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결국 다 좋아서 하는 거잖아요
김승복 지음
달 펴냄
새로운 것을 하려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걱정이 아니라 응원이다. 책임감 없는 낙관주의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진심으로 함께하겠다는 응원. 적어도 나만은 걱정보다는 응원을 보내주겠다. 열기를 더해 어느 아름다운 세계가 끝을 모르고 커질 수 있도록. (p.213)
누군가는 들어가는 노력과 품에 비해 수익성이 낮지 않냐고, 책을 판매하는 서점의 역할에만 집중하는 것이 낫지 않겠냐고 말하지만 10년째 이어지는 이 구조의 의도는 따로 있다. 당장 돈을 못 벌어도 유지되는 시스템을 만든다는 것. 즐거운 행사를 자주 열면 팬이 생기지 않겠는가.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 좋은게 널리 알려지고, 책이 팔리면 다음 책이 만들어지니까. (p.144~145)
『결국 다 좋아서 하는 거잖아요』는 솔직히 말하자면, 제목부터 완전히 마음에 들었다. 사실 십여년째 책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도, 밤 늦게까지 책을 읽는 이유도, 새벽에 잠을 줄여 필사를 하는 이유도 『결국 다 좋아서 하는 거잖아요』아니겠나. 나 뿐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엇인가를 하는 이유가 결국, 『결국 다 좋아서 하는 거잖아요』아니겠나. 그래서 이미 제목에서부터 “그럼, 당연하지!”라고 공감을 한 상태로 책을 펼쳤다.
『결국 다 좋아서 하는 거잖아요』는 책 자체가 그리 두껍지도 않지만, 문장도 내용도 무척이나 흡입력이 있어서 진짜 단숨에 읽어지는 책이다. 나 역시 앉은 자리에서 뚝딱 다 읽었다. 한국의 문화가 이미 많이 스며있지만, 그럼에도 한국의 문화를 주입시키기 어렵다는 나라 일본, 도쿄의 진보초. 세계적인 책방거리라 이탈리아, 중국 등 수많은 책방이 있었으나 한국어책방은 없던 이곳에 자리잡는 과정, 버텨내고, 스며들고, 익숙해지고, 전파하는 등의 과정들을 담고 있다.
『결국 다 좋아서 하는 거잖아요』를 읽는 내내, 무엇인가를 좋아하는 마음, 무엇인가를 유지하는 힘에 대해 생각하게 되더라. ‘잘하는 것’을 이기는 건 결국 ‘좋아하는 것’이라는 말에 또 한번 힘을 실어보기도 했고.
분명 일본에서 우리 문학을, 지금처럼 노벨문학상 등을 수상도 하기 전인 10년전부터 한국 문학을 전파하고, 뿌리내리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의 말처럼, 『결국 다 좋아서 하는 거잖아요』가 아니었더라면 가능하지 못했을 일이다. 불가능하다고 말한 것들을 하나씩 가능으로 바꾸어가며, 그가 이룬 것은 단순히 자신만의 성공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로 인해 k문학 자체가 힘을 내고, 힘을 얻었을 것이다.
문득- 내가 책을 사랑하는 행위도, 책에 대해 이렇게 늘 기록을 남기는 행위도, 책에게 코딱지만큼은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며 더 뿌듯해지고, 책이 더 좋아지는 마음이 든다. 또, 새로운 일을 하려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응원이라는 말을 마음에 담아두고, 늘 응원하는 사람이 되어보아야지. 『결국 다 좋아서 하는 거잖아요』는 내게, 그렇게 응원과 원동력을 선사해주었다.
1
책읽는엄마곰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