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금희의 소설 속 등장인물들의 대화들은 팔딱팔딱 살아 있다. 실제 현실에서 주고받는 대사처럼 실감나기도 하면서도 중요한 메세지 역시 대사에 담겨 있을 때가 많다.
지금까지 읽은 김금희 작가의 책들이 다 좋았지만, 이 책은 특히 키득거리는 순간이 많았다. 어쩌면 라디오 드라마 같은 '듣는 소설'이라는 새로운 장르에 안성맞춤일지도 모르겠다.
📚 손열매> 방금 뭐예요? 정전기 같은 건가?
어저귀> 굳이 설명한다면 친교적 조력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살아있는 것들이 살아있는 것들을 돕고 싶어하는 마음. (157쪽)
📚 할머니> 그렇게 심각할 필요 없어. 인생은 독고다이, 혼자 심으로 가는 거야. 닭알도 있잖여? 지가 깨서 나오면 병아리, 남이 깨서 나오면 후라이라고 했어. (185쪽)
📚 할아버지> 사랑? 이, 사랑은 잃는 게 아니여. 내가 내 맘속에 지어놓은 걸 어떻게 잃어?
손열매> 눈앞에서 사라졌는디 그기 잃은 게 아니면 뭐여, 인자 찾을 수도 없은께 괜히 위로하지 말어.
할아버지> 위로고 아래로고 간 빼먹으려는 자라가 그리 용을 써 봤자 못 가져가는 게 토 선생 간이고 마음인 겨. (212쪽)
손열매> 암만 찾아도 읎는디 영영 이별이지 우째 아니여. 그런 갸갈 안 나는 말은 하지도 말어.
할아버지> 얼라리요? 개갈 안 나는 말이 뭐여. 개갈이 나는 말이지. (212쪽)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어저귀의 말처럼 서로를 도우며 끊임없는 관계를 이어 나가다가 결정적 순간에는 할머니 말씀처럼 혼자 힘으로 밀고 나가 깨뜨려야 한다. 열매는 목소리가 안 나와서 좌절했지만 어떻게든 배역을 따내야 한다. 고수미는 경제적으로 폭망했지만 어떻게든 빚을 갚고 새출발을 해야 한다. 옆에서 앞에서 뒤에서 많은 이들이 그 과정들을 돕지만 결국 깨쳐나가는 건 오롯이 본인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