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맛소설책님의 프로필 이미지

카레맛소설책

@6z0rdqx7vmfd

+ 팔로우
1984 (한글판,Nineteen Eighty-Four)의 표지 이미지

1984

나쓰메 소세키 지음
온스토리 펴냄

읽었어요
현실과 진리는 객관적 실체를 가지고 있는가, 혹은 우리의 시선과 마음을 통해서만 존재하는가 의문을 가지게 하는 책. "우리는 정신을 지배하기 때문에 물질을 지배하는 거야. 현실은 머릿속에 있다네." 라는 말처럼 현실과 진리의 생명력이 약해질 수도 있으며, 내가 좇는 진리와 이상이 허구일 수도 있다는 무서운 생각이 든다. 더욱 소름 끼치는 점은 이러한 생각이 나게끔 하는 원인이 다름 아닌, 권력을 숭배하는 인간의 폭력성이라는 것이다. "권력은 신"이라는 구절이 이를 보여주는데, 이는 인간의 과욕을 경계하게 하고 현시대를 성찰하게 해준다. 또한 현 시국을 염두에 두니, 당의 행태와 유사한 정책들이 현실에서도 되풀이 되고 있음을 느낀다. 그러한 술책에 넘어가지 않도록 이성과 생명력을 부단히 지켜나가리라 다짐한다.
2017년 2월 9일
0

카레맛소설책님의 다른 게시물

카레맛소설책님의 프로필 이미지

카레맛소설책

@6z0rdqx7vmfd

간결한 문체와 속도감 있는 전개는 페이지를 술술 넘기게 해준다. 하지만 빠른 스토리와 허무한 결말은 로맨스와 감동응 음미할 시간마저 주지 않은 채 맥없이 끝난다. 느낌은 좋았으나 끝이 별로여서 아쉽다.

지금 이 순간

기욤 뮈소 지음
밝은세상 펴냄

읽었어요
2017년 6월 9일
0
카레맛소설책님의 프로필 이미지

카레맛소설책

@6z0rdqx7vmfd

저자가 의사가 되기로 마음먹은 동기가 인상적이다. 삶에 의미를 준다고 여긴 문학을 사랑한 그는 한 소설책에서 그런한 의미가 결국 유기체적인 뇌의 작용에 의한 것임을 깨닫는다. 이것을 발단으로 그는 삶의 의미를 찾는 문학과 이를 가능케 하는 뇌, 즉 생물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도덕, 문학, 생물학 등이 교차하는 의학을 전공하기로 마음 먹는다.

이는 우리나라 현실과 매우 다른 모습인데, 우리나라 최고 수재들은 주로 직업을 안정성, 수익성 그리고 사회적 위신을 기준으로 의사를 택하는 반면, 저자는 본인의 철학과 가치관에 맞는 직업으로서 의사를 선택했다. 이러한 진정성과 정신이 그로 하여금 죽음의 그림자를 담담히 마주할 수 있게 한 것 같다. 삶과 죽음의 의미를 생각하고 공부하던 그는 폐암을 선고 받아 그 의미를 직접 경험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러하듯, 그도 처음에는 짧은 생을 두려워하고 방황했지만, 가족, 특히 아내 루시와 담당 의사인 에마의 동무으로 그리고 무엇보다도 본인의 의지와 용기 덕분에 정체성을 되찾고 남은 시간을 성실히 계획하고 이에 따라 치열하게 산다.

전에 읽었던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중립적인 것으로 보고 두려워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을 던져 감명깊었다. 그런 면에서 소크라테스는 죽음의 의미를 재평가하고 이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를 보여준다. 그는 죽음을 철학자의 고향이라 생각하며 범인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지만, 저자 폴은 보다 인간적이면서 오히려 더 대단해보이기까지 한다. 인간적인 두려움을 뒤로 한 채 본인의 환경과 상태를 인정하고 남은 시간을 더욱 의미있게 보내기 위해, 그리고 삶을 위해 고군분투한다. 그는 죽어가고 있었지만 다른 누구보다도 치열하게 살았다.

한때 좌절하고 무기력했던 내 모습이 생각나다. 세상 끝난 것 마냥 아무것도 하지 않던 시간들. 과연 내가 가진 신념과철학이 환경과 상황이 변하더라도 굳건할 수 있을까? 죽음이라는 거대한 두려움도 아니라 입대나 망친 시험에서 마저도 무기력해지는데? 반성할 기회를 주고 다시 한번 마음을 다 잡게 해준 폴에게 감사하다. 보다 가치있고 의미있는 삶을 살기 위해, 먼 꿈과 미래만 좇을 것이 아니라 동시에 가까운 현재와 지금 이 순간에도 충실할 것을 다짐한다.

숨결이 바람 될 때

폴 칼라니티 지음
흐름출판 펴냄

읽었어요
👍 인생이 재미 없을 때 추천!
2017년 6월 9일
0
카레맛소설책님의 프로필 이미지

카레맛소설책

@6z0rdqx7vmfd

너무 오랫동안 읽은 나머지 이야기의 감동과 생생함이 반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루의 감정과 다른 인물들의 시각에서 펼쳐진 스토리는 낭만적이었고 가슴에 사무쳤다. 루의 감정들이 세세히 느껴진 것이 정말 좋았다. 시선 하나하나, 시시콜콜한 감정 모두 그려져 머릿 속에 스크린이 펼쳐지는 것처럼 실감났다. 예상만큼은 로맨틱하지 않았지만, 한 사람이 다른 사람으로 인해 변하는 모습이 색다른 감동을 선사했다. 이외에도 인상적인 것은 바로 윌의 엄마인 트레이너 부인의 감정이다. 차갑고 냉정하게만 보였지만, 윌을 바라보는 그 눈빛과 속마음은 영락없는 어머니의 모습이었다. 이성적 인물의 순수한 감성은 어색하지만 그 이질적 느낌 덕분에 더 깊게 느껴진다. 마지막 휴가지인 모리셔스제도가 실존하는 곳이지는 모르겠다. 실존한다면, 상상보다 못하다 할지라도 꼭 가보고 싶다. 신혼여행지로...? 더불어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의 변증적 입장이 궁금하다.

미 비포 유

조조 모예스 지음
살림 펴냄

읽었어요
2017년 6월 9일
0

카레맛소설책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