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 팔로우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신영복 옥중서간)의 표지 이미지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신영복 지음
돌베개 펴냄

담장 밖으로 내보내고 싶었던 간절한 사유들. 합당하지 않은 권력의 횡포에 감옥 안에서 보내야만 했던 그 길고 긴 세월을 오직 생각을 깊이 하는데 쓰겠다 다짐하였던 그의 마음자세. 깊은 통찰과 여유있는 마음으로 옥중의 삶을 관조하며 스스로를 조금씩 깊게 하였던 그 고운 사색의 시간들.

그러나 결코 쉽지만은 않았으리라. 부모며 형제며 친구며. 그를 사랑하는, 그리고 그가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을 담 밖에 놔둔채 수십번의 여름과 수십번의 겨울을 온전히 홀로 견뎌내야 했던 수감생활의 무게는 감히 짐작하기조차 어려우니까.

문득 한학과 서도에 조예가 있는 아버지 밑에서 엄격한 교육을 받으며 자랐을 그의 성장과정이 궁금해진다. 문체에서 느껴지는 고아한 선비같은 인상이 그의 문체뿐 아니라 사유의 틀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거라 생각하기에 그의 성장과정에 대해서도 궁금해지는 것이다.

그의 글은 대부분 담박하고 깊은 사색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것들이었지만 일부에선 실천없는 지식에 대한 비판이 때로 실천이 따르지 못한 지식에 대한 과도한 평가절하로 흐르는듯한 인상을 받았고 옛것, 자연, 노동에 대한 막연한 옹호로써 젊음과 도시, 그리고 문명에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는데서는 약간의 고리타분함까지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그의 삶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채 검열된 짧은 서간만을 보고 짐작하는 인상이란 너무도 부정확한 것이어서, 내가 그의 글에 대해 받은 부정적 인상은 고작 단편적인 느낌 정도에 불과하다.

더불어 검열을 거쳐야 했던 편지문의 특성상 민감한 주제에 대한 날 선 사유의 흔적은 찾을 수 없고 그저 삶에 대한 관조와 통찰만이 남아있었다는 것이 신영복이란 인간을 온전히 이해하는데 방해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깊은 사유의 편린들, 그 가운데 빛나는 통찰들은 신영복이란 인간이 어떤 고뇌를 가지고 살아갔던 존재였는지를 이야기해주고 있어 어느정도 만족스러웠다.

[세상이란 관조의 대상이 아니라 실천의 대상이다. 퇴화한 집오리의 한유(閑遊)보다는 무익조(無翼鳥)의 비상하려는 안타까운 몸부림이 휠씬 훌륭한 자세이다.]

그의 사상을 관통하는 실천의 중시, 다른 수많은 작가의 글에서도 보여졌던 '행하는 것이 행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라는 확신. 어느정도는 이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굳이 '어째서 당신들은 세상이 실천의 대상이라 확신하는 것입니까'라고 묻고 싶었던 것은 왜일까. 누구도 이에 대해 답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리라.

기독교에 대한 사유에서 보여졌던 근원적인 물음이 이에 대해서도 보여졌다면 더욱 만족스러웠을텐데, 조금은 아쉬움이 남는다.
2023년 12월 19일
0

김성호님의 다른 게시물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한국 시네필, 나아가 영화를 아끼는 모든 이들에게 피녜이로의 입문서로 유일하다 해도 좋을 선택지를 제공한다. 최대한 충실하려 한 마음이 그대로 깃들어 책의 가치를 잃지 않게 한다. 이로부터 우리는 지구 반대편에서 영화예술에 진지하게 임하는 한 작가의 목소리를, 그의 실험과 도전의 성패를 생생히 마주할 수 있는 것이다. 어떻게 박수를 치지 않을 수 있을까.

마티아스 피녜이로 - 방랑하는 영화, 모험하는 영화

마티아스 피녜이로 지음
코프키노 펴냄

10시간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공들여 쓴 내 글 한 편이 실려 있다. 그럼에도 차마 내 책이라 부르고 싶지 않은 것은 이 책이 얼마나 대강대강 만들어졌는지를 알고 있는 때문이다. 누구도 마음을 부었다 할 수 없는 이 실망스런 책에 그래도 가치가 있다면, 적어도 인터뷰에 응한 공복들, 그 공직자들의 진심이 이따금은 읽히는 때문일 테다.

대한민국의 빛과 소금, 공복들

파이낸셜 뉴스 지음
북스토리 펴냄

1일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마이니치신문> '간병 가족' 기획보도를 그대로 따라한 <서울신문> 탐사보도.

접촉이 어려운 때문인지, 책 가운데 생생한 이야기가 충분히 담겨 있진 못하다. 그럼에도 담은 사례가 전하는 경향성만큼은 선명하고 뚜렷하다. 개인과 가정의 붕괴 가운데 사회의 존재가 느껴지지 않는단 것, 고립되고 피로가 누적된 이들이 마침내 극단적 선택에 이른단 것이 하나하나 그렇다. 경향과 그 원인이 나왔으나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단 건 참담한 일이다. 한국의 오늘이 꼭 그러하다.

간병살인, 154인의 고백

유영규 외 4명 지음
루아크 펴냄

2일 전
0

김성호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