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 팔로우
우리 인간의 아주 깊은 역사 (생물과 인간, 그 40억 년의 딥 히스토리)의 표지 이미지

우리 인간의 아주 깊은 역사

조지프 르두 (지은이), 박선진 (옮긴이) 지음
바다출판사 펴냄

학창시절 공부를 등한시한 까닭에 이 책에 나오는 거의 모든 내용이 새롭게 다가왔다.

아득히 먼 옛날,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약 40억년 전, 중심에 핵을 가진 단세포가 탄생했고, 그러한 단세포들이 모여 지금의 나를 비롯한 온갖 생명을 만들어냈다는 사실을 알아가는 과정은 그야말로 경이로움 그 자체였다.

이 책의 처음 절반 정도는 생명의 탄생에서부터 식물과 동물의 출현까지의 머나먼 여정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는데, 이는 저자의 탁월한 글 솜씨는 물론이거니와 저자가 글머리에서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해마지 않은 삽화의 영향이기도 한 것 같다.

참고로 난 이 책의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싶어 관련 유튜브 동영상을 찾아 보았는데, 그 과정도 무척 재미있고 책을 읽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후반부에서는 인간의 뇌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정보의 인지 및 처리과정, 의식과 무의식, 자주적 자아와 비자주적 자아, 인간만의 복잡다단한 감정에 이르기 까지.

우리 뇌의 각 부분은 기능이 매우 광범위하고, 여러 회선이 중첩되며, 각각의 이름 또한 복잡하고 생소해서 책 후반부는 쉽게 소화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저자가 강조하는 부분,

그러니까 우리 뇌에서 공포라는 감정이 먼저 생겨나서 그에 따른 반응(우뚝 멈춰 서거나, 심박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갈래인 암묵적 감정 회로를 따라 신체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저자가 이를 강조한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감정이 신체 반응을 일으킨다는 그릇된 오해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와 같은 오해를 종식시키기 위해 자신을 비롯한 학자들이 용어를 적절하고 정확히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아무튼 책을 다 읽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스마트 폰처럼 복잡한 기계장치들도 작은 원자들이 모여 부품이 되고, 그 부품 하나 하나가 정교한 연결을 거쳐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데, 무수한 세포들이 모여 만들어진 인간도 어찌보면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장구한 시간의 흐름과 대자연의 신비 속에서 과연 인간이 가장 우월한 존재일까?

나는 단호히 'No'라고 말하고 싶다.

앞으로 40억년이 후에 지구상에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은 세포 뿐이기 때문이다.
0

god님의 다른 게시물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 god님의 보보스 게시물 이미지
나를 설레게 하는 일.
그것이 진짜 내가 원하는 일일 텐데, 난 아직 못 찾았다.
훌륭한 기준이다.

보보스

데이비드 브룩스 지음
데이원 펴냄

읽고있어요
3시간 전
0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데미안’이 인생책이라고 이야기하던 아내가 나보다 먼저 이 책을 구매했다.

처음엔 열심히 읽는 것 같더니 얼마 지나지 않아 식탁 위에 던져둔 채 펼칠 생각을 하지 않아 내가 먼저 읽게 되었다.

불교의 창시자 ‘싯다르타’

그가 나약한 인간으로써 겪게 되는 깨달음의 과정을 이렇듯 생생하고 흥미롭게 글로 표현할 수 있다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싯다르타가 깨달음을 얻고 있을 때, 내 머릿속에서는 문득 레고블록이나 점토 같은 물질들이 떠올랐다.

점토나 블럭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온갖 새로운 것들이 만들어 지듯, 우리 눈에 보이는 모든 것들 또한 원자의 조합으로 구축된 것들이기 때문이다.

만들어졌다 해체되고, 만들어졌다 해체되는 끝없는 순환 속에 나는 지금 인간으로 만들어져 여기에 글을 쓰고 있지만, 언젠간 해체되어 또 다른 조합, 그러니까 하루살이나 강가의 돌맹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보면 만물의 영장이라 불리는 인간도 영원한 시간 속에서 찰나를 살아갈 뿐이라는 싯다르타의 가르침이 이해가 된다.

“인간이든 짐승이든, 초목이든 벌레든, 하다 못해 생명이 없는 돌맹이까지 세상 만물은 연결되어 있다. 그러니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사랑하라.”

싯다르타

헤르만 헤세 지음
민음사 펴냄

1주 전
0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세계 최초의 역사서인 이 책은 상당히 두꺼운 편이다.

하지만 본문 내용이 대게 반 페이지 정도의 짧은 단락들로 구성돼 있어 읽기에 부담은 없었다.

또한 이 책은 기원전 400년 무렵에 저술된 세계 최초의 역사서답게 신화와 결부된 다소 허무맹랑한 이야기와 신탁에 의지하는 정치적 행위들이 자주 나오기 때문에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감안하여 읽을 필요가 있다.

아무튼 당시엔 가문이 엄청 중요했던 것 같다.

주요 등장인물에는 언제나 집안의 가계가 따라 붙는데, 본인의 이름, 아버지의 이름, 할아버지의 이름, 할아버지의 아버지의 이름…

이런식으로 계속 올라가다 결국엔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으로 귀결된다.

그런 까딹에 이 책엔 정말이지 수없이 많은 이름이 나온다.

그 이름을 전부 기억하고 머릿속에 관계도를 그려가며 읽었다간 도저히 끝을 볼 수 없을 것아 대충 넘기며 읽었는데, 주요 사건의 흐름과 스토리를 이해하는 데에 전혀 무리가 없었다.

페르시아 전쟁 편은 정말 재미있었다.

지금으로 치면 여러 약소국으로 분열된 우리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거대한 제국과 맞붙어 이기는 스토리인데, 이 부분을 읽을 땐 과거 액션 영화로만 치부했던 영화 300을 다시 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아는 만큼 보이는 법이니 전 보다 훨씬 더 재미있게 영화를 감상할 수 있으리라.

역사

헤로도토스 지음
도서출판 숲 펴냄

1주 전
0

god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