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팔로우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의 표지 이미지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고있어요
작가는 우크라이나에서 1948년에 태어나 벨라루스에서 활동한 저널리스트이다. 아마도 초년과 청년 시절을 냉전의 한복판에서 보냈을 것이다. 어른들은 러시아 혁명을 찬양하고 수많은 전쟁의 이야기를 신화처럼 전했다.

전쟁을 아픔의 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우리는 어쩌면 축복받은 세대일지도 모르겠다.
오늘은 현충일. 전쟁터에서 목숨을 잃고 불구가 된 수많은 사람들을 추모하는 날. 지금의 평화를 있게 해 준 분들께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날.
전쟁이 휩쓸고 간 자리에 승자와 패자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문득 떠오른다.

전쟁 이야기는 여기서 멈추고 평화를 이야기하고 싶다. 그전에 전장 한복판에 뛰어든 여성들의 목소리를 들어보자.
0

새벽빛님의 다른 게시물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일러스트 자기 앞의 생 게시물 이미지

일러스트 자기 앞의 생

에밀 아자르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4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일러스트 자기 앞의 생 게시물 이미지
여기 또 다른 '모모'가 있다.
원래 이름은 '모하메드'. 당시 프랑스에서 '모하메드'는 아랍 남자의 이름이기도 하면서 '청소부', '막일꾼'이란 뜻의 보통명사이기도 했다.

모모는 몸을 파는 여자의 아들로, 몸을 파는 다른 여자에게 맡겨져 자랐다.

📚 "모모야, 넌 착하고 예쁜 아이다. 그게 탈이야. 조심해야 해. 내게 약속해라. 넌 절대로 엉덩이로 벌어먹고 살지 않겠다고."(176쪽)

📚 생은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285쪽)

📚 "망슈(인간)에게 해서는 안 되는 짓이 있는 거란다." (...) 지금 생각해보면 그녀는 무척 아름다웠던 것 같다. 아름답다는 것은 우리가 누구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달려 있는 것이다. (305쪽)

📚 사랑해야 한다.(343쪽)

☕️ 배경은 1950년대 파리 몽마르뜨 언덕 주변 뒷골목. 당시 파리는 매우 화려했고 예술가들로 붐볐다. 그러나 화려함 뒤에 비극이 있는 법. 그 비극의 거리에서 인간성을 지키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그 중 유대인 로자 아줌마와 아랍인 모모는 너무나 매력적인 인물들이다. 마지막 장면이 먹먹하다.

일러스트 자기 앞의 생

에밀 아자르 지음
문학동네 펴냄

4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모모 게시물 이미지
  • 새벽빛님의 모모 게시물 이미지
📚 시간은 삶이며, 삶은 가슴 속에 깃들여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시간을 아끼면 아낄 수록 가진 것이 점점 줄어들었다.(98쪽)

📚 "빛을 보기 위해 눈이 있고 소리를 듣기 위해 귀가 있듯이, 너희들은 시간을 느끼기 위해 가슴을 갖고 있단다. 가슴으로 느끼지 않은 시간은 모두 없어져 버리지. 장님에게 무지개의 고운 빛깔이 보이지 않고 귀머거리에게 아름다운 새의 노랫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과 같지. 허나 슬프게도 이세상에는 쿵쿵 뛰고 있는데도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는, 눈 멀고 귀 먹은 가슴들이 수두룩하단다."(217쪽)

📚 "길은 내 안에 있어."(314쪽)

📚 "느리게 갈수록 더 빠른 거야.(317쪽)

📚 베포는 별안간 더는 마음이 급하지 않게 되었다. 어째서 불쑥 위안을 느끼게 되고 희망으로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스스로도 모를 일이었다.(358쪽)

📚 이제 중요한 것은 가능한 한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한 한 많은 일을 하는 것이 아니었다. 저마다 무슨 일을 하든 자기가 필요한 만큼, 자기가 원하는 만큼의 시간을 낼 수 있었다. 시간이 다시 풍부해진 것이다.(360쪽)

모모

미하엘 엔데 지음
비룡소 펴냄

읽었어요
5일 전
0

새벽빛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