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4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9.3.18
페이지
216쪽
상세 정보
추천 게시물
새벽빛
@saebyeokbit
눈, 물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또토리
@lesy678
아버지의 해방일지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교육학박사 최경희
@cany
실연당한 사람들을 위한 일곱 시 조찬모임
1명이 좋아해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95 /제한 없음
정모/행사 주말 독서 챌린지
5월 12일 (월) 오전 12:00 · 무료 · 6 /7명
ㅁㅅㅎ 독서토론
무료 · 4 /4명
📚 독서 연습실
무료 · 14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6 /7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책책~폭폭~
무료 · 2 /2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4 /180명
상세정보
출판사 책 소개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의 주인공인 모리 슈워츠 교수가 쓴 잠언집. 모리는 루게릭병에 걸려 죽음을 눈앞에 두고서도 삶을 확고하게 긍정하는 사유를 펼쳐 보인다. 병든 육신을 교재삼아 살아있음의 소중함을 일깨운 모리의 마지막 수업이었다. 또 모리의 마지막 선물이었다. 여기에는 한 인간이 가슴 깊은 곳에서 길어 올린, 영혼을 울리는 맑은 목소리가 담겨 있다.
평범한 단어들로 빚은 영혼의 큰 울림
모리 슈워츠 교수가 쓴 이 잠언집은 평범한 말들로 구성돼 있습니다. 까다로운 개념어를 앞세우지 않았습니다. 잠언집임에도 철학적이라기보다는 실용적으로 느껴질 정도입니다. 평범한 일상어로 그렇게 심오한 생각들을 담아낼 수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합니다. 평범함의 비범성을 보여준 잠언집이라고 해도 좋을 듯합니다.
모리가 이 책에서 쓴 주요 단어들은 ‘마음 열기’ ‘마주하기’ ‘받아들이기’ ‘포기’ ‘사랑’ ‘용서’ 등이었습니다. 모리는 마음을 열고 마주하고 받아들이고 포기하고 사랑하는 것이야 말로 인간들이 더 나은 삶 또는 죽음을 향해 나아가는 지름길임을 보여 주었습니다. 모리의 마음 열기는 인간이 의존적 존재임을 인정하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의존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삶을 살 수 밖에 없습니다. 완벽하게 독립적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한 개인의 일생 역시 의존적 존재로 출발해 한때 잠시 독립적 존재로 활동하다 다시 의존적 존재로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한때 독립적이었다고 할지라도 결국은 공동체 속에서 서로 의존하며 살아가게 됩니다. 모리는 자기 자신과 타인에게, 또 공동체에 마음의 문을 열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모리가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마주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들이나, 인정하고 싶지 않은 사실들, 그리고 두려움을 맞닥뜨리면 마주하려 하지 않습니다. 고개를 돌리고 피합니다. 물론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그대로 남습니다. 죽음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을 알고는 있습니다. 그러나 그 사실을 마주하기를 싫어합니다. 마주하려면 용기가 필요합니다. 위험하고 두려운 어떤 일을 해내야 할 때 필요한 용기가 아닙니다. 자신을 찬찬히 들여다 볼 수 있는 용기, 피할 수 없는 사실을 직시할 수 있는 용기입니다. 실제 우리들은 자신을 정면으로 똑바로 쳐다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마음의 문을 열고 솔직하고 겸손해야 자신을 제대로 쳐다볼 수 있습니다. ‘마주하기’는 겸손한 용기가 있어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모리에게는 바로 그런 용기가 있었습니다.
모리는 다가오는 죽음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세상 사람들을 감동시켰습니다. 죽음이 두려워 외면하거나 도망가지 않았습니다. 살아있는 모든 것은 반드시 죽는다는, 생자필멸(生者必滅)이라는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려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받아들였습니다. 그리고 죽음을 또 다른 삶으로 옮겨가는 것이라 믿었습니다. 그러니 두려워하거나 외면할 일이 없었습니다.
오히려 병든 자신의 육신을 텍스트 삼아 세상 사람들에게 죽음과 삶의 진정한 의미를 ‘강의’했습니다. 노교수가 깨친 삶의 지혜가 담겨있는 마지막 수업이었습니다. 죽어가면서 살아있음의 소중함을 새삼 일깨워 주었습니다. ‘살아가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죽는 법을 알게 될 것입니다. 죽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살아가는 법을 알게 될 것입니다.’ 잘 살고 잘 죽는 법을 이렇게 명쾌하게 결론지었습니다. 후회 없는 삶을 산 사람들에게 죽음은 평안한 휴식일 수도 있습니다. 또 그런 최후를 맞으려는 사람들은 정말 열심히 살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모리는 자연의 섭리를 겸허히 또 용기 있게 받아들였습니다. 어쩌면 용기는 포기에서 나오는지도 모릅니다. 잃을 것 없으면 두려울 것도 없어집니다. 포기에는 자유가 내포돼 있는 듯합니다. 버림으로써 자유를 만끽할 수도 있습니다. 하찮은 집착도 번민과 갈등을 부추깁니다. 모리는 버리고 비우고 포기함으로써 자유로움과 평안함을 얻을 수 있음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모리는 살아있는 동안 지켜야 할 최고의 가치로 ‘사랑’을 꼽았습니다. 그는 죽음에 가까이 갔던 수많은 사람들이 똑같이 외쳤던 진리가 사랑이라고 말했습니다. “사랑이야말로 유일하게 이성적인 행위이다.”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뿐입니다.” “서로를 사랑하라, 그러지 못할 바에는 죽어라.” 스테펜 레빈, 비틀즈, 오든의 말들입니다. 모리는 예수를 포함한 수많은 사람들이 사랑을 강조했지만, 우리는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사랑에는 크나큰 진리가 담겨있으며, 죽는 순간이 되어서야 깨달아서는 늦다고 말했습니다. 살아있는 동안 사랑을 실천하라고 당부했습니다.
모리는 후회 없는 삶과 죽음을 위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용서’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자신을 용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 많은 사람들이 남의 허물은 덮어줘도 자신의 잘못은 끝없이 들추며 힘들어 하곤 합니다. 자신을 용서하고, 다른 사람들을 사랑해야 진정 행복한 삶을 꾸려갈 수 있다는 것이 모리의 궁극적인 가르침인 듯합니다.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에 웰빙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잘 먹고 잘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큽니다. 궁극적으로는 마음이 평안해야 합니다. 그게 진정한 웰빙일 수 있습니다. 모리의 충고들을 곰곰이 되새겨 보면 평정심으로 가는 길이 보이는 듯합니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