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인생이 묻고, 톨스토이가 답하다
이희인 지음
홍익출판사 펴냄
읽었어요
이거 언제적 플라이북 발송 책이지? 아무튼 올 한 해 중 가장 힘들었던 두 세달 사이에 발송되었던 책이었을게다. 물론 그 이후에 발송해 준 책들도 아직 못 읽고 있다는 무서운(?) 사실....뭐 아예 휴독한 건 아니고 다른 책들을 읽느라 바빴다는 핑계 아닌 핑계.
사실 이 책을 읽고 내 유년기 독서를 책임줘졌던 대문호 톨스토이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 감사한 마음이다. 그 때는 그저 유명한 동화작가려니...생각했다가 나중에는 세계적인 작가라길래 그런가보다 하고 지나갔던 톨스토이. 거기다 러시아 문학 특유의 길고 비슷한 이름이 주는 '얘가 걘가? 아님 얘는 누구?' 라는 긴가민가 장벽을 한 번 겪고 나서 러시아 문학을 일부러라도 꺼려하긴 했었다. 도대체 누가 누군지 알 수가 있어야지. 뒤로 갔다가 앞으로 다시 가기를 몇 번이나 반복했었는지...
그 와중에 안톤 체홉 작품에 한동안 미쳐 있었던 건 아이러니긴 하지만. 아무튼 이 책 덕분에 집 책장 속 구석에 밀려져 있던 톨스토이 단편선집을 꺼내놓고 또 안나카레니나까지 읽을 예정이라며 서점에서 사 가지고 온 것도 안 비밀. 귀가 얇은 건 차치하고서라도 눈까지 얇은 걸 이런 면에서는 좋다고 해야 하나?
톨스토이에 관련된 이 책을 읽고 나니 요런 덕질이라면 성공한 게 아닐까?라며 저자가 대단해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고 마냥 톨스토이를 찬양하지만은 않아서 더 좋다. 삶이란 게 무엇일까라는 깊은 울림을 톨스토이 문학을 통해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또 받아 들일 수 있다면 그걸로라도 톨스토이 문학 버프 혜택을 받을 수 있는게 아닐지.
그런 의미에서 책 속에 언급된 신영복 선생의 '독서는 삼독'이 되어야 한다는 말이 남달리 다가온다.
"독서는 삼독입니다. 먼저 텍스트를 읽고 다음으로 필자를 읽어야 합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그것을 읽고 있는 독자 자신을 읽어야 합니다."
- 신영복, '서삼독' 중... -
그나저나 플라이북에서 보내 준 밀린 책들을 보니 조금 성급한 마음이 들다가도 이럴 때일수록 차분하게 읽어야겠구나라며 마음을 다잡는다. 그래, 뭐가 그리 급하겠어. 하하하하
2
헤이벨라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