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hyo님의 프로필 이미지

Limhyo

@limhyo

+ 팔로우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 (우리가 알고 있던 만들어진 아프리카를 넘어서)의 표지 이미지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

윤상욱 지음
시공사 펴냄

읽었어요
조금이라도 후원을 하고 싶어서 알아보던중
사람들에게 이런말을 들었다.
'아프리카 아이들에게는 후원하지마.
후원을 해도 그들에게 돌아가는 몫은 없을꺼야'라든지
'강대국이 지원해주겠거니 하는 게으른 존재야'라든지.
구체적인 정보없이 그말만 듣고
편견으로 그들을 봤었는데
참...생각보다 훨씬 심각하고 힘든 그들의 일상이네.
어디서부터 어떻게 일을 풀어가야할지 참 답답하지만
그래도 그들을 걱정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있을테니
부디 아프리카에도 봄이 오길 바래본다.
2016년 9월 7일
0

Limhyo님의 다른 게시물

Limhyo님의 프로필 이미지

Limhyo

@limhyo

이 책은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라는 두 세계를
교차하며 이야기가 진행되는데 두 세계는 성격이 다르다.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는 차갑고 기술 중심적이고
세계의 끝은 따뜻하면서도 쓸쓸하고 고독하다.
1권을 읽는데 너무 난해하고 이해가 안되서 몇번 접을까 했는데
2권에서 난해했던 두 세계가 이렇게 연결 될 줄이야.
마지막이 좀 충격적이긴 했다.
이 장황한 이야기가 인간의 본질, 정체성을 묻는거라니.

‘그러나 싸움과 증오나 욕망이 없다는 건, 즉 그 반대도 없다는 뜻이야. 기쁨과 축복과 애정 같은 거 말이야. 절망이 있고 환멸이 있고 슬픔이 있어야 기쁨도 생겨날 수 있는 거라고. 절망이 없는 축복 따위는 어디에도 없어…(중략)…마음이 없는 인간은 걸어다니는 환영에 불과해. 그런 걸 취하는 게 대체 무슨 의미가 있다는 거야? 너는 그런 영원한 생활을 원하는거야?’(p.253, 2권)

특히, 세계의 끝에 대한 내용이 좋았다.
세계의 끝은 마음을 버리면 아무도 늙지 않고 죽지 않는 곳인데
이 곳은 마치 재밌게 본 미드 ‘굿플레이스’ 같았다.
그걸 보면서도 그저 행복한채로 영원히 존재하는 것이 좋을까를
생각했었는데 세계의 끝을 읽고 나서도 똑같은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영원히 존재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삶은 유한해야 의미가 있다는 걸 다시 한번 새기게 된 책이었다.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민음사 펴냄

읽었어요
7시간 전
0
Limhyo님의 프로필 이미지

Limhyo

@limhyo

이 책은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라는 두 세계를
교차하며 이야기가 진행되는데 두 세계는 성격이 다르다.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는 차갑고 기술 중심적이고
세계의 끝은 따뜻하면서도 쓸쓸하고 고독하다.
1권을 읽는데 너무 난해하고 이해가 안되서 몇번 접을까 했는데
2권에서 난해했던 두 세계가 이렇게 연결 될 줄이야.
마지막이 좀 충격적이긴 했다.
이 장황한 이야기가 인간의 본질, 정체성을 묻는거라니.

‘그러나 싸움과 증오나 욕망이 없다는 건, 즉 그 반대도 없다는 뜻이야. 기쁨과 축복과 애정 같은 거 말이야. 절망이 있고 환멸이 있고 슬픔이 있어야 기쁨도 생겨날 수 있는 거라고. 절망이 없는 축복 따위는 어디에도 없어…(중략)…마음이 없는 인간은 걸어다니는 환영에 불과해. 그런 걸 취하는 게 대체 무슨 의미가 있다는 거야? 너는 그런 영원한 생활을 원하는거야?’(p.253, 2권)

특히, 세계의 끝에 대한 내용이 좋았다.
세계의 끝은 마음을 버리면 아무도 늙지 않고 죽지 않는 곳인데
이 곳은 마치 재밌게 본 미드 ‘굿플레이스’ 같았다.
그걸 보면서도 그저 행복한채로 영원히 존재하는 것이 좋을까를
생각했었는데 세계의 끝을 읽고 나서도 똑같은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영원히 존재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삶은 유한해야 의미가 있다는 걸 다시 한번 새기게 된 책이었다.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민음사 펴냄

읽었어요
7시간 전
2
Limhyo님의 프로필 이미지

Limhyo

@limhyo

그러니까 이 책은 인류의 종말에 대한 이야기이다.
부정,절망,타협,수용,사랑 5가지 파트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는 종말의 5단계인 동시에 죽음을 받아들이는 5단계이기도 하다.
그런데 마지막이 사랑이라는 것이 의아했다.
세상이 끝나가고 죽어가는 와중에 사랑이라고?
책을 다 읽고 다시 리뷰를 해보니 마지막이 사랑이어야만 했다.
종말이라는 무겁고 암울한 세계에서 인간의 가질 수 있는
최선의 희망..그건 사랑일 수 밖에 없겠구나.

이렇게나 짧은 이야기로 이렇게나 심오한 이야기를 담다니.👍

종말까지 다섯 걸음

장강명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5일 전
0

Limhyo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