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나의 몫 (파리누쉬 사니이 장편소설)의 표지 이미지

나의 몫

파리누쉬 사니이 지음
북레시피 펴냄

이 한 권의 책을 읽는데 꼬박 2주가 걸렸다. 700페이지에 가까운 책의 두께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감정적 동요가 너무 컸기 때문이다. 10년 전쯤 읽었던 할레드 호세이니의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을 읽을 때에도 그랬다. 같은 여성으로서 도저히 그들의 고통과 아픔을 받아들이기가 너무 힘들어서 읽다가 책을 다시 놓았다가 감정을 추스린 후에야 다시 책을 들곤 했다. 그리고 다시 한 번 우리가, 내가 그들의 역사와 문화, 삶에 얼마나 무지한지를 깨닫게 된다.

책을 통해서가 아니면 어떻게 이란이라는 나라에 관심을 갖고 그들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을까. 중앙아시아의 문학 작품 또한 그리 흔한 것이 아니어서 나라, 나라마다 다른 상황이나 역사를 인지하는 데도 꽤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했다. <나의 몫>을 그저 편하게 읽기 시작하고 나름대로 시대를 추정하다가 역사 배경을 찾아보지 않으면 안 되었고 찾아보면서도 내가 이란의 어느 시점을 자세히 알아야 하는지를 두고 꽤나 헤맸다. 앞부분에선 시대를 추정할 수 있는 힌트가 많지 않아서 전체적인 이란의 역사를 훑어보아야 했고, 드디어 어느 시점인지를 알고 나서는 꽤나 자세히 그들의 역사를 알아보았다.

이제 이 두꺼운 책을 모두 읽고 난 지금, 이 순간에서야 이 소설 속 여인과 내 시대가 그렇게 많이 차이나지 않음을 깨닫는다. 그리고 느껴지는 충격은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충격까지 더해져 그저 멍해지게 만든다. 어떻게 이렇게 다른 삶을 살게 했을까. 그저 여자라는 이유 만으로 자신의 뜻대로는 한 번도 살아보지 못한 마숨의 인생이 얼마나 마음 아픈지 모르겠다.이슬람이라는 종교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그저 역사에서 존재하는 이슬람과 지금 우리에게 주는 느낌 그대로의 정치적 종교 이미지 뿐이다. 교리와는 너무나 다른 행동들이 모두 인정되는 그 종교가 나의 삶과는 너무나 멀리 있어서 별 관심도 없고, 우리와는 아주 먼, 다른 세계의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의 몫> 속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삶을 읽다 보니 정말 너무나 먼 세계의 이야기이다. 그런 문화 속에서 어떻게 여성들이 자신의 삶을 일궈나가는지 상상이 가지 않는다.

우리 아이들처럼 밝고 똑똑하고 자신의 미래에 대해 반짝이던 한 소녀가 그저 첫사랑의 설레임을 경험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가족들에게 어떤 식으로 매도 당하고 어떻게 버림받고 강제 결혼 당할 수 있는지 그야말로 충격적으로 소설은 시작한다. 그곳에서 여자는 자신의 삶을 살도록 태어나지 못했다. 아버지와 오빠, 심지어 남동생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태어났기에 어떤 행동도 자유롭지 못하고 어떤 결정도 스스로 내릴 수가 없다. 같은 삶을 강요받는 불쌍한 딸을 보호하고 지켜주어야 할 어머니 조차 평생 비난한다. 미래를 계획하고 아름다운 삶을 내다보던 한 소녀의 절망에 얼마나 마음이 아팠는지 모른다. 그런데 그녀의 삶은 거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결혼에 관심이 없었던 남편 대신 아이들을 키워야 했고, 평생 남편의 정치적 성향 때문에 가정을 굳게 지켜야 했다.

<나의 몫>은 마수메라는 한 여성의 삶을 통해 이란의 역사와 이슬람 문화, 그 안에서의 모든 신념, 가치관 등을 보여준다. 너무나 어려운 삶 속에서도 마수메는 자신의 신념, 가치관을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그녀를 있게 한 것은 가족을 지키겠다는 일념과 어떠한 관념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과 가족의 자존감과 건강을 지키겠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평생을 자신을 위해 살지 못한 그녀의 마지막에 또한 얼마나 가슴 아팠던지.

이 한 권으로 그들 문화를 전부 이해했다고 하지 못할 것이다. 사실 이론적으로든 감정적으로든 너무나 불공평한 이 여성들의 삶 때문에 오히려 어리둥절하기만 하다. 하지만 이렇게 이란 여성들의 삶을 알게 됨으로서 관심을 갖고 그들 삶이 더욱 나아지기를 바랄 뿐이다.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어느샌가 클레어 키건 바람이 불고 있어 하나씩 읽어보는 중이다. <맡겨진 소녀>를 먼저 대여해서 읽었는데, 아주 짧지만 그 감정은 짧지 않아 책을 반납하고서도 한참 동안이나 마음 속에 들어차 있었더랬다. 이래서 좋은 책이구나... 싶었던 순간이다. 마치 눈으로 보는 듯한 묘사에 내가 그 소녀가 된 것 같은 체험을 한 것에 이어 전체적으로도 모든 것을 내려다보는 듯했다. 처음엔 영화도 보고 싶었는데 오히려 영화가 책보다 못하다는 평을 여럿 보아서 그 독서 감상을 헤치지 않으려 한다.



