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팔로우
책 읽어주는 남자의 표지 이미지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시공사 펴냄

읽었어요
'나'와 한나가 어떻게 화해할 수 있을까에 초첨을 두고 읽었는데 끝끝내 한나가 죽은 뒤에야 그녀를 그리워하고 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결말이 너무나 슬펐다. 한나는 줄곧 그에게서 편지를 받기를 고대하고 있었다. 너무 늦지 않았을 때 답장을 써 주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이 소설을 나이 차가 많은 남녀의 연애소설로 읽어도 좋지만, 부모와 자식의 세대 갈등에 관한 소설이라고 읽어도 좋다. <1부>에서 한나가 미하엘을 씻겨 주고 같이 자는 모습이나, 둘이 갈등이 있었을 때 일방적으로 미하엘이 한나에게 사과하고 한나가 용서하는 모습은 어린아이와 어머니의 관계와 같다. 미성숙할 때의 어린 자식은 양육자를 떠나 살 수 없다. <2부>에서 미하엘이 한나와 거리를 둔 채 과거를 객관적으로 보며 죄를 묻는 장면은 사춘기 시절의 자녀와 양육자와 같다. 양육자는 무기력하게 지금까지 살아왔던 삶의 태도를 자녀에게 재단당한다. <3부>에서는 양육자가 자녀로부터 이해받기를 고대하지만 자녀들은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에야 그리워하고, 잘못한 것을 뉘우치고, 뜻을 받든다.

부모-자녀에서 나아가 이전 세대와 현 세대 집단의 갈등으로 보아도 좋다. 집단의 갈등은 사회의 불안을 야기하고, 개개인에게 스트레스가 되는데 이 작품은 두 집단이 서로를 알려고 노력하는 데서 해결방안을 찾는다. 한나가 글을 알고 책을 읽었듯이, 미하엘이 늦게나마 생각하고 생각해서 이야기를 되돌아오게 한 것처럼. 그러나 앞에서 말했듯이 한나가 죽고 난 뒤에야 그리움에서 이해가 시작된다는 점은 비극이 아닐 수 없다.

너무 늦기 전에 타인을(혹은 타집단을) 이해하고 관계를 개선할 수 있을까. 그건 우리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다. 우리가 다 이해할 수는 없어도, 가까이 다가가려는 노력만으로도 남은 인생을 충만하게 살 수 있으리라.

"오고 싶거든 언제든지 오너라."
- 180쪽, 아버지가 '나'에게

https://m.blog.naver.com/snoopy701/223763968835
0

새벽빛님의 다른 게시물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게시물 이미지
  • 새벽빛님의  게시물 이미지
  • 새벽빛님의  게시물 이미지
  • 새벽빛님의  게시물 이미지
  • 새벽빛님의  게시물 이미지
📚 "이상한 꿈을 꾸었어요.
무서워서 계속 눈을 감고 있었어요.
그때, 어른들이 돌아오는 소리가 들렸어요.
사람들에게 꿈 이야기를 해 줘야겠어요.
이상하고 무서운 이빨 사냥꾼 이야기를……"

☕️ 힘 있는 필력의 글책도 배울 것이 많아 좋지만, 그림책은 익숙했던 것을 새로이 느끼게 해서 좋습니다. ㅣ
아이와 어른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책이어서 더 좋기도 합니다.



그림책을 보는 어른들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6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은희경 소설을 여태 왜 안 읽었지? 이렇게 재밌는데.

1996년 펴낸 단편소설집. 주로 30대 초반의 여성들이 화자로 등장하여 사랑과 인생에 관한 여러 면면을 때로 쓸쓸하게 때로 비틀어서 보여준다.

책이 나오고 30년이 흘렀으나 여전히 우리 시대의 이야기 같다. 물론 달라진 점도 많지만(정말 이랬다고? 기가 막히군.) 근본적인 질문은 시대를 관통하는 것 같다.

