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han Kim님의 프로필 이미지

Kihan Kim

@vtdimuec1uqk

+ 팔로우
강자의 조건 (군림할 것인가 매혹할 것인가)의 표지 이미지

강자의 조건

이주희 지음
Mid(엠아이디) 펴냄

읽었어요
강대국이 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것들을 한 두가지로 다 설명할 수는 없을 것이다. 저마다의 지리적, 정치적 환경과 역사속에서의 역학관계, 여기에 어느 정도의 행운까지 겹쳐야 하기 때문이다. <강자의 조건>은 강대국의 조건을 두루두루 분석해 충분조건들을 제시한 것은 아니다. '관용'이라는 최소한의 요건은 강자에게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로마제국에서부터 몽골제국, 대영제국, 네덜란드, 미국 등 세계사를 주름잡았던 강자들의 사례를 통해 강조하고 있다.

로마보다 먼저 문명을 꽃피운 곳은 아테네였지만 그리스는 시민권을 제국에 개방하지 않았다. 오래가지 못했다. 반면 로마는 정복하는 곳마다 그곳의 지배층은 로마의 원로원으로 끌어들이고 시민권을 부여했다. 심니온의 경우는 40년 동안의 전쟁을 벌인 끝에 굴복시켰지만 동료로 받아들였다. 이렇게 관용에 터잡은 동맹은 위기에 강했다. 칸나이 전투에서 한니발에 몰살에 가까운 참패를 당하고도 제국의 동맹들은 쉬이 흔들리지 않았다. 다만, 반격에 성공한 로마는 카르타고만은 동료로 받아들이지 않고 고사시켰다.

몽골도 마찬가지였다. 유럽을 잔인하게 정복한 이미지가 우리에게 강하게 남아있지만 현재 서양 문명의 인종적, 종교적 차별 프레임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 몽골제국은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혹은 다른 토착 종교들이 다툼없이 공존하던 시대였다. 4대 칸 뭉케칸의 어머니는 기독교였고, 당시 초원의 몽골제국 수도 카라코쿰은 다양한 종교가 갈등없이 공존하던 도시였다. 물론 몽골제국의 이러한 전통은 테무진, 칭기스칸에서부터 비롯되었다. 그와 목숨을 같이한 19인의 동료들은 모두 다른 종교에 다른 부족 출신들이었다. 몽골의 개방성은 동서간의 문화교류와 평화를 가능하게 했다. 이븐 바투타나 마르코 폴로는 관용과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동서를 잊는 제국을 만든 몽골 시스템의 안정하에 가능했다.

네덜란드는 더욱 극적이다. 이 작은 나라는 종교의 자유를 위해 당시 세계 최강 스페인에 대항해 독립했던 나라였다. 스페인은 아메리카에서 가져오는 엄청난 부로 무적함대를 만들었지만 종교에 있어 무척이나 배타적이었다. 기독교 스페인의 영토회복운동인 레콘키스타가 완료된 후 이교도를 잔인하게 학살했다. 이후에도 유대인을 몰아내고, 종교재판은 의심만으로 피의자를 화형에 처했다. 이런 환경에서 유능한 유대인 상인, 프랑스의 위그노 기술자들이 네덜란드로 모여들었다. 사상가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들에 의해 자본과 기술을 축적하며 혁신의 속도를 높인 네덜란드는 무역을 통해 강자의 지위에 오를 수 있었다.

지금 우리의 경우는 어떠한가. 다양성에 대한 관용의 정도가 더 낮아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 농촌으로 유입되는 결혼이민자에게 공존보다는 흡수, 동화를 강요하는 것은 아닌지. 최근 예멘 난민 문제에 대한 우리 사회의 태도는 관용보다는 배타성을 넘어 혐오로 확대되고 강화되고 있다. 특히나 한국은 그토록 바라는 일등국가, 선진국(지금도 이미 선진국이지만)이 되려면 네덜란드의 경우를 잘 생각해야 한다. 인재와 자본이 넘쳐날 수 있었던 것도 관용이었다.

#강대국 #관용 #다문화 #네덜란드 #몽골 #영국
0

Kihan Kim님의 다른 게시물

Kihan Kim님의 프로필 이미지

Kihan Kim

@vtdimuec1uqk

잠 못들 정도로 재미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인공지능에 관한 일반적인 리포트를 준비하는 학생 등이라면 쓸만한다. 인포그래픽스가 괜찮고 그래서 빨리 넘어간다.

