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이 지랄맞음이 쌓여 축제가 되겠지
조승리 지음
달 펴냄
읽었어요
후천적 시각장애인이 살아가는 법, 삶을 바라보는 법을 기록한 에세이집이다.
엄마가 지어주셨다는 '조승리'라는 이름만 봐도 엄마의 성정이 어떠하리라 짐작할 수 있다. 그 엄마는 열다섯에 찾아온 딸의 장애를 이기고 싶어했지만 그러지 못하자 딸을 부끄러워했고 딸의 마음에 상처를 주었다.
딸의 성정도 엄마에게 지지 않을만큼 강했다. 모든 치료가 효과없음을 받아들이고 같은 날 죽자는 엄마에게 "난 창창히 더 살 거거든? 어디 물귀신처럼 물고 늘어지려고 해! 난 엄마 없이도 잘 살 거거든!" 꽥 소리질렀고 말 그대로 굉장히 잘 살고 있다.
패기 있고 확신에 찬 문장들에서 이 사람이 이 지랄맞은 현실을 어떻게 마주하는가가 잘 느껴진다. 나는 이들을 어떤 태도로 마주해야 좋을지도 생각하게 된다.
📚 "수미씨는 장애인 자식 없어 봤잖아요. 그래본 적 없으면서 희생하지 않는다고 헐뜯을 자격 있어요? (...) 모든 사람이 부모를 존경하진 않아요. 또 존경할 만한 부모 밑에서 태어날 수도 없고요. 세상에 수미씨 부모님 같은 분만 있다고 생각하지 말아요. 편협한 사고예요."
(...) 나는 정오의 태양이 싫었다. 태양이 가장 높을 때 그림자는 가장 초라하게 쪼그라들기 때문이다. 어느 날 수미씨가 내게 언제 가장 행복한지를 물은 적이 있다. 나는 불행을 잊고 있을 때 행복하다고 대답했다. 수미씨는 장애가 불행의 원인이라 생각하느냐 물었다. 나는 눈이 먼 게 불행한 게 아니라 이 상태로 계속 살아야 하는 게 진짜 불행이라고 말했다. (...) 내 기준으로 팬데믹은 진짜 불행이 아니다. 그것에는 끝이 있기 때문이다.
어느 층에서 결국 싸움이 났다. 참다못한 아래층 사람이 뛰어올라온 모양이었다. 겨우 몇 달 마음대로 돌아다니지 못한다고 답답해 미치겠다는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었다. 누군가는 평생을 그리 살기도 한다고. 방구석에서 자유를 상상하며 자기 위안에 빠져 평생을 사는 이들이 있다고. (159쪽, <정지된 도시> 중에서)
📚 나는 그동안 실패가 두려워 장애를 핑계 삼아 하고 싶은 일들을 포기해 왔다. 잃어버린 것만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의 나는 다르다. 다르게 살려고 노력한다.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일들로 만들기 위해,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기 위해 용기를 낸다. 탱고 수업은 내게 첫 도전의 시작이었고 내 가슴에 열정을 심어 주었다. (203쪽, <탱고를 추는 시간> 중에서)
0
새벽빛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