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 팔로우
인생을 숙제처럼 살지 않기로 했다 (힘 빼고 유연하게, 모든 순간을 파도 타듯 즐기는 심리 수업)의 표지 이미지

인생을 숙제처럼 살지 않기로 했다

웃따(나예랑) 지음
다산북스 펴냄

마음이 힘들 때 다시 한번 읽어볼 책

행동이 아닌 존재로 자신을 느끼기 시작하면 자신에게 훨씬 관대해져요. 일만 하지 않고 내가 하고 싶은 걸 해요. 조급함과 초조함에 쫓기지 않고 내 마음의 소리를 듣기 시작해요. 남에게 편안하게 나 자신을 표현할 수 있고 그것이 무례하지 않고 자연스러워져요. 거울을 볼 때도 한숨을 쉬지 않아요. 사진 찍기가 부끄럽지 않아요. 내 얼굴에서 잡티만 보는 게 아니라 아름다움을 봐요. 생김새 말고 그 안에 담긴 아름다운 세월을 봐요.

누워서 드라마 정주행을 해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아요. 하루쯤은 정크푸드를 먹고 시간을 펑펑 낭비해도 마음이 불편하지 않아요. 나를 위해 돈을 쓰고 나에게 선물을 할 수 있어요. 남의 눈치를 과도하게 보지 않고 자유롭게 행동하고 말할 수 있어요. 그러고도 내 자신이 사랑스럽고 이해가 되죠. 실수해도 자책하지 않고 용서할 수 있어요. 과도하게 나를 치켜세울 필요도 없어요. 누가 나를 인정하고 수용해 주지 않아도 이미 나로 만족하거든요. 정체성을 외부에서 끌어오는 게 아니라 내부에서 느끼고 있기 때문에 조건과 성과, 즉 행동에 목숨 걸지 않죠.

그렇게 살면 나태해지고 도태될 것 같나요? 사람은 쥐려고 하면 놓치고, 놓으려 하면 쥐게 되는 것 같아요. 나를 놔주세요. 그러면 실오라기 같은 빛부터 서서히 잡히기 시작할 거예요.

저는 이제 인생을 파도타는 것처럼 살아요. 한때는 하나부터 열까지 철저하게 계산하고 계획해서 야무지고 똑똑하게 살았지만 지금은 전혀 아니에요. 때로는 내가 길을 만들어놓고 가는 게 아니라 그냥 내가 걸어가면 그게 길이 돼요.

계획에 맞게 착착 살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저는 없다고 봐요. 인생은 아무도 몰라요. 당장 내일도 무슨 변수가 있을지 우리는 아무것도 몰라요. 사람의 마음은 수시로 바뀌고요. 행복한 사람은 그때마다 자신이 하고 싶은 걸 하면서 자기실현을 해요. 저의 5가지 직업 중에서 뭐 하나라도 제가 계획해서 된 게 없어요. 그냥 살았는데 여기 있어요. 그때그때 하고 싶은 걸 했을 뿐이에요. 즐기면서 최선을 다해 주어진 삶을 살았을 뿐이에요.

파도타기는 나와 파도의 합작이지, 내가 파도를 통제할 수는 없어요. 세상을 살아간다는 건 세상과 나의 합작이에요. 그중에서 내가 통제할 수 있는 건 생각보다 별로 없어요. 성숙한 어른은 이것을 받아들일 줄 알아요. 인생은 내 뜻대로 할 수 없구나, 이건 어쩔 수 없는 거구나, 하고 힘을 뺄 줄 알아요. 그리고 오히려 튜브 하나만 끼고서 그 파도의 변수와 업다운을 즐기죠.
2023년 7월 16일
0

고매님의 다른 게시물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뻔하지만 생각해 보면 실천하고 있지 않은 일

행복해질 거야. 행복해 라는 말 자주 하기 일상에서 작은 행복을 느끼기
남탓하지 않기
남의 성공을 시기질투하지 말고 축하해주기
칭찬을 들으면 아니에요가 아니라 감사합니다 하기
현명하게 거절하기 만약 거절하기 어려우면 잠시 시간을 가지거나 미루고 다시 생각해보기

습관을 바꾸는 심리학

이토 아키라 지음
끌리는책 펴냄

4주 전
0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 고매님의 습관을 바꾸는 심리학 게시물 이미지

습관을 바꾸는 심리학

이토 아키라 지음
끌리는책 펴냄

읽었어요
4주 전
0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영양실조로 팔다리가 비쩍 마른 아이를 안고 있는 뱅골이나 소말리아, 수단의 엄마들이 자기 아이들이 죽음과 사투를 벌이는 게 '자연이 고안해낸 지혜'라는 소리를 들으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강한 자는 살아남고 약한 자는 죽는다는 자연도태설. 이 개념에는 무의식적인 인종차별주의가 담겨 있어."

"구호단체는 극단적인 조건에서 활동하고 갖가지 모순들과 싸워야 해 그러나 어떤 대가도 한 아이의 생명에 비할 수는 없다. 단 한 명이 아이라도 더 살릴 수 있다면 그 모든 손해를 보상받게 되는 것이지."

"이에 세계경제의 모든 메커니즘은 한 가지 명령에 복종해 야 한다. 한 가지 대전제는 바로 기아는 극복되어야 하며 지구에 거주하는 모는 사람은 충분한 식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그저 낭만적인 도움만으로는 기아가 해결되 지 않겠구나 하는 생각에 좀 무력한 기분도 들었다. 그러나 이 책 의 지은이는 다른 사람의 아픔을 내 아픔으로 느낄 줄 이는 유일 한 생명체인 인간의 의식 변화에 희망이 있다고 했다. 이 책이 우 리 사회에서 기아에 대한 의식과 공동의 관심을 새롭게 하는 작은 출발점이 되면 좋겠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갈라파고스 펴냄

1개월 전
0

고매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