만들 수 있는지 다시금 깨닫게 해주었다. 고객에 대한 집착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조직 문화를 위해서 더 노력해야겠다.
2022년 10월 11일
0

한종원님의 다른 게시물

한종원님의 프로필 이미지

한종원

@hanjongwon

  • 한종원님의 원씽 게시물 이미지

원씽

게리 켈러 외 1명 지음
비즈니스북스 펴냄

읽었어요
5일 전
0
한종원님의 프로필 이미지

한종원

@hanjongwon

책 후기: <원씽>

‘선택과 집중’의 중요성을 늘 되새기면서도, 정작 매일 다양한 업무를 동시에 처리하느라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곤 한다. 이 책은 그런 나에게 단순한 ‘선택과 집중’을 넘어, ‘선택과 포기’의 필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주었다.
저자는 우리가 맡은 일들을 ‘중요한 소수’와 ‘사소한 다수’로 구분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진정한 성과를 원한다면 중요한 소수에 집중하고, 사소한 다수는 미루거나 과감히 무시하라고 조언한다. 어찌 보면 당연하게 들릴 수 있지만, 핵심은 ‘중요한 소수’를 어떻게 가려낼 것인가에 있다.
이를 위해 책에서는 다음과 같은 초점 탐색 질문을 던지라고 제안한다.
"내가 할 수 있는 일 중 단 하나, 그것을 해냄으로써 다른 모든 일들이 쉬워지거나 아예 필요 없어지는 일은 무엇인가?"
이 질문은 우리의 노력이 도미노처럼 연결되어, 핵심적인 하나의 행동이 다른 여러 일들까지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가진다는 개념을 설명한다.
책에는 이처럼 지금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질문들과 판단 기준이 제시되어 있어, 실천에 도움이 된다. 다만 일부 주장에서는 다소 과감한 일반화가 느껴져 아쉬운 부분도 있었다.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은 삶의 균형에 대한 비유였다.
저자는 인생의 다섯 가지 영역—가족, 건강, 친구, 정직(개인적 삶)과 일(직업적 삶)—을 고무공과 유리공에 비유한다.
‘일’은 떨어뜨려도 다시 주울 수 있는 고무공이지만, ‘개인적 삶’은 한번 깨지면 되돌릴 수 없는 유리공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중요한 직업적 일에는 깊이 몰입하되, 개인적 삶의 영역들은 오랜 시간 방치하지 말고 반드시 최소한의 시간이라도 할애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특히 마음에 남았다.
결국 이 책은 단순히 일 잘하는 방법을 넘어, 삶 전체의 우선순위와 방향을 되돌아보게 해주는 유용한 안내서였다.

원씽

게리 켈러 외 1명 지음
비즈니스북스 펴냄

5일 전
0
한종원님의 프로필 이미지

한종원

@hanjongwon

책 후기: <첫째아이 마음 아프지 않게, 둘째아이 마음 흔들리지 않게>

이 책은 두 아이를 먼저 낳아 키우고 있는 여동생이 선물해줘서 읽게 되었다. 책을 읽으며 동생 생각이 많이 났고, 결혼하고 아이를 키우는 삶을 살면서 부모님과 동생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된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 책은 둘 이상의 자녀를 키우는 부모가 형제자매 간의 갈등을 어떻게 예방하고, 화목한 관계로 이끌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언들을 담고 있다. 자녀들은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얻기 위해 경쟁하기도 하지만, 때론 협력할 수도 있다. 이런 관계는 결국 부모의 양육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고 저자는 말한다.
부모가 자녀의 능력이나 태도, 행동 결과 등을 비교하거나 평가할 경우, 아이는 형제나 자매를 경쟁자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부모의 ‘조건적 사랑’은 아이가 사랑받기 위해 기준을 스스로 세우게 만들기 때문에 지양해야 한다. 첫째와 둘째 모두에게 비교 없는 조건 없는 사랑과 지지를 보내야 두 아이의 관계도 긍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첫째(31개월), 둘째(6개월)를 키우고 있는 지금 이 시점에, 이 책은 내게 매우 유용한 지침이 될 것 같다.

첫째 아이 마음 아프지 않게, 둘째 아이 마음 흔들리지 않게

이보연 지음
교보문고(단행본) 펴냄

읽었어요
3주 전
0

한종원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