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리뷰, #당신이모르는진짜농업경제이야기, #2024,
#이주량, #세이지
농업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본 경제 이야기
1. 식량이 산업이 되기 까지
트랙터의 등장, 비료의 등장 , 유전학 등장 (종자개량)
위에 나열한 것들로 인해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 졌고, 이는 바꿔 말해 노동력에 여유가 생겼다는 뜻 이며, 다른 산업발전(제조업, 서비스업) 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2. 세계 곡물의 80%는 ABCD 기업으로 대표되는 4개 기업이 독점 하고 있다.
A 아처 대니얼 미들랜드, 미국
B 벙기, 미국
C 카길, 미국
D 루이 드레이퓌스, 유럽
이들 기업은 오늘날 생산부터 유통 전과정을 담당하고 있다
신흥 기업 4곳 정도가 다크호스로 등장
(노블, 올램, 윌마, 글렌코어)
3. 세계 최강 농업국은 단연 미국
동부 지역 농업은 유럽 정착민의 전통 농업 기술
옥수수, 밀, 담배 등 자급 농업 중심으로 발달
남부 지역 농업은 면화 중심 , 노예제도 선호
서부개척 시대를 거치며 농지 확장
세계대전 이후 '마샬플랜' 이라는 유럽 재건, 원조 계획에는 농업 부분도 한 몫을 차지 한다
그에 반해 빈곤한 아프리카
정치적 부패, 종족갈등, 내전 등이 경제 발전을 막았다.
식민지 시대 유럽 농업정책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대륙을 위한 상업 작물 생산기지 역할)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식량 부족을 안보 문제로 바라보는 시선들이 생겨났다.
4. 현대 농업은 연구전쟁, 종자부터 GMO , 농약, 유기농 까지
동물과 식물, 가축과 작물을 가르는 경계는 품종개량 여부
야생종 상태로 진화 하고 있으면 동물과, 식물
그외 대량생산 형태로 진화 하고 있다면 가축과 작물
5. 유기농은 정말 좋은걸까?
유기농 식품은 농약 잔여물과 항생제 내성균 문제는 안전하지만, 식품 매개 질병, 중금속 오염 등에서는 일관된 우위를 보이지 않는다.
당신이 모르는 진짜 농업 경제 이야기
이주량 지음
세이지(世利知) 펴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