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 팔로우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의 표지 이미지

천개의 고원

질 들뢰즈 외 1명 지음
새물결 펴냄

읽고있어요
바둑은 공간을 영토화하고 탈영토화하는 것이다.
장기 = 코드화, 탈코드화
바둑 = 영토화, 탈영토화
대충 감이 온다…..
하아,,, 어렵다…
0

god님의 다른 게시물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맙소사!!!

무슨 소린지도 모른 채 글씨만 읽어 내려갈 땐 마치 초등학생이 되어 양자역학 논문을 읽는 기분이었는데, 이 책을 끝까지 읽다니…

어떻게든 들뢰즈의 심오한 철학을 이해하고 싶은 마음이 컸기에 버틴 듯싶다.

리좀, 기관없는 몸, 욕망, 생성, 내용과 표현, 기호, 탈영토화, 재영토화, 도주선, 코드화, 덧코드화, 홈 패인 공간, 매끈한 공간, 정주민, 유목민, -되기, 리코르넬라…

이처럼 낯선 개념들이 끊임없이 튀어나와 나를 고통스럽게 했지만 그저 묵묵히 시작도 끝도 없는 ‘천개의 고원’을 향해 한 발짝, 한 발짝 나아갔다.

만약 동영상 강의가 없었더라면 절대로 해내지 못 했을 것이다.

유튜브에서 찾아낸 훌륭한 교수님들의 강의는 이 책을 읽어 나가는데 있어 이루 말 할 수 없이 소중한 길잡이가 되어 주었다.

그렇담 내가 들뢰즈의 철학을 온전히 이해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결코 그렇지 않다.

단지 ‘세상을 이런식으로도 바라볼 수 있구나!’ 하는 정도로 겨우 냄새만 맡은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책을 읽을 때 불현듯 이 책에서 배운 내용이 떠올라 해당 문장에 밑줄을 긋고 ‘탈영토화’, ‘재영토화’라고 끄적일 정도의 개념은 생겼다.

그러고 보면 책 읽는 시간이 무척 지루하고 고달팠지만, 세상을 바라보는 눈 하나를 더 얻게 된 데에는 결코 비할 바가 아닌 것 같다.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위계에 따라 구분지으며, 닮은 것 끼리 묶고 비교하는 수목형 눈만 가지고 있던 내게 세상은 절대 그렇지 않다고 알려준 들뢰즈와 가타리, 그리고 이를 알기 쉽게 설명해주신 여러 교수님들께 한 없는 고마움을 느낀다.

읽는 도중 포기했던 들뢰즈, 가타리의 전작 ‘앙티 오이디푸스‘를 조만간 재도전해 볼 생각이다.

천개의 고원

질 들뢰즈 외 1명 지음
새물결 펴냄

1주 전
0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 god님의 천개의 고원 게시물 이미지

천개의 고원

질 들뢰즈 외 1명 지음
새물결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이 책의 저자는 현재까지 파악된 우주에 대한 객관적 사실에서 한 걸음 더 들어가 다중우주의 존재를 주장한다.

별점을 꽉 채워 줄 정도로 내용이 재미있긴 하지만 수학적 재능이 꽝이다 시피한 내가 이 책을 온전히 이해하기란 불가능한 일이었다.

아무튼 이 책의 저자는 수학이 우주의 실체라고 말하며, 나도 이 말에 어느 정도 동의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지동설을 주장한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 거시 세계의 물리법칙을 간단한 수학공식으로 증명한 뉴턴, 시공간의 개념을 재정립한 아인슈타인, 미시세계의 기묘한 특성을 주장한 닐스 보어 등 수많은 천재들이 발견한 자연법칙도 처음엔 사회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지만, 결국엔 그들이 세운 수학공식 모두 자연과 일치하는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완벽한 이론으로 구축된 수학공식은 자연을 정확히 묘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수학공식에 딱 들어맞는 다중우주도 존재하지 않을까?

저자의 논리는 이런식으로 확장되어 서서히 독자를 다중우주의 세계로 끌어들인다.

이 책엔 총 4레벨의 다중우주가 나온다.

내가 이해한 바를 최대한 간략히 요약하면 이렇다.(*틀릴 수 있음)

1레벨 다중우주: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의 끝 너머에서 펼쳐지는 우주를 가리키며, 물리적 성질은 우리와 동일하다.

2레벨 다중우주: 맥주병을 땄을 때 펑 하는 소리와 함께 기포가 솟아오르 듯 빅뱅과 동시에 거품처럼 생겨나는 온갖 우주를 가리킨다. 어느 거품에 속하는 지에 따라 물리적 성질은 우리 우주와 다를 수 있다.

3레벨 다중우주: 양자역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우주로 특정 시점에 두 갈래로 분기되는 우주를 말한다. 예를 들어 중국집에서 짜장면을 먹을 지, 짬뽕을 먹을 지 고민하다 짜장면을 시켰다면, 분기된 우주에선 짬뽕을 시킨 내가 또 다른 일상을 살아가는 식이다. (영화에 자주 등장)

4레벨 다중우주: 수학공식으로 증명가능한 모든 우주.

이처럼 수학으로 설명되는 우주는 다양하지만 실재 어떤 우주가 존재할는 지는 그 누구도 모른다.

그렇다고 상식에 위배되는 이론을 내놓거나 그 이론으로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는 것이 과연 나쁘다고 볼 수 있을까?

대부분 그렇지 않다고 말 할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과학계, 문화예술계, 교육계, 법조계, 체육계 등등 이미 기득권으로 점철된 집단 내에서 홀로 다른 목소리를 낸다는 것은 모든 불이익을 감수하겠다는 선언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책에도 나오지만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은 붕괴하지 않으며 다른 우주가 있을 수 있다는 논문을 최초로 낸 휴 에버렛의 삶도 그랬다.

죽기전까지 지구가 태양주위를 돈 다는 사실을 숨긴 코페르니쿠스나 살아있었기 때문에 가택연금을 당한 갈릴레이 외에 이와 비슷한 이유로 연기처럼 사라져간 영웅들은 수 없이 많았을 것이다.

이 책의 저자 맥스 테그마크는 이와 같은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고, 덕분에 내가 이 책을 읽을 수 있게 됐다.

웃어야 할 지, 울어야 할 지…

아무튼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돈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 세상에서 가려진 진실을 슬쩍 엿 본 기분이다.

유니버스

맥스 테그마크 지음
동아시아 펴냄

2주 전
0

god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