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사라진 것들의 표지 이미지

사라진 것들

앤드루 포터 지음
문학동네 펴냄

입소문이 난 책은 다 이유가 있다. 감상과 평가는 각자의 몫이긴 하지만 그만큼 보편적으로 인정을 받았기에 소문이 난 것일 테니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모든 베스트셀러를 따라 읽는 것은 지양하는 편이지만 그래도 좀 알려진 책들을 따라 읽는 건 확실히 효과가 있다. 뒷북치는 듯한 느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어도.



앤드루 포터의 <사라진 것들>은 순전히 입소문으로 알게 된 책이고 조금 시간이 지나도 좋다는 사람들이 많아 따라 산 책이다. 작가의 이전 책,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도 익히 들어왔지만 기회가 잘 닿지 않았는데 <사라진 것들>은 스르륵 내 품에 들어왔으니, 읽어야지.(이렇게 책과 연이 닿는 게 느껴질 때마다 참 신기하다)



유명세 말고는 아무 배경지식 없이 읽기 시작한 터라, 한 챕터를 놀람 속에 읽고 나선 두 번째 챕터에 들어갈 땐 미세하게 분위기가 바뀌어 살짝 놀랐는데, 알고 보니 단편집이다. 그러니까 보통의 단편집과는 또 다르다. 주인공들의 공통점은 모두 40대의 남성이라는 점. 무언가 이루어 놓아 안정세에 접어들었을 것 같은 나이지만 책 속의 주인공들은 얻은 것과 동시에 잃은 것을 생각하며 안정과 동시에 불안하다. 그들의 상황은 모두 다르지만 그들이 느끼는 감정은 비슷하다. 젊은 시절에 누리던 것을 추억하며 그리워하거나 현재의 불안감을 민감하게 캐치하고 어쩔 줄을 모른다. 그건 가정을 얻거나 말았거나 아이가 있거나 말았거나 모두 마찬가지다. 앤드루 포터는 이런 주인공들의 심리를 그저 보여준다. 해결책 따윈 없다. 그래서 읽다 보면 왠지 아련하고 가슴이 저릿하다.



어릴 땐 30대가 넘으면 그저 안정적으로 미래만 바라보며 살 줄 알았다. 살아보니 그렇지 않다. 아이들은 내 발목을 잡는 것 같고, 돈은 끝도 없이 들어가고 미래는 불안정하고... 남자들이 느끼는 감정은 또 조금 다를 것이다. 앤드루 포터는 그 심리를 참 잘 잡아내는 것 같다. 이전 작품이 더 좋다는 평이 많아서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도 꼭 읽어봐야겠다.



좋은 책들이 많아서.... 정말 큰일이다. 이제 곧 노안이 올 텐데.... 그럼 책 읽고 싶어도 마음껏 못 읽을 텐데... 나이를 먹는다는 건 좀 슬프다.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게시물 이미지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4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게시물 이미지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장폴 뒤부아 지음
밝은세상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파트리크 쥐스킨트라는 작가가 각인된 건, <향수>를 통해서다. 너무나 강렬한 미스터리 소재에 마치 영화를 보는 듯한 묘사가 무척 마음을 끌었다. 그런데 작가가 더 좋아진 건, <좀머씨 이야기> 덕분이었다. <향수>와는 완전히 다른 소설이고 잔잔한 듯, 묵직한 소설이 왠지 마음에 오래 남았다. 이렇게나 다른 작품을 쓰는 작가라니 정말 궁금하다~ 생각했는데 파트리크 쥐스킨트는 어떤 상을 준다고 해도 공식 석상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 신비함을 더해주는 작가.



최근에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두 작품을 더 읽었다. 작가의 첫 번째 소설인 <콘트라베이스>와 세 번째 소설인 <비둘기>다. 이렇게 네 작품을 놓고 보니 <향수>만 좀 동떨어진 느낌이다. <향수>는 영화화되었을 만큼 대중적인 소설인 반면, 다른 세 작품은 매니아가 아니라면 읽기가 쉽지 않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비둘기>는 느낌 상 <콘트라베이스>와 <좀머씨 이야기>의 중간 정도로 느껴진다.



<비둘기> 속 조나단 노엘은 오랜 기간 아무 걱정이나 큰 사건 없이 조용히 지내왔다. 유년기와 청년기에 너무나 큰 일을 겪었던 조나단에게 이 시간은 더없이 행복한 하루하루였다. 그러던 어느 날, 여느 날과 다름 없이 생활하려던 그때, 자신의 한 칸 방 방문 앞에 비둘기가 가로막고 있는 것을 발견하다. 그는 이 비둘기를 본 후 패닉에 빠진다.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고,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그는 자리에서 일어난 후 느껴지는 요의와 저 방문 앞 비둘기를 뚫고 과연 무사히 출근을 하고, 다시 이 안전한 방으로 귀가할 수 있을까.



조나단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서술은 마치 <콘트라베이스> 속 주인공의 혼잣말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조나단의 행동과 그 원인을 파헤쳐보면 마치 <좀머씨 이야기> 속 좀머씨와 비슷하다. 조나단은 유년기에 겪은 2차 세계 대전을 다 극복하지 못하고(누구라도 하루 아침에 부모가 사라지는 일을 겪는다면 그럴 것이다) 짜여진 일상 속 쳇바퀴같은 삶을 지향한다. 그 일상 속 "비둘기"는 그에게 침입자와 같을 것이고 오히려 이 비둘기를 비롯한 일련의 사건들(하나의 사건은 또다른 하나를 불러내고 이어 연속되는)로 패닉 상태가 지속되는 듯하지만 책의 처음, 어린 시절 아무 걱정없이 비 오는 날 물장구치며 걸었던 그 순간을 떠올리듯 철벅거리며 거리를 걷는 동안(좀머씨의 방황과 비슷하지 않은가! ) 조금씩 자신을 되찾아간다.



나와는 너무나 다른 그 누구라도 그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묘사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이제 <향수>도 한 집합으로 묶어낼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가진 트라우마를 왜 다른 사람들에게 털어놓지 못하는가에 대한 질문이 읽는 내내 궁금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조나단이라면 그랬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인간 내면 세계를 심도 깊게 묘사한 쥐스킨트의 역작"이라는 설명이 아깝지 않은 소설이다.

비둘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열린책들 펴냄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