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3부작 :욘 포세 연작소설 의 표지 이미지

3부작

욘 포세 지음
새움 펴냄

늦가을, 어두워지고 있는 거리 한 연인이 거리를 배회하고 있다. 이제 17살밖에 되지 않은 이 연인은 뱃속의 아이까지 있어 힘들고 지쳐간다. 그러나 이 낯선 도시의 그 어느 한 명도 이들을 거둬주려 하지 않는다. 지치고 힘든 이들은 이제 결정을 내려야 했다. 누군가 이들을 편히 쉬게 해주지 않는다면, 이들 스스로 지낼 곳을 찾아야 한다.



<3부작>은 21세기 사뮈엘 베케트로 불리는 노르웨이 작가 욘 포세의 중편 연작 3부작이다. [잠 못 드는 사람들], [올라브의 꿈], [해질 무렵]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아슬레와 알리다, 그리고 그들의 아기 시그발에 대한 이야기이다. 17살 어린 연인의 배회로 시작된 이야기는, 아슬레의 기억으로, 알리다의 기억으로 회상된다. 그들이 세상에 그들밖에 남지 않게 된 이유, 그럼으로써 서로가 서로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말이다. 세상의 단 하나 내 편을 지키기 위해 아슬레는 남편으로서, 아빠로서 가족을 지켜야만 했다. 그런 행동이 남들에겐 옳지 못하건 나쁜 일이건 상관없이.



사실 내겐 너무 벅찬 이야기였다고 고백해야겠다.



처음 이야기가 시작되고나선 마침표 하나 없는 이 소설에 당황했다. 중간 중간 쉼표가 주는 의미로 간신히 문장을 이해하고 이야기를 만들어갔다. 차츰 적응되고나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야기 속에 빠지게 되는 욘 포세의 서사가 감탄스러웠다. 설마...설마 하던 이야기가 두 번째 이야기 [올라브의 꿈]에서 드러나자 많이 불편해졌다. 주인공이, 그래선 안됐던 것 아닌가...하는 느닷없는 도덕성에 빠졌다가 그럼에도 가장으로서 최선을 다하고자 했던 올라브, 아슬레가 안타까워지기도 하면서 가슴이 저릿해졌다. 작가는 바로 그런 것을 의도한 건 아니었을까. 세상의 잣대로 유무를 따지기 전에 한 사람의, 한 연인의, 한 가족의 사랑을 이야기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때문에 3부 [해질 무렵]에서 그 모든 사랑의 증표 팔찌가 알리다에게 돌아가고 바이올린이 제자리를 찾은 것처럼.



1부에서 긴박한 어린 연인의 이야기에 숨막혔다면, 2부에선 과연 어떤 결과가 될지 가슴 졸이고 3부에선 전체 속의 이 연인 이야기에 경건해진다.



삶이란, 좀처럼 이해할 수 없다. 그저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갈 뿐이다. 절대로 내게 일어나지 않을 것 같던 일도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나고 마치 언제 그랬냐는 듯 그 상황에 적응해 살아간다. 어렵고, 어렵고, 어려운 시기가 지나가고 내게도 볕이 들까 싶다가도 더 큰 절망이 찾아온다. 그래도... 살아간다. 나중에 훨씬 나중에 이 삶을 돌아보게 된다면 그 모든 절망과 실패와 고통도 내 삶의 자양분이 되기를 바란다. 돌고 돌아서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는다고 이야기하는 작가의 말대로 말이다.
2024년 3월 20일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게시물 이미지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5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게시물 이미지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장폴 뒤부아 지음
밝은세상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파트리크 쥐스킨트라는 작가가 각인된 건, <향수>를 통해서다. 너무나 강렬한 미스터리 소재에 마치 영화를 보는 듯한 묘사가 무척 마음을 끌었다. 그런데 작가가 더 좋아진 건, <좀머씨 이야기> 덕분이었다. <향수>와는 완전히 다른 소설이고 잔잔한 듯, 묵직한 소설이 왠지 마음에 오래 남았다. 이렇게나 다른 작품을 쓰는 작가라니 정말 궁금하다~ 생각했는데 파트리크 쥐스킨트는 어떤 상을 준다고 해도 공식 석상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 신비함을 더해주는 작가.



최근에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두 작품을 더 읽었다. 작가의 첫 번째 소설인 <콘트라베이스>와 세 번째 소설인 <비둘기>다. 이렇게 네 작품을 놓고 보니 <향수>만 좀 동떨어진 느낌이다. <향수>는 영화화되었을 만큼 대중적인 소설인 반면, 다른 세 작품은 매니아가 아니라면 읽기가 쉽지 않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비둘기>는 느낌 상 <콘트라베이스>와 <좀머씨 이야기>의 중간 정도로 느껴진다.



<비둘기> 속 조나단 노엘은 오랜 기간 아무 걱정이나 큰 사건 없이 조용히 지내왔다. 유년기와 청년기에 너무나 큰 일을 겪었던 조나단에게 이 시간은 더없이 행복한 하루하루였다. 그러던 어느 날, 여느 날과 다름 없이 생활하려던 그때, 자신의 한 칸 방 방문 앞에 비둘기가 가로막고 있는 것을 발견하다. 그는 이 비둘기를 본 후 패닉에 빠진다.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고,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그는 자리에서 일어난 후 느껴지는 요의와 저 방문 앞 비둘기를 뚫고 과연 무사히 출근을 하고, 다시 이 안전한 방으로 귀가할 수 있을까.



조나단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서술은 마치 <콘트라베이스> 속 주인공의 혼잣말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조나단의 행동과 그 원인을 파헤쳐보면 마치 <좀머씨 이야기> 속 좀머씨와 비슷하다. 조나단은 유년기에 겪은 2차 세계 대전을 다 극복하지 못하고(누구라도 하루 아침에 부모가 사라지는 일을 겪는다면 그럴 것이다) 짜여진 일상 속 쳇바퀴같은 삶을 지향한다. 그 일상 속 "비둘기"는 그에게 침입자와 같을 것이고 오히려 이 비둘기를 비롯한 일련의 사건들(하나의 사건은 또다른 하나를 불러내고 이어 연속되는)로 패닉 상태가 지속되는 듯하지만 책의 처음, 어린 시절 아무 걱정없이 비 오는 날 물장구치며 걸었던 그 순간을 떠올리듯 철벅거리며 거리를 걷는 동안(좀머씨의 방황과 비슷하지 않은가! ) 조금씩 자신을 되찾아간다.



나와는 너무나 다른 그 누구라도 그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묘사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이제 <향수>도 한 집합으로 묶어낼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가진 트라우마를 왜 다른 사람들에게 털어놓지 못하는가에 대한 질문이 읽는 내내 궁금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조나단이라면 그랬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인간 내면 세계를 심도 깊게 묘사한 쥐스킨트의 역작"이라는 설명이 아깝지 않은 소설이다.

비둘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열린책들 펴냄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