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북 앱으로 보기
+ 팔로우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세트
해성이앤피 편집부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
읽었어요
모든 왕이 세종대왕이나 성종과 같은 성군이거나 명군일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후세에 부끄럽지는 않은 왕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선조는 신하들에게 일관된 모습도 충심을 다하게 하는 모습도 보여주지 못한 임금이다. 힘든 시기를 겪었다면 그 시기를 극복하게 해 준 사람들에게 보답을 해야하는 게 인지상정이 아닐까 싶다. 붕당을 일삼는 신하들 못지 않게 신하들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모습을 보여 준 진정한 한 임금의 모습과는 거리가 먼 임금으로 기억된다.
광해군을 반정으로 몰아내고 왕이 된 인조의 이야기.
광해군과는 다른 정치를 보여주려 했을지 모르나, 명과 청의 대외적 흐름을 읽지 못해 두번의 호란을 겪었으며, 그 호란을 겪고도 심지를 굳건히 하지 못해 우왕좌왕하는 정치를 보여준 인조..
자식에 대한 질투(?)로 자식과 며느리, 세 명의 손자들을 죽음을 몰고 간 그가 진짜 광해군보다 낫다고 할 수 있을까? 반정으로 왕이 될 만한 자질을 갖추고 있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든다.
리더의 자질에 따라 따르는 사람들의 삶이 얼마나 변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시대였다는 생각이 든다.
0
새얀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