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권력의 종말
모이제스 나임 지음
책읽는수요일 펴냄
읽었어요
<포린 폴리시>의 편집장으로 유명한 모이제스 나임의 저서 <권력의 종말>은 권력이 더욱 강화된다는 이러한 통념에 의문을 제기하는 책이다. 그는 책에서 미시권력의 출현과 함께 권력이 크기와 규모의 족쇄에서 풀려나올 수 있으리라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는 새로운 시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양적증가혁명, 이동혁명, 의식혁명'을 이야기한다. 그가 이야기하는 양적증가혁명이란 인류가 과거에 비교해 전반적으로 더 오래, 더 건강하게 살고 필수품도 더 잘 제공받는다는 것을 뜻한다. '사람들이 더 많아지고 더 풍족한 삶을 살 때, 그들을 철저히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이 더욱 힘들어진다'는 게 양적증가혁명이 가져오는 변화의 핵심이다. 이동혁명이란 인종, 종교, 직업에 따른 이주의 증가, 사상, 자본, 신념의 전파 등이 과거보다 훨씬 쉽게 이루어지고 이로부터 포박된 수용자가 소멸하게 된 현상을 가리킨다. 의식혁명은 앞의 두 가지 변화와 연계된 개념으로 선진국 뿐 아니라 개발 도상국과 후진국의 시민들도 점차 더 좋은 상품과 서비스 등에 대한 기대를 품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모이제스 나임에 따르면 세계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되는 이같은 혁명적 변화는 기존 권력을 공고히 하던 장벽을 무력화하고 구멍을 뚫으며 침식시킨다. 그는 미국이나 유럽연합이 불법이민이나 밀무역을 막지 못하고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마약유입을 저지하지 못하는 것, 가톨릭 교회 등 관습과 윤리적 의무에 호소하는 기존의 권력이 여러 부분에서 점차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예로 들며 이를 입증한다.
그는 과거엔 무시되고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미시권력micropower들이 이같은 혁명적 변화 속에서 각 분야를 지배했던 거대권력, 대규모 관료조직의 기반을 무너뜨리고 고립시키는 경우가 잦아질 것이라 예측한다. 미시권력이 다양한 방식으로 기득권 세력을 지치게 하고 활동을 방해하고 기반을 무너뜨려 권력의 붕괴를 촉진하게 되리라는 것이다. '권력이 규모와 무관해지면서 권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했던 거대한 관료조직이 무의미해지는 현상은 이제 세상을 바꾸고 있다'는 게 그의 일관된 인식이다.
저자는 세계적인 중국전문가 밍신 페이의 말을 빌려 자신의 주장을 명료하게 표현한다.
"오늘날 중국 공산당 정치국원들은 지나간 호시절을 공공연히 이야기해요. 그때는 전임자들이 수많은 블로거, 해커, 국적을 초월한 범죄, 부패한 지방 관리, 해마다 18만 건씩 민중 항의를 조직하는 사회운동가들을 걱정할 필요가 없었던 시절이죠. 과거에는 체제에 도전하는 세력이 나타나면, 그들을 처리하려고 정치 지도자들이 더 강력한 권력을 휘둘렀어요. 오늘날 지도자들도 권력은 있지만 수십 년 전만큼 강하지는 않지요. 이 사람들의 권력은 꾸준히 약해지고 있어요."
0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