<이처럼 사소한 것들>은 책장에 꽂힌 채로 한참이나 들여다 보다가 (<맡겨진 소녀>보다 훨씬 더 큰 책인 것 같아서) 마음의 준비 후에 집어들었다. 소설가의 온전한 이야기가 아닌, 역사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임으로 훨씬 더 크게 와닿을 것 같아서다.



첫 문단에 어떤 의미를 두지 않고 읽어내려갔다. (그러니까 옮긴이의 설명을 듣기 전까지 알아채지 못했다.ㅠㅠ) 펄롱의 이야기를 따라 읽다가 이 짧은 책이 언제 이야기를 시작해서 어떻게 끝내려나...걱정되기 시작했는데, 잘 생각해 보니 <맡겨진 소녀> 또한 뭔가 문제를 드러내고 그것을 해결해나가는 과정 따윈 없었다. 그저 있는 그대로를 보여줄 뿐. <이처럼 사소한 것들> 또한 마찬가지다. 말도 안되는 사건(아일랜드 막달레나 세탁소 사건)을 그저 바깥의 마을 사람들과 그나마 인간적인, 자신의 양심의 소리에 귀 기울였던 펄롱을 따라가기만 한다. 그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도 나오지 않는다. 그저 한 개인의 이야기인 것처럼.



그러니까 이 소설은 ...

"문득 서로 돕지 않는다면 섦에 무슨 의미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나날은, 수십 년을, 평생을 단 한 번도 세상에 맞설 용기도 내보지 않고도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고 부르고 거울 앞에서 자기 모습을 마주할 수 있나?"...119p

에 대한 이야기다. 내가 손해 보기 싫어서, 뭔가 피해를 입을까봐 나서지 않고 그냥 지나쳐버린 일들이 얼마나 많았을지!



나이가 드니 좀 용감해진다. 내가 좀 손해 보더라도 할 말은 해야겠다는 용기에 오히려 젊을 적 소리소리 지르던 남편이 말릴 지경. 나 혼자 잘 살아봤자 뭐 하겠나~ 내 뒤를 이어 내 자식이, 손자들이 살아갈 세상인데 지금 내가 좀 손해 보더라도, 좀 잃더라도 옳지 않은 것들은 옳지 않다고 말해야 하지 않나.



소설을 읽으며 울컥거리는 건, 바로 이런 감정들 때문일 거다. 한 번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말이 진실임을 알겠다. 또 읽고, 또 읽어서 작가가 숨겨놓은 많은 것들을 찾아내고 싶다. 역시 훌륭한 작가다.

이처럼 사소한 것들

클레어 키건 지음
다산책방 펴냄

2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이처럼 사소한 것들 게시물 이미지

이처럼 사소한 것들

클레어 키건 지음
다산책방 펴냄

읽었어요
4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과학을 좋아하는 아이들은 과학책만 읽어서 문학 책을 쥐어주는 게 일인데, 그 외의 아이들은 문학 책만 좋아해서 과학 책이나 사회 책 등 비문학 책을 읽히는 게 최대 목표다. 그러니 만화책이라도 과학이나 사회 이론을 알려주는 책이라면 OK!. 그렇다고 만화책만 읽으면 또 문해력이 떨어지니까 어떻게 해서라도 비문학을 읽히려고 한다. 때문에 재미있는 비문학 책이 있다면 정말 절이라도 할 정도.



아니, 그런데 그런 책이 뙇!!! 있는 게 아닌가~! <과자 사면 과학 드립니다>라는 제목만 봐도 너무 재미있을 것 같고, 표지도 귀여운, 우리가 익히 알고 자주 먹는 과자들로 도배되어 막~ 흥미가 당긴다는 점! 거기다 먹는 것에 환장하는(이런 표현 좀 그렇지만~ㅋㅋ) 아이라면 신나서 읽지 않겠나~~~하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다. 그렇게 조용~히 거실에 깔아두니 역시나~ "엇, 이거 뭐야! 오늘은 이거!" 하고 잠자리 책으로 들고 간다. 오호~ 성공이로세~^^



책을 살펴보자면 아이들이 좋아하는 과자에서부터 라면과 간식 코너, 음료와 아이스크림, 유제품과 냉장식품 등 편의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간식이 잔~뜩 들어있다. 그러니까 이 책은, 우리가 자주 보는 제품들을 먹고 마시며 조금쯤은 궁금했을 법한 과학 이론과 개념에 대해 아주 속시원히 설명해 주는 책이다.



왜 과자 봉지 안에는 질소가 들어있는지처럼 익히 알고있는 사실부터 아이셔 캐러멜 속 신맛의 정체나 불*볶음면처럼 매운 것을 먹을 때 물을 마시면 도움이 되는지 등등 다양한 궁금거리들을 과학 이론을 들어 차분히 설명해 준다. 어쩌면 한 번씩은 궁금했지만 찾아볼 생각도 못하고 이해하지 못할 거라며 그냥 넘겼을 궁금증과 호기심을 이 한 권의 책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재미있는 책이 있다면 당연히 아이들이 그 호기심을 채우며 다음 단계로 이어지지 않을까?

과자 사면 과학 드립니다

정윤선 지음
풀빛 펴냄

6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