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헤드님의 프로필 이미지

더블헤드

@deobeulhedeu

+ 팔로우
한강 세트 (전10권)의 표지 이미지

한강 세트

조정래 지음
해냄 펴냄

한강 1-10권 #조정래 2001

2020년 5.13일 - 6.19일 (37일)
*변경 12권을 읽는데 30일이 걸렸었는데 이번엔 🕺🏻 춤바람에 빠져 더 오래 걸렸네😆


조선 500년에서 지금까지 출세해 보겠다고 서울로 밀려들었다가 꿈을 이루지 못하고 저 한강에 눈물을 떨구며 발길을 돌린 젊은이들이 그 얼마나 많겠는가. 그 눈물을 다 모아놓으면 또 하나 한강이 될지도 모르지. 오랜만에 남산⛰에서 한강을 내려다보니 감정이 묘해지는군." ⑦권 p247


조정래 작가님이 ‘20년’ 동안 쉼 없이 쓰신 근현대사 소설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총 서른두권의 (처음 한번) 읽기를 드디어 마쳤다. 시대로 따지면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는 1904년 부터 광주민주화운동이 발생한 1980년 까지 총 77년 우리나라 역사인데, 국사 교과서로 공부했다면 대충 서른장 정도의 페이지에 들어갈만한 내용 쯤 될지 모르나 생동감 있는 인물들이 펼쳐내는 32권의 꽉찬 소설책이 전해준 드라마는 나를 그 시대로 여행시켜준 감동적이고, 눈물나고, 웃기고, 살아있는 작품이었으며 역사 교과서였다. 👍

소설 #한강 만 떼어놓고 보자면, 처음부터 그 시대 배경이 비슷한 #이문열 작가님의 #변경 과 비교해보고 싶었다. 당연히 주관적인 평가지만, 소설의 재미도 스케일도 특히, 시대 배경의 묘사에서 모든 부분이 #한강 의 압승이었다. 굳이 수치로 표현해보면 변경이 85점 정도로 꽤 괜찮은 소설인데 한강은 만점인 것이다. 변경의 주인공 명훈, 인철 형제와 한강의 주인공 일민, 일표 형제는 똑같이 아버지가 월북한 공산주의자로 연좌제의 사슬 아래 어려운 삶을 살 수 밖에 없다는 설정부터가 너무나 닮아있지만 변경이 그냥 지나친 4.19 이후 자유당의 몰락, 5.16 군사 정변 이 후의 정치판 같은 이야기를 한강은 한인곤 등의 인물로 자세히 그려내는 점이 다르고 두 작가의 (혹은 두 소설 속 주인공의) 출신지역 차이 때문인지 모를 전라도의 차별이 그려지지 않거나 그려지는 차이가 눈에 띈다 하겠다. 개인적인 취향이지만 변경에서 모니카의 자살이 너무 슬펐고 명훈의 허망한 죽음은 소설가의 편한 끝맺음 선택은 아니었는지 아쉬웠다.

앞서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의 한번 읽기를 마쳤다고 말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처음부터 다시 읽어볼 작품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강이란 제목이 왜 나왔는지를 잘 설명해주는 위 소설 속 구절에 어울리는 사진을 찍기 위해 📚 10권의 책을 들고 남산에 오른 성의?로 이 소설에 대한 내 마음을 표현해보며, 약 한달간 만나는 친구들에게 불쑥 책을 내밀며 어려운 컨셉 😷의 사진을 요청했으나 흔쾌히 모델이 되어준 10명의 친구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
2020년 6월 19일
0

더블헤드님의 다른 게시물

더블헤드님의 프로필 이미지

더블헤드

@deobeulhedeu

“목소리요. 작가의 목소리. 문장이 다소 서툴러도 좋은 목소리를 가진 작가의 글을 읽으면 힘이 느껴지잖아요. 좋은 문장이 중요한 건 이 목소리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문장이 목소리를 분명하게 드러내주거든요.” P148
⠀⠀⠀⠀⠀⠀⠀
⠀⠀⠀⠀⠀⠀⠀
서점이 있고 북토크가 있고 글쓰기 강의가 있다. 로맨스도 있다. 어쩌면 독서를 좋아하는 사람들 주변의 뻔한 이야기. 소설 작가가 쓸 만한 평범한 이야기. 그래서 슴슴한 평냉 같은 소설이지만 그 평범함이 편안하게 다가온다.
⠀⠀⠀⠀⠀⠀⠀
#북스타그램 #책 #독서
#bookstargram #bookreview #book

어서 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

황보름 지음
클레이하우스 펴냄

1개월 전
0
더블헤드님의 프로필 이미지

더블헤드

@deobeulhedeu

  • 더블헤드님의 어서 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 게시물 이미지

어서 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

황보름 지음
클레이하우스 펴냄

읽었어요
1개월 전
0
더블헤드님의 프로필 이미지

더블헤드

@deobeulhedeu

잠에서 깨어나면서 내가 제일 먼저 하는 동작은, 잠결에 일어서 있는 그의 페니스를 쥐고 마치 나뭇가지에라도 매달린 듯 그렇게 가만히 있는 것이었다. ‘이걸 쥐고 있는 한 이 세상에서 방황할 일은 없겠지’라고 생각하면서. 지금 와서 이 문장을 곰곰 생각해보면, 이것 말고는, 이 남자의 페니스를 손으로 꼭 감싸쥐는 것 말고는 바랄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였던 것 같다.
지금 그는 다른 여자의 침대에 있다. 아마 그녀도 내가 그랬던 것처럼, 손을 뻗어서 그의 페니스를 쥘지도 모른다. 여러 달 동안 그 손이 눈앞에 아른거렸고, 그 손이 내 손인 것만 같았다. p10
⠀⠀⠀⠀⠀⠀⠀
⠀⠀⠀⠀⠀⠀⠀
자극적인 첫 문단에 동공이 커지고서야 경주의 작은 도서관에서 이 책의 앞부분을 읽었던 기억이 떠올랐다. 그때도 이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받았다는 띠지가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작년에 처음 한국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받기 전까지 (누군가 한 명은 매해 받았을) 노벨문학상 수상작 따위, 눈에 들어오지 않았기에,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나 보다. 하지만 기간제 베프가 이 작가의 책을 권하여 이 작가의 책을 세 권이나 샀고 이렇게 다시 만나게 되었다.
그놈의 노벨문학상 평가 기준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한강 작가의 어둡고 우울한 전개도, 아니 에르노의 이 끈적하고 적나라한 (글자 그대로의) ‘집착’은 마치 처음 맛 본 홍어와 과메기같이 기분 나쁜 거부감이 든다. 다만 집착이라는 소재 하나로 장편 소설 전부를 다이내믹하게 이끌어 가 끝을 내버리는 확장성은 작가의 내공이 얼마나 깊은지 감탄하게 된다.
⠀⠀⠀⠀⠀⠀⠀
⠀⠀⠀⠀⠀⠀⠀
#북스타그램 #책 #독서
#bookstargram #bookreview #book

집착

아니 에르노 (지은이), 정혜용 (옮긴이)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1개월 전
0

더블헤드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