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47개의 경계로 본 세계사
                            존 엘리지 지음
21세기북스 펴냄
                         
                        
                                                            
                                                                                 읽었어요
                                            읽었어요
                                                                             
                                                     
                     
                 
                        
                #47개의경계로본세계사
#존엘리지
#21세기북스
47개의 경계로 본 세계사 : 국경, 욕망의 지도 위에 새겨진 인류의 역사
우리가 매일 보는 세계 지도 위에 그어진 수많은 선들, 이 얇은 선들이 단순한 지리적 구분을 넘어 인류 역사의 깊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이 책은 바로 이 '국경'이라는 흥미로운 소재로 인류의 권력, 전쟁, 정체성, 그리고 분열의 서사를 파헤칩니다.
국경: 단순한 선이 아닌 살아있는 역사
책은 국경이 결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개념'임을 강조합니다. 저자는 국경이 인간의 탐욕과 욕망만큼이나 본질적인 개념이며, 지도 위의 선 하나가 수천 년에 걸친 인류의 노력을 반영한다고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책은 고대 이집트의 나일강을 따라 형성된 초기 문명들의 경계선부터, 근대 제국주의 시대 열강들이 아프리카 대륙을 분할하기 위해 자의적으로 그었던 직선 국경, 그리고 현대에 이르러 사이버 공간이나 우주 공간에서 새롭게 논의되는 경계의 개념까지 폭넓게 다룹니다. 각 국경의 탄생 배경에는 종교적 신념, 경제적 이익, 군사적 전략, 민족주의적 열망 등 복잡한 요인들이 얽혀 있음을 보여주며, 독자들에게 국경 너머의 숨겨진 이야기를 탐구하게 합니다.
국경으로 읽는 세계사의 지평
저자는 각 국경 사례를 통해 과거의 사건들이 현재의 지정학적 상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의 식민지 국경선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지역 분쟁의 원인이 되거나, 강대국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그어진 국경이 해당 지역의 경제적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사례들을 통해 우리는 국경이 단순한 지도가 아니라 살아 숨 쉬는 역사 그 자체임을 깨닫게 됩니다. 이 책은 역사, 지리학, 정치학을 아루르는 융합적 관점을 제공하며, 독자들이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책에 언급된 주요 국경 사례들
고대 국경 : 고대 이집트의 최초 국경선
대륙 경계 : 아시아와의 구분을 위해 유럽이 설정한 대륙의 선
식민지 분할선 : 유럽 열강이 무책임하게 그어놓은 중동과 아프리카 분할선 (1884년 베를린 회의에서 아프리카 대륙을 나눈 사례, 1916년 영국과 프랑스가 중동을 분할한 '사이크스피코협정'등)
냉전 시대의 유산 : 냉전의 유산으로 한반도를 갈라놓은 38선과 지금도 긴장 속에 존재하는 비무장지대
현대 및 미래의 경계 : 현재에도 분쟁의 실마리가 되는 크림반도와 돈바스를 둘러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히말라야 국경을 둘러싼 인도와 중국의 충돌, 예루살렘과 가자지구를 둘러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무력 충돌 등과 미래의 새로운 경계가 될 우주의 국경, 카르만 라인을 둘러싼 논쟁, 위성 궤도 배치 경쟁, 달의 안전지대 등이 포함.
이 책은 이러한 다양한 경계선들이 전쟁과 조약, 소속과 지배, 그리고 인간의 욕망과 두려움으로부터 비롯된 서사를 유쾌하면서도 집요한 시선으로 파헤치고 있습니다.
-남기고 싶은 문장-
만약 나폴레옹이 패배하지 않았다면 만약 그의 유럽 지도 개편과 수많은 미니 국가와 공국들을 합리적인 크기의 현대 국가로 대체하려던 시도가 성공했다면, 오늘날의 프랑스는 과연 얼마나 커졌을까? 그리고 그곳에는 여전히 '로마'라는 이름의 데파르트망이 존재하고 있을까?
P 131
1828년 갓 탄생한 멕시코 공화국은 미국과 함께 지루한 이름의 국경 조약을 체결했다. 그 조약은 국경이 어디에 있는지를 명확히 했는데, 사실상 이전 조약에서 규정한 것과 일치하는 곳이었다. 오늘날의 캘리포니아, 네바다, 유타, 애리조나, 뉴멕시코, 텍사스 그리고 와이오밍, 콜로라도, 오클라호마의 일부 지역이 모두 영구적으로 멕시코 영토로 정해졌다. P. 134 (지금은 미국의 영토가 되었다)
비무장지대, 이곳은 남북한 사이의 완충 지대이자, 그 이름과는 아이러니하게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 장비로 둘러싸인 지역이다. DMZ는 폭 4킬로미터, 길이 250킬로미터에 달한다. (중략) 실질적으로 보면 한반도에는 세 개의 영역이 존재한다. 북한, 남한, 그리고 이들을 가르는 비어 있는 지대 DMZ다. P 224
💭💭
무심히 지나친 경계에 대한 세계의 역사를 쉽게 알 수 있다. 특히나 한반도 관련한 38선, DMZ등의 이야기는 깊이 빠질 수 밖에 없다. 이 책은 자녀와 함께 읽어도 좋을 역사서다. 인간의 욕망이 압축된 가장 정교한 낙서인 세계지도. 선을 그어온 인류의 서사에 깊이 빠지는 책이다.
            
                        
            
                
                     0
                    0
                 
                
             
            
            
                
                     
                    책읽는 쥬리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