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에밀
장 자크 루소 (지은이), 박호성 (옮긴이) 지음
책세상 펴냄
독서의욕을 불러일으키는 소개글과 흥미로웠던 서문이 인상적이었으나 딱 거기까지였다. 옮긴이는 이 글에 대해 루소의 저작 중에서 정치와 교육의 핵심을 다룬 작품이라 적어놓았으나 내가 보기엔 교육에 대한 글이었을 뿐이고 정치에 대해서는 깊이있는 언급이 없어 정치에 대한 글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을 듯했다.
정치와 교육이 작금의 우리사회는 물론이거니와 모든 민주정이 바람직하게 기능하게끔 하기 위한 가장 큰 과제임을 나는 '민주주의란 무엇인가'라는 글을 통해 밝힌바 있다. 때문에 나는 나의 사상과 같았던 이 책의 머리말에 공감했고 당대 사회의 부조리를 해결하기 위한 루소의 접근법에 흥미를 느꼈던 것이다. 하지만 막상 펼쳐든 이 책에서 마음에 들었던 건 사회의 부조리를 해결하기 위한 그의 접근법, 고작 서문의 내용 뿐이었다.
서문 이후 서술된 부분은, 전 5장 중 1장의 내용 뿐이라고 하더라도, 상당히 실망스러웠다. 물론 주류와 다른 시각에서 문제를 보고, 전혀 새로운 관점에서 사고하는 루소라는 사상가의 존재가 가치있다는 사실을 부인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는 너무나 많은 경우에 자신이 근거로 삼는 사실을 돌아보지 않고 주장을 펴나가는데 이런 근거들이 사실과 달라 읽기 불편한 경우가 많았다. 더구나 논리전개 역시 비약이 심하고 검토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 개인적 편견들이 그대로 주장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적지않게 있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나는 그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에 대한 감상평에서 '루소의 사상의 원천은 자유가 아니라 무지'라 적은바 있었는데 이 감상은 이 글에 있어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태초의 자연스러운 상태가 어째서 가장 이상적인지에 대해서도, 왜 본성을 그대로 발현시키는 교육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바람직한 인간을 만드는지에 대해서도, 어느 지점에서 본성과 본성이 아닌 것을 구분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깊이있는 논의를 진행하지 않았고 오직 자연과 본성이 제일이라는 주장만을 거듭하는 것은 활자의 낭비였을 뿐이다. 에밀의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부분에서도 현대과학과 상충하는 주장을 거듭하는 등 인간에 대한 무지가 보여졌는데 이런 부분들이 루소의 주장을 뜬구름 잡는 듯 보이게 하는 원인이 아닐까 싶다.
1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