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새장에 갇힌 새가 왜 노래하는지 나는 아네의 표지 이미지

새장에 갇힌 새가 왜 노래하는지 나는 아네

마야 안젤루 지음
문예출판사 펴냄

다른 책을 읽다가 알게 된 책이다. 오래된 책이라 절판된 상태였는데 마여 앤젤루의 타계 10주년을 맞이해 새로운 예쁜 표지로 다시 출간된 듯하다. 나는 출간 소식을 듣고 도서관으로~ㅎㅎ.



어느 정도 정보를 알고 있는 상태였지만 사실 "마여 앤젤루"에 대해 자세히 아는 상태도 아니었기에 인종과 여성 차별을 다룬 책이구나~ 하는 정도의 생각으로 책을 펼쳤다. 책은 작가(마여 앤젤루)의 수려한 문장 덕에 술술 읽히는데 내용은 그렇지 못했다. 나중에 번역하신 김욱동 님의 작품 해설을 보니 오프라 윈프리가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꼽은 인물이라고 한다. 또한 흑인 여성 최초로 25센트 주화에 새겨진 인물이기도 하다. 도대체 어떤 삶을 산 인물이기에 이렇게 미국 국민들에게 존경받는 인물이 된 것일까.



하지만 <새장에 갇힌 새가 왜 노래하는지 나는 아네>만 읽고서는 이 여성의 삶이 잘 그려지지 않는다. 자전적 소설은 엄마, 아빠의 이혼으로 3살에 친할머니가 사는 남부 아칸소주로 보내지는 시점부터 16살 미혼모의 삶을 살게 되는 부분에서 끝이나기 때문이다. 다만 가장 차별이 심했을 남부의 삶이 마여에게 끼친 영향과, 그 이후 북부에서 엄마와 함께 산 삶, 다시 남부의 삶, 또다시 북부 샌프란시스코에서의 삶을 통해 세상을 보는 통찰력을 얻었을 마여를 따라갈 수 있다.



마여 앤젤루의 자전적 소설은 모두 다섯 편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 번역본은 많지 않다. 따라서 그녀의 삶을 온전히 따라갈 수는 없겠지만 자신이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왔다는 엄마와의 관계를 다룬 책 <엄마, 나 그리고 엄마>도 한번 읽어보고 싶다.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호랑이를 부탁해 - 2024년 제30회 황금도깨비상 수상작 게시물 이미지

호랑이를 부탁해 - 2024년 제30회 황금도깨비상 수상작

설상록 지음
비룡소 펴냄

읽었어요
2시간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아름다운 두 소녀의 얼굴이 표지를 가득 채운 <두 개의 달>은 표지부터 시선을 끈다. 닮은 듯, 다른 두 소녀에게 무슨 일이 있는 걸까 벌써부터 궁금해지는데다 언제나 신비로움 가득한 "달"이 제목에 들어가니 당연히 읽고 싶을 수밖에 없다.



그런 표지의 첫 느낌처럼 소설의 시작은 호기심으로 가득하다. 보육원에서의 대화는 한 아이에 대한 것이고 누군가가 그 아이를 원한다는 것, 그런데 그 아이는 뭔가 좀 평범하지 않다는 사실을 곧 알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스테리는 아이뿐이 아니다. 이 아이를 원하는 츠다 할머니는 생일과 혈육, 달이라는 단서를 달아 아이를 찾고 있다. 어쩌면 이 아이는 어떤 음모에 이용되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그런가 하면 또다른 곳에서 또다른 아이가 같은 형식으로 츠다 할머니와 연결된다. 츠다는 왜 이 아이들을 찾는 것일까.



앞부분의 진행이 무척 흥미로워서 정말 즐겁게 읽어나갔다. 달과 연관된 이름을 가진 두 명의 아이들, 미즈키와 아키라가 각각 다른 곳에서 지냈지만 이 둘은 같은 눈과 각자의 능력을 갖춘 아이들이라는 설정도 그렇고 어째서 아무 관련이 없는 츠다가 이 아이들을 한 곳에 모았는지도 흥미진진하다. 무엇보다 다른 환경에서 자랐기에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지게 된 두 아이가 서로를 받아들이고 함께 하는 모습은 무척 흐뭇하기까지 하다.



마냥 판타지일 것만 같던 <두 개의 달>은 서서히 츠다의 비밀이 밝혀지며 가볍지만은 않은 주제로 이어진다. 뒷 표지에 쓰인 츠다의 말, "나로 인해 죽은 너를 다시 만날 수 있다면 돌아오지 못해도 괜찮아."(...뒷표지 중)는 책의 주제로 이어지는 문장이다. 한순간의 실수와 판단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 하지만 그것을 되돌려놓기 위해 하는 행동은 또 어떤 결말로 이어지는지, 그것을 책임질 수 있는 자만이 결국은 용기내어 용서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지금 이 순간의 행복을 소중히 해야 함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가장 하기 힘든 일. 그래도 하루를 충실히, 내 곁의 이들에게 감사함을, 오늘도 별일 없이 하루가 지나감에 행복함을 다시 한번 되새긴다.

두 개의 달

도미야스 요코 지음
다산어린이 펴냄

2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두 개의 달 게시물 이미지

두 개의 달

도미야스 요코 지음
다산어린이 펴냄

읽었어요
2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