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보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보성

@lcjvixwkgknj

+ 팔로우
취향의 정치학 (피에르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읽기와 쓰기)의 표지 이미지

취향의 정치학

홍성민 지음
현암사 펴냄

읽었어요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의 <구별짓기>에 대한 일종의 해설서이다.
부르디외는 정치학 강의를 들으면서 접하게 되었는데, '문화자본' 같은 부르디외가 강조한 개념이 평소 내가 가진 생각을 구체화시킬수 있다는 생각에 큰 관심을 두게 되었다.
이 책은 부르디외를 전공한 교수님이 부르디외를 일반인도 쉽게 접하고, 또 단순한 해설이 그치지 않고 한국의 현실에 접목하여 적실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한 아주 의미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나를 비롯하여 내 주위에 소위 책 좀 읽는다는 친구들은 전반적으로 <지대넓얕>류의 책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꼭 지대넓얕이 그런 책이라는게 아니라, 고전의 해설서는 자칫 고전이 말하고자 하는 정수가 아닌 고전의 겉 지식 만을 말해줄 유려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문제는 보통 저자가 전문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이다.
항상 이런 문제에서 내가 드는 예시는, 플라톤의 '부인/자식 공유제'이야기이다. 플라톤은 지배계급의 상속에 기반한 이기심을 없에기 위해 이런 주장을 했는데,
플라톤이 주장한 '본질'을 무시하고 단순히 부인/자식을 공유하자는 내용만을 습득한다면 그냥 플라톤은 가부장적 틀에 갖인 여혐러밖에 안 된다.
이 책은 전공자의 분석이라는 점에서 피상적으로 책을 해설한게 아니라는 점에서 몹시 좋다. 2017년에 읽은 비문학 책 중에서는 손꼽을만한 추천책이다.
0

강보성님의 다른 게시물

강보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보성

@lcjvixwkgknj

이 책으로 토론을 했을 때, 반응들이 되게 재미있었다.
남자들의 경우는 (나를 포함하여) 여성문제를 조금은 이해했다는 반응이었고.
여성들의 경우는 읽기 어렵다는 말이 있었고, 통쾌하다는 반응도 있었다.
내가 중점적으로 본 것은 읽기 어렵다는 반응이었는데, 너무나 남성 위주 사회가 당연해서 여성위주 사회를 구성한 소설구조가 잘 안읽혀진다는 것이다.
특히 저학번 여학우들이 이런 발언을 많이 했었는데, 그정도로 남성위주사회가 교육에서부터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안타깝게도 만일 남자들에게 여성문제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이 책보다 <82년생 김지영>을 추천하기 바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나도 그랬고 토론에 참석한 남학우들이 여성들이 느끼는 만큼 남성들이 불쾌하거나 이상함을 느끼지 못했다. 왜냐하면 우린 상상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책에서 맨움의 조신함을 위해 성기를 감싸는 것은 브레지어의 미러링인데, 우리는 브레지어를 안해서 저것이 얼마나 불편한지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차라리 어떤 프로그램에서 했던 것 처럼 브레지어를 실제로 입혀보고 다니게 하는게 훨씬 더 여성들의 불편을 이해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꼭 여성주의 담론이라는 점을 배제하더라도 책 자체가 구성이 탄탄해서 읽는 재미도 있다.
그러나 만일 주위 남성들에게 여성주의에 대해 말하기 위해 추천할만한 책인지..? 는 의문이 들었다.

이갈리아의 딸들

게르드 브란튼베르그 지음
황금가지 펴냄

읽었어요
2017년 7월 21일
0
강보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보성

@lcjvixwkgknj

중딩때인가 고딩때인가 읽어서 내용은 선명히 기억은 안나는데
읽으면서 어딘가에서 훈훈한 바람이 불어오는 느낌을 받았다.
원효대서 해골물 이야기의 서양버전? 같다는 생각도 했었다.

요즘은 사람들에게 일상의 행복을 찾아라고 하면 무례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목표하는 것을 이루는 과정에서도 행복하길 바란다는 말을 종종 한다.
결말이 지금 기억이 안나는데, 주인공이 보물을 찾으러가는 과정에서도 행복을 느꼇던 것 같다.
행복하자~아프지말고~

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2017년 7월 21일
0
강보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보성

@lcjvixwkgknj

언젠가부터 '집'에 대해 이야기할때, 어떠어떠한 집이 아니라 부동산 가격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스스로를 돌이켜본다.
사람들은 어린왕자 책을 정말 좋아하는데, 내 생각에는 우리가 현실에서는 절대 어린왕자처럼 행동하면 안되기 때문인것 같다.
중요한건 그런 행동을 하진 않or못 하더라도 그 생각을 잃어서는 안될 것 같다.

어린 왕자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지음
열린책들 펴냄

읽었어요
2017년 7월 21일
0

강보성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