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우리는 살면서 '우리'가 먼저라고 배우고, 늘 다른 사람들을 먼저 생각하는 데 익숙하다.
그런데 이 책은 그런 생각에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진짜 '우리'가 되려면, 무엇보다 '나'라는 사람이 먼저 튼튼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나를 잘 알고 아낄 줄 알아야, 그 단단한 '나'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과도 건강한 관계를 만들고 진정한 '우리'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예전엔 '우리' 안에 내가 사라지기도 했지만, 지금은 '나'의 존재가 더 중요해진 시대이다.
특히 인공지능까지 함께하는 세상에서는, 오히려 AI를 통해 '나' 자신을, 또 '사람'이라는 존재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
세상은 정말 빠르게 변한다.
하루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것들이 쏟아져 나온다.
이런 빠른 세상 속에서 흔들리지 않으려면, 내면을 잘 들여다보고 '나'라는 사람을 확실히 아는 게 중요하다.
과거의 경험도 소중하지만, 지금은 그보다 지혜롭게 상황을 보고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힘이 더 필요하다.
그래야 급변하는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내 마음의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지혜롭게 살아가면, 나이가 들어갈수록 생기는 조급함이나 소외감 같은 감정들도 훨씬 덜해질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는 흔히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하면 돈을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이 책은 이제 그런 물질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돈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나의 생각'과 '내가 얼마나 소중한지', 그리고 '내가 어떤 존재인지' 아는 것이다.
진짜 '가치'는 내 안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진정한 공존은 서로가 같은 존재임을 인지하고 감싸 안을 때 가능하다.
내가 '나'답게 잘 살아갈 때, 비로소 우리 사회는 더욱 안전하고, 평화롭고, 다채로워질 수 있다.
0
강혜리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