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설을 읽는 내내 마음이 불편하고 복잡했다. 헤스터가 받는 사회적 낙인, 그녀를 둘러싼 위선적인 시선, 그리고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모습에서 묘한 경외감마저 느껴졌다.
특히 인상 깊었던 건 'A'라는 글자가 상징하는 의미의 변화였다. 처음에는 수치심의 상징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오히려 그녀의 강인함과 존엄을 상징하게 되는 과정이 깊은 울림을 줬다. 인간은 낙인을 통해 규정지을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는 걸, 작가는 조용히 그러나 단호하게 말하고 있었다.
읽고 나니 생각이 많아진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얼마나 많은 '보이지 않는 A'를 서로에게 붙이고 있는 걸까?
읽었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