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이왕 사는 거 기세 좋게 - 보여줄게 100세의 박력, 100세의 해피엔드 인생법
사토 아이코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읽었어요
사람들이 스키를 타러 가면 나도 가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사람들이 홍콩에 가면 나도 홍콩에, 파리에 가면 파리에, 교토의 오래된 절 툇마루에 앉아 정원을 바라보는 것이 좋다고 하면 너도나도 교토에 간다. 가끔 똑같이 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유행에서 벗어난 ‘이상한 사람’ 취급을 받기도 한다.
연애에 있어서도 ‘남들’따라 조급해하는 경우가 많고 결혼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결혼 후 새 집의 부엌과 거실 사이에 장식이 달린 가림막 커튼을 달고, 화장실에는 남편은 파란색, 아내는 핑크색 양치 컵을 나란히 두고 수건과 슬리퍼도 파란색과 핑크색으로 맞추고 일요일에는 드라이브를 간다. 모두가 이렇게 사는 것을 행복이라고 여긴다면 역시 그것이 행복한 것이라 여긴다. 자녀는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한 명씩. 이왕이면 명문 유치원에 들어가 피아노와 그림을 배우고.... 이런 행복의 밑그림이 이미 그려져 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을 흉내 낸 밑그림은 계획대로 되지 않고 어긋난 채로 완성되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 아이에게 엉뚱한 화풀이를 하고, 남편에게 환멸을 느낀다며 바람을 피우거나 이혼을 할 수 없지 않는가.
애초에 행복의 밑그림은 내가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적어도 불행한 삶은 막을 수 있다.
“사토 씨, 힘들 때 도망치려고 하면 더 힘들어져요. 고난을 피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게 편해요.”
이제 와서 생각해보니 그 말이 이후 나의 인생을 결정지었다고 생각한다. 마침 그날 초등학교 동창회가 있었는데, 나는 가겠다고 하긴 했지만 도저히 동창회 같은 데에 나갈 기분이 아니라서 빠질 생각으로 U선생에게 갔던 것이다. 그런데 선생은 사토 씨, 지금 동창회에 가라고, 그러면 기운이 날 거라고 말했다. 그래서 나는 힘을 내서 동창회에 갔다. U선생을 존경했던 나는 선생이 하라는 대로 하면 분명 괜찮을 거라고 생각했다.
나는 선생이 하라는 대로 ‘도망치지 않고’ 받아들였다. 내 힘이 닿는 대로 남편 빚을 대신 같았다. 적극적으로 용기를 갖고 살기로 결심한 것이다. 그러자 마치 포상처럼 나오키상을 받았고 전업 작가로 살 수 있게 되었다.
편집부에서 ‘맷집이 강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물었는데 맷집이 강해지려면 어쨌든 ‘맞아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도망치지 않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어떻게 된다, 저렇게 하면 어떨까 등등 과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지나치게 생각이 많으면 행동력이 떨어진다.
스모 중계를 보면 해설가나 감독 들은 몇 번이고 연습의 중요성에 대해 말한다. 힘을 쓰는 선수를 칭찬할 때 반드시 ‘어쨌든 제대로 연습했으니까요’, ‘연습의 결과죠’라고 한다. 고된 훈련으로 선수는 단련되고 강해지는 것이다. 아무리 천부적인 재능을 타고났다 하더라도 연습하지 않으면 정상의 자리에 오를 수 없다. 이것은 기분 좋을 정도로 단순하고 명쾌한 공식이다.
2
Lucy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