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팔로우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0: 서울편(2) (유주학선 무주학불)의 표지 이미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0

유홍준 지음
창비 펴냄

얼마 전 중국 인민가를 작곡한 정율성을 기리는 정율성공원 일로 세상이 시끄러웠다. 우리나라에 왜 중국 위인의 공원을 만들어 주어야 하느냐 하는 논조로 쓰인 기사는 공원에 세금을 쓰는 것을 비판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0>에 수록된 동묘 이야기에서 그 사업의 진짜 목적을 알 수 있었다. 동묘는 관우의 묘이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들이 주둔지에 관왕묘를 세우면서 등장했다. 중국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동묘를 정비해 공원으로 개방한 것이 2017~2018년의 일인데 정율성 공원도 비슷한 취지로 조성되었던 것이다.
불과 5년밖에 되지 않은 일인데 이를 빨갱이, 공산당의 일로 몰아붙이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일까.
반면 그렇게 새단장하고 문을 연 동묘에 중국 관광객은 커녕 구제품 파는 행상들만 가득한 것을 보면 그저 국가간 우호를 위한 행사에 불과한 일이 아닐까.

무슨 일이든 정치가 끼어들면 이 편 아니면 저 편으로 편이 갈린다. 양자역학적으로 본 세계에서도 모든 존재는 공명한다는데, 철학적인 관점에서도 치우침이 없는 중용을 강조하는데 유독 정치에서만 점점 더 극단적으로 치우치는 까닭을 모르겠다.
2023년 10월 7일
0

새벽빛님의 다른 게시물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나는 단순하게 살기로 했다 게시물 이미지
좁게 살기 싫어서 조금씩 버리는 삶을 산 지 8년째.
이제는 버리는 데 도가 텄고, 스스로 미니멀리스트에 가까워졌다고 생각했는데 아뿔싸, '미니멀리스트는 살이 찌지 않는다'라고. 뜨끔.

나 역시 오랜 기간 비우며 살아오면서 느낀 점들에 많은 공감이 갔다.
특히 '자신의 욕망을 확실히 알게 된다'는 대목이 그렇다. 어느 정도 물건을 비우고 나서 물건이 아닌 '나'에게 집중하면 내가 원하는 삶이 조금씩 명확하게 보이기 시작하고 자연스레 행동으로 옮기게 된다.

지금 내가 소유한 몇 안 되는 물건을 소중히 여기게 되고, 나와 관계된 몇 안 되는 사람과의 관계가 소중해진다. 감사하는 삶을 살게 되고 청소마저 즐거워진다.

단순하고 루틴 있는 삶이 나는 좋다.

나는 단순하게 살기로 했다

사사키 후미오 지음
비즈니스북스 펴냄

읽었어요
7시간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손에 넣으면 어마어마한 부자가 될 수 있는 보석만이 보물은 아니다. 여우의 이야기 공책, 프라이데이 박사의 열렬한 탐구 정신, 집주인 호세의 삶에 대한 갈망. 이 모든 것이 전부 아름답다.

책 먹는 여우의 여름 이야기

프란치스카 비어만 지음
주니어김영사 펴냄

읽었어요
6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그림과 색채가 메세지, 문체와 다같이 어우러지는 그림책의 매력에 한창 빠져 있다.
이 책은 초등학교 한 교실에서 담임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매일 아침 그림책을 읽어 주며 진행했던 시간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장 지오노의 《나무를 심은 사람》에서 한 남자가 평생 나무를 심어 숲을 일군 것처럼 매일 양질의 그림책 1권씩 수년을 읽어 주었으니, 아이들도 아이들이지만 가장 긍정적인 변화는 이 책을 지필하신 선생님께 오지 않았을까.

그림책을 아이들에게 읽어준다고 해서 당장 아이가 변하지는 않을지도 모른다. 아는 것과 행동하는 건 다르니까. 그래도 변할 수 있는 씨앗을 심어 두면 때가 되어 아이가 선택해야 할 때, 그 씨앗이 아이를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도울 때가 있을 것이라 믿는다.
그때를 믿고 오늘도 그림책을 읽어 준다.

《행복한 청소부》처럼 나의 일을 사랑하고,
《강아지똥》처럼 간절하게 스며들어야지.

하루 한 권, 그림책 공감 수업

이태숙 지음
(주)학교도서관저널 펴냄

6일 전
0

새벽빛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