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우리는 차별하기 위해 태어났다
나카노 노부코 지음
동양북스(동양문고) 펴냄
이 책의 저자는 뇌 과학자이다. 인간의 차별본능을 의미하는 노골적인 제목을 지었다. 차별에 대한 면죄부라도 주고싶은 것일까. 그렇지 않다.
사실 이 책은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 위한 자양분이다.
자신의 차별본능을 자각하고 다스릴줄 아는 성숙한 인간으로 이끈다. 차별, 질투, 악플, 집단괴롭힘 등 인간을 이해하여 내가 남에게 악한 짓을 하지도 당하지도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생각하게 한다.
저자의 모든 생각에 동의한다 말할수는 없지만, 많은 것에 고개를 끄덕였고 유익했다.
내용 정리 :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본능적으로 집단이 와해되는것을 두려워하여 무임승차자나 집단에 도움이 안되는 인간을 배척하고 싶어한다.
집단을 유지하려는 향사회성이 강할수록 조금만 이질적이어도 혹은 조금만 약해보여도 장차 집단에 해가 될거라는 본능 경고등이 과민하게 울려댄다는 것이다.
인간은 몸에 필요한 당분을 본능으로 맛있게 느끼듯, 집단을 튼튼하게 유지하기 위한 이 본능에도 쾌감을 느낀다. 돌로 사냥하던 현생인류 조상들이 DNA에 새겨준 생존을 위한 쾌감이라는 것이다.
협동이나 단결은 우리에게 긍정적으로 취급되는 가치이지만, 사실 오버 생크션을 일으키는 주범이다.
"모두 힘을 합해", "다 같이 사이 좋게" 협동일치단결이 강해질수록 방해되는 인물, 이질적인 인물, 타집단에 대한 적대감이 커져서 차별과 집단괴롭힘이 일어난다.
때문에 집단구성원의 균질성을 적절히 낮추도록 유도하여 다양한 개성과 다양한 생각을 마음껏 발산할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다양한 개성을 존중하는 DNA를 우리가 후세대에게 전달해야 할 때이다.
일본 대기업이었던 샤프는 기업 내에서 세개의 파벌로 분열하여 서로 다른 파벌의 발목을 잡았다. (킹기도라 경영-머리 세개의 괴수) 이것이 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대만 기업에 매각되었다.
향사회성을 내부의 다른 파벌집단보다 회사외부요인을 상대로 발동시켰으면 어땠을까?
"학교폭력 없는 청정학교" 같은 슬로건은 학교폭력 발생시 학교측이 이를 은폐하도록 만든다. 집단 속에서 집단괴롭힘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하다는 전제를 가지고 학교폭력을 마주해야한다.
학교와 교사에게 학교폭력 발생의 책임을 묻거나 뒤처리하게 하는것은 학교폭력을 은폐하게 만들뿐 피해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학교관계자를 배제한 학교폭력 전담기구 등이 필요하다.
오찬호 해제 中
퇴행적인 연대를 자랑이라 일삼는 패거리 문화는 동참하지 않은 자를 짓밟는다. 말 그대로 켕기는 구석이 많아서다. 여기서 개성과 자유재량은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이기적인 대표적 특징으로 언급될 뿐이다.
본문 中
<냉철한 이성과 공격하고 싶은 욕구가 충돌할 때 이성이 공격 욕구를 억누르기는커녕 더욱 고도한 방향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이성이 ‘공격이 옳은 일’이라고 합리화해주기 때문이죠. 억제 구조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중략)
정의를 표방하고 집단 괴롭힘을 가하는 쪽은 아무리 타일러도 소용이 없습니다. 그들에게는 정의를 구현하고 있다는 만족감이 상당히 크기 때문이죠. 때로는 정의를 실현하고 있다는 쾌감에 중독된 경우도 있습니다.>
<심리학적으로 질투는 서로 ‘유사성’과 ‘획득 가능성’이 높을 때 강해진다고 합니다.
유사성이란 성별이나 직종, 취미나 기호 등이 얼마나 비슷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중략)
획득 가능성이란 상대가 가진 것을 자신도 가질 수 있는 것인지 아닌지의 가능성을 말합니다. (중략)
가치관이나 연령이 다른 사람, 자신과는 목표가 다르거나 아무리 노력해도 쫓아갈 수 없을 만큼 우수한 사람, 부와 권력이 자신과는 비교할 수 없는 사람은 유사성이나 획득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질투 대상이 되기 힘듭니다.>
2
아수라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