잠 못들 정도로 재미있는 이야기

한선관 지음
성안당 펴냄

2021년 8월 11일
0
Kihan Kim님의 프로필 이미지

Kihan Kim

@vtdimuec1uqk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하늘을 거부하는 '구름감상클럽'이라는 것이 있는 모양인데, 전세계 120개 국에 5만여명이 넘는 회원을 가진 단체란다. 그 클럽의 회장격인 분이 회원들의 사진, 그리고 동서양 그림과 시, 문학에서 만나는 구름들을 정리했다.

코로나로 여행을 잃어버렸지만 눈에 띄게 아름다운 하늘과 빛나는 구름들을 얻었다. 그리고 그것들은 꼭 멋지고 유명한 곳으로 힘들게 찾아가지 않아도 전망을 허락해준다.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고개를 들어 멍때리는 것만으로 책속에 나오는 진귀한 장면들을 언젠가 만날 수 있을 것같다.

날마다 구름 한점

개빈 프레터피니 (지은이), 김성훈 (옮긴이) 지음
김영사 펴냄

2021년 8월 6일
0
Kihan Kim님의 프로필 이미지

Kihan Kim

@vtdimuec1uqk

금융, 좁게는 주식투자를 기술적 측면에서 보는 경우가 많다. 실제 어마어마한 재무제표와 5일선, 30일선 운운하며 매매 타임을 어떻게 가져가야 한다는 책도 있다. 화려해 보이지만 일반인이 사실 따라하기 힘들다. 그것 공부하다가 날샌다.

이 책은 투자를 심리적으로, 그러니까 보다 인간적으로 접근하고 해법을 제시했다. 그런데 그 답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존버, 닥치고 기다려라'는 것이다. 싱거운 결말일수는 있지만 나름대로의 논거를 제시해 믿음이 간다. 필요한것은 믿음과 인내다.

빙하기를 만든 것은 혹독하게 추운 겨울이 아니었다. 조금 서늘한(덜 따뜻한) 여름이 문제였다. 여름에 충분히 녹지 못한 얼음이 오랜 세월 쌓여서 빙하기가 된 것이라고 한다. 작지만 의미있는 수익률(그것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과 복리의 마법을 믿고 기다려보자.


*
이 책을 쓰고 있는 지금, 버핏의 순 자산은 845억 달러다. 그 중 842억 달러는 쉰 번째 생일 이후에 축적된 것이다. 815억 달러 중 그가 사회보장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요건이 충족된 60대 후반에 생긴 것이다. ... 버핏의 성공요인을 해부한 2000권이 책 중에서 '이 남자는 75년이나 꾸준히 투자를 해왔다'라는 제목의 책은 없다. 가장 강력하고 중요한 책은 '닥치고 기다려라'가 되어야 한다.

*
사람들은 언제나 최고의 수익률을 원한다. 그러나 오랫동안 괜찮은 수익률을 유지하는 것이 훨씬 더 나은 결과를 낳는다. 그러니 닥치고 기다려라.

*
복리의 원리가 빛을 발하려면 자산이 불어날 수 있게 오랜 세월을 허락해야 한다. 1년이면 별 차이가 없지만 10년이면 의미있는 차이가 생길수 있고, 50년이면 대단한 무언가를 만들어 낼 수가 있다.

*
170년 동안 (미국)주식시샂이 고점대비 10퍼센트 하락한 적이 최소 102번이 있었다. 주식 가격이 3분의 1이상 떨어진 적이 최소 12번 있었다. 구글에 따르면 비관적인 경제전망이라는 말이 신무에 등장한 적이 최소 2만9천번 있었다.

*
만약 10년간 투자한다면 당신이 오늘 또는 내일 또는 다음주에 내리는 의사결정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정말로 중요한 것은 남들이 미쳐가는 몇 안되는(아마도 1퍼센트도 안되는) 날에 당신이 어떤 의사결정을 내리는가 하는 점이다.

돈의 심리학

모건 하우절 (지은이), 이지연 (옮긴이) 지음
인플루엔셜(주) 펴냄

2021년 8월 5일
0

Kihan Kim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