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이미지

:)

@eudaimoniaaa

+ 팔로우
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 (미국 중앙은행은 어떻게 세계 경제를 망가뜨렸나)의 표지 이미지

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

크리스토퍼 레너드 지음
세종(세종서적) 펴냄

권위있는 소수 엘리트에 의해 깔끔하고 명쾌하게 결정되어졌다고 보이는 것들이 전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알지 못했다. 그들 스스로도 정치보다는 수학과 더 가깝다고 믿고 내리는 결정들. 약자와 전문용어 속에 가리워진 진실을 밝히고자 하면 언론과 정치권으로부터 질타받게 되는 그들이 사는 세상에 대한 이야기이다. 국내 언론에서도 미국 경기가 재채기 하면 우리나라 경기는 몸살을 앓는다는 표현을 자주 쓰는데, 이것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오랫동안 앓게 만드는지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었다.
연방준비제도의 제로금리정책, 양적완화는 통화공급을 늘림으로써 경기를 부양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그 혜택이 얼마나 소수에게 집중되어 돌아가는지 보여준다. 언론이나 정치권은 물가 인플레이션만 목이 터쳐라 외치지만 실제 양적완화는 물가 인플레이션보다 자산인플레이션에 집중되어 효과를 발휘한다. "자산 인플레이션이 통제를 벗어나면 사람들은 그것을 인플레이션이이라고 부르지 않고 호황이라고 부른다." 양적완화와 제로금리정책은 사람들이 수익률을 찾아 나설 때 역량을 발휘한다. 이는 자산 수요를 증가시켜 회사채, 주식, 부동산 심지어는 미술품에 대한 가격까지 밀어올린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호황이 폭넓게 확산되어 일자리 창출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를 말하지만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못하다. "ZIRP시대의 희한한 현실 중 하나는 전체적인 경제성장은 비실비실해도 자산가격은 놀랍도록 높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전 읽은 책을 통해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차이에 대해서 이해하게 되었는데, 그 내용 덕분에 이 책의 주요내용을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 한쪽에는 중앙은행이 관리하는 통화정책이 있고, 다른 쪽에는 민주적 책무를 지는 국회와 정부 기관들이 관리하는 재정정책이 있다. 재정정책에는 조세, 공공지출, 규제 등이 포함된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정부가 재정정책을 펼 수 있는 약량은 연준이 통화정책을 펼 수 있는 역량이 강화되던 시기에 서서히 약화되었다. 재정정책 역량이 약화된 데는 많은 이유가 있다. 정치가 돈에 휘둘린 것."
"저는 통화정책이 재정정책을 따라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라고 말하고, FOMC에서 사임하는 그날까지 양적완화에 반대하던 토마스 호니그의 소신에 경의를 표하며. "정중히 반대합니다." 수많은 평범한 시민이 그들의 결정에 휘청휘청 춤을 추고, 소수는 그 어떤 기회든 부를 축적하게 된다. 경제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답답하고 허무한 현실이지만 토마스 호니그같은 분이 있기에 다시 정신차려본다. 또한 이제라도 권위와 있어보임에 현혹되지 않는 지혜를 갖게 되길 스스로에게 기대해본다.
2024년 6월 11일
1

:)님의 다른 게시물

:)님의 프로필 이미지

:)

@eudaimoniaaa

미쳐 전하지 못한 것들. 전하고 싶었던 것 대신 엉뚱한 걸 건내고 말았던 순간들. 그때로 돌아간다면 전할 수 있을까. 책을 다 읽은지 2주가 지난 시점에도 공감됐던 이유를 명확하게 찾을 수 없었는데 불연듯 떠오르게 되었다. 나도 미쳐 전하지 못한 것들을 안고 살아가고 있었다는 것을.

두고 온 여름

성해나 지음
창비 펴냄

1주 전
0
:)님의 프로필 이미지

:)

@eudaimoniaaa

시의적절하게 잘 읽었다! 집중력이 떨어져 두껍고 어려운 주제는 읽고싶지 않은 요즘. 음악 듣다가, 일기 쓰다가 울컥하는 일이 많아지고, 작은 일로 짜증이 나는 요즘. 개차반같이 살고 싶다가도 개차반같은 짓을 하고는 자책하는 게 질려버린 요즘. 그래도 괜찮다, 그런 때도 있다고 이야기해주는 책.

무명의 감정들

쑥 지음
딥앤와이드(Deep&WIde) 펴냄

1개월 전
0
:)님의 프로필 이미지

:)

@eudaimoniaaa

매년 새롭고 풍성해지는 #국제도서전 너무 기대됩니다!!! 강연뿐만 아니라 도서전에서만 만날 수 있는 표지와 궂즈도 기대됩니다!! 🍒🍉🍭🍦📖
2개월 전
0

:)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