📚 어느 날 그녀는 깨달았었다. 그와 그녀. 그들처럼 사랑하면서 더이상 서로에 대해 알 것이 없는 사람들은 누구나 결혼해 있다는 것을. 사랑은 서로 마주 보는 것이 아니라 함께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 말은 그녀가 중학교 때나 좋아했던 어떤 프랑스 소설가의 말이었다. 그러나 그 말이 서로를 애증에 차서 노려보게 될 즈음이면 이제 슬슬 아이를 낳고 집을 장만하는 일상의 길로 함께 접어드는 것이, 언젠가는 끝나기 마련인 사랑이 종말로 향해가는 가장 바람직한 수순이라는 뜻인 줄은 몰랐었다.
-p.57, <그녀의 세 번째 남자>

📚 '사랑이 식었다고 생각했었지.'
그녀는 가볍게 웃었다.
'그것이 사랑의 본색일 뿐인데.'
-p.71, <그녀의 세 번째 남자>

📚 여자는 눈물을 닦으며 이렇게 중얼거린다. 사랑이 진정한 것이냐 아니냐는 그것이 시험대에 올라가지 않았을 때까지뿐이야. 시험대에서 분석하면 모든 사랑은 다 가짜로 밝혀지니까. (...) 자기 자신도 익히 알고 있듯이 남자는 여자보다 훨씬 지적인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그는 헤어짐에 대한 분석은 하지 않았다. 오직 여자가 그리울 뿐이었다. (...) 여자의 분석과 남자의 감상. 누구 쪽이 더 운이 좋으며 또 누구 쪽의 생각이 진실에 가까운 것일까. 그것은 판단할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하려니와 알 필요도 없다. 당신은 그것을 안다고 해서 자기의 삶이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p. 105, <특별하고도 위대한 연인>

☕️ 사랑은 정말로 그렇게나 덧없는 것일까? 겪어 보니 뜨겁게 타오르는 사랑은 잠시. 그렇다고 그게 사랑이 아닌 건 아니었다. 군불처럼 은근하고 오래 가는 사랑 역시 진정한 사랑이 아닌 건 아니었다. 어차피 혼자는 살 수 없는 세상, 서로 의지하고 챙겨 주면 그게 다 사랑인 것을.

📚 6월 17일
나는 독신이다. 직장에 다니는데 아침 여섯 시부터 밤 열 시 정도까지 근무한다. 나머지 시간은 자유이다. 이 시간에 난 읽고 쓰고 음악 듣고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다. 외출은 안 되지만.(...) 나의 직장일이란 아이 둘을 돌보고 한 집안의 살림을 꾸려가는 일이다. 아빠 없는 어린애는 생겨날 수 없으므로 그 아이들은 물론 아빠가 있다. 하지만 사정이 있어 아빠와는 같이 살지 못하는 아이들이다. 나는 그 아이들을 사랑한다.
-p.165, <빈처>

☕️ 남편의 무심함에 차라리 자신은 독신이며, 이 가정으로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이라고 생각하기로 했다는 아내의 자조가 웃프다. <빈처>의 아이들은 아마도 1990년 초반에 출생했을 것이고 지금쯤 30대 중반이 되었겠다. 그들은 그들의 어린 시절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 그들은 지금 어떤 어른이 되어 있을까. 작중 아내는 60대 초중반쯤 되었겠다. 그들은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타인에게 말 걸기

은희경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내 젊은 날의 초상 같은 소설집.
글에는 위트가 넘치고 내 맘은 자꾸 아련해진다.
멀리 두고 온 내 마음 조각조각들이 작품마다 다른 모양으로 숨어 있는 것 같다.
땅속 지하를 물고기처럼 헤엄치는 열차를 따라 신화 같은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산동네, 노량진, 자취방, 재수, 학원 알바, 첫사랑, 도도한 피아노, 첫사랑, 칼자루를 쥐고 생계를 이끈 엄마, 내성적이고 난감한 아빠가 등장하는 내 어릴적 같은 이야기. 그리고 마지막 주황색 블랙박스 이야기는 사랑스런 판타지.

20대 초반, 경제적으로도 넉넉하지 않고 않고, 관계는 서툴고, 미래가 어찌 될지 몰라 불안한 젊은이들의 이야기. '자기만의 방'을 찾아가는 젊은이들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 이 모든 것이 나 혼자만의 문제가 아님을 아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된다.

지금도 앞으로도 그렇게 힘들어 할 젊은이들에게 조금만 더 버텨 보라고, 시간이 지나 힘들었던 시절의 너를 회상하면서 과거의 너를 자책하고 미워하지 말라고, 수고했다고 토닥여 주라고 전하고 싶다.

침이 고인다

김애란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읽었어요
3주 전
0

새벽